운동선수 영양섭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선수 영양섭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운동선수 영양섭취

본문내용

n)이 장에서 트립신으로 됨), 키모트립신(Chymotrypsin-췌장에서 분비된 키모트립시노겐(Chymotrypsinogen)이 장에서 트립신과 작용하여 됨)에 의하여 아미노산의 수가 더 작은 폴리(poly), 톨리(toly), 디(di)펩타이드와 아미노산까지 분해 되며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종류의 단백질소화효소(펩티다제-peptidase)에 의해 각각의 아미노산(유리아미노산)으로 분해 됩니다.
효소의 이름이 여러분을 어지럽게 하나요?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그림
위 소장
단백질 ----------> 펩톤, 폴리펩타이드 ----------------> 폴리, 톨리, 디펩타이드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소장상피세포
--------------> 유리 아미노산
펩티다제
2) 단백질의 흡수
위와 소장에서 소화과정을 거쳐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단백질은 소장에서 흡수됩니다. 대부분은 아미노산 상태로 흡수되나, 펩티드 형태로 흡수되기도 합니다.
아미노산은 구조에 따라 L형 아미노산(예: L-glutamic acid)과 D형 아미노산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L형 아미노산은 D형 아미노산보다 흡수가 빠르며, 흡수속도는 단백질 합성과 효율에 관계가 깊습니다.
아미노산의 흡수는 다른 아미노산에 의해 방해받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L-tryptophan은 L-histidine의 흡수를, leucine은 phenylalanine의 흡수를 저해한다고 합니다.
또한 동물성단백질은 97%가량, 식물성 단백질은 62%정도로 동물성단백질이 흡수율이 높습니다.
흡수된 펩티드류는 아미노산까지 분해되어 모세혈관으로 흡수되고, 문맥을 거쳐 간에 이르기까지 일부는 단백질로 합성되고 나머지는 아미노산 형태로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운반 되어 근육, 장기, 조직을 구성하게 됩니다.
특히 근육은 대부분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아미노산 풀 (Amino acid pool)
이러한 과정을 통해 흡수되어 체내에서 생성된 단백질은 끊임없이 분해되고 다시 생성됨을 반복하는데, 체단백이 분해되면서 생성된 아미노산은 음식물로 섭취하여 분해된 아미노산과 혼합되어 함께 쓰이는데 이러한 형태의 아미노산을 아미노풀이라고 합니다.
체내에 적은 양으로 존재하나, 단백질, 생리활성물질을 합성할 때 공급원으로 사용되며, 간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직접 에너지로 사용되거나, 글리코겐이나 지방으로 전환되어 에너지원으로 저장되기도 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