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풍력발전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 바람이 불때만 발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지속적 발전이 곤란하여 저장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기존의 발전시설이나 태양광발전 등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소음발생문제는 최근에는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면서 소음문제를 해결했다.
[가능성]
세계 현황
미국풍력협회(AWEA)에 따르면, 1999년 전 세계 풍력발전기의 총 설비 규모는 13,932MW에 이르며 2007년까지 47,000MW 이상의 새로운 풍력발전시스템이 추가 설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대안에너지 이용에 대한 계획은 2006년까지 국내 에너지 총 사용량의 2%를 대안 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 미국
1973년 오일쇼크 후 1970년대 후반부터 정책사업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지역별로 Wind Power Farm을 구축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2005년까지 전체수요의 5%를 풍력발전으로 대체한다는 정책을 1999년 6월 12일 발표하였음(총 1,952MW).
- Almost Pass CA. Wind Farm : 100∼300kW 약 600대
- Bakersfield Techapi CA. Wind Farm 약 500대
- San Jose CA. Wind Farm 약 600대
나. 캐나다
1980년대 초부터 시작하여 풍력발전단지를 구축 중이며 2000년에는 전력수요의 상당량을 풍력발전에 의존할 계획임(총 83MW).
다. 유럽국가들은 2002년까지 전력수요의 10%를 풍력발전에 의존할 계획임.
네덜란드-365MW, 영국-334MW,
독일-2,874MW, 덴마크-1,450MW, 스페인-834MW,
스웨덴-150MW, 아일랜드-63MW, 포르투갈-60MW,
그리스-35MW, 오스트리아-30MW,
프랑스-19MW, 핀란드-17MW, 터키-9MW,
노르웨이-9MW, 벨지움-8MW, 체코-7MW.
라. 아시아지역 국가들도 중국,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등 풍력발전에 정책적인 배려를 하고 있음.
중국-224MW, 인도-968MW, 호주-17MW, 뉴질랜드 -5MW 등등.
마. 일본은 1976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하였고 미쓰비시 중공업은 1980년대부터 풍력 발전기를 제작하여 북미, 유럽 등에 수출하는 세계 3대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임. 오끼나와 및 북해도 등에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여 대안에너지개발의 주력품목의 우선순위를 태양광발전에서 풍력발전으로 하였음(1994. 4). 앞으로 시장규모는 연간 100억 엔 규모임(총 발전량 45MW).
바. 남미지역 국가 : 코스타리카-27MW, 아르헨티나-13MW, 브라질-7MW.
아. 중동지역 국가 : 이란-11MW, 이스라엘-6MW.
우리나라 현황
-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개발추이 가. 1973년 오일쇼크로 1974년부터 국가정책사업으로 연구개발을 착수하였으나 1975년 오일쇼크 파동이 끝난 후 정책사업에서 배제되었음.
나.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에서 제주도 대안에너지 연구단지를 조성하여 (월령) 각종 대안에너지(태양광발전, 태양열, 풍력발전 등) 현장시험 운영 중.
(100kW 1대, 80kW 1대, 20kW 2대, 태양전지 3kW 등)
다. 제주도청에서 주관한 제주도 풍력단지화 계획에 따라 1997년도에 도입한 덴마크의 VESTAS회사제 600kW 2대를 도입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고 1999년 연차증설 계획에 따라 660kW 2대를 설치 운영 중이며 2000년에까지 154억 원을 투입하여 남제주군 대정읍, 북제주군 조천읍, 구좌읍 등 3개 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임.
라. 경북도청에서도 울릉도 북면 현포리에 설치할 600kW 1대를 1998년 12월 28일 입찰하여 1999년 4월 8일 착공하여(관보 제14067호 \'98. 11. 27) 10월 중 개통 예정.
마. 충남도청에서도 2000년도에 서해안 벨드에 대단위 풍력발전단지를 계획하고 있음.
바. 남해군에서도 1999년부터 풍력발전단지로 지정된 곳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도서주민의 식수공급을 위하여 노도에 60kW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해수담수기를 설치예정.
* 남해는 바람이 많고 일조량이 풍부하여 풍력과 태양력 등 청정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는 적지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군내 전문가는 물론, 독일 Nord Teck 풍력발전제작회사에서도 남해를 방문해 내린 결론이다.
남해군은 600kw급 풍력발전기 1기를 설치하고 계속해서 보급을 확대할 예정으로 1999년 8월 현재 남해군 일대 풍력자원조사를 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해수담수화시설과 연계한 풍력발전기 설치사업으로 생활용수가 부족한 섬의 물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지열발전
[특징]
지열은 지구 내부에서 표면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되는 열을 말한다. 지구는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져 지구 중심부의 온도는 4000℃에 달한다. 이러한 지열은 열전도에 의해서나 가스, 온수 및 화산분출 등에 의해 유출되는데, 그 양은 지역적으로 크게 다르지만 지구의 전표면에서 방출된다.
엄밀히 말해 지열 에너지는 재생이 불가능한 에너지원이지만 지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므로 굴착하는 깊이에 따라 잠재력은 거의 무한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열 에너지는 저온 열수를 직접 이용하는 온천 등의 관광 자원 또는 프랑스나 헝가리에서 전형적인 예를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난방 열원 등으로서는 많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에너지원으로서는 그다지 개발된 자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지열 에너지 이용에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은 지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나 앞으로는 지열 발전의 비중이 직접 이용 방식보다 커질 전망이다. 지열발전은 지하에 있는 고온층으로부터 증기 또는 열수(熱水)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보일러이며 이것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발전에 이용되는 것은 지열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빗물이 단층 등을 통해서 지하로 흘러 들어갈
할 수 있다.
* 바람이 불때만 발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지속적 발전이 곤란하여 저장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기존의 발전시설이나 태양광발전 등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소음발생문제는 최근에는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면서 소음문제를 해결했다.
[가능성]
세계 현황
미국풍력협회(AWEA)에 따르면, 1999년 전 세계 풍력발전기의 총 설비 규모는 13,932MW에 이르며 2007년까지 47,000MW 이상의 새로운 풍력발전시스템이 추가 설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대안에너지 이용에 대한 계획은 2006년까지 국내 에너지 총 사용량의 2%를 대안 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 미국
1973년 오일쇼크 후 1970년대 후반부터 정책사업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지역별로 Wind Power Farm을 구축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2005년까지 전체수요의 5%를 풍력발전으로 대체한다는 정책을 1999년 6월 12일 발표하였음(총 1,952MW).
- Almost Pass CA. Wind Farm : 100∼300kW 약 600대
- Bakersfield Techapi CA. Wind Farm 약 500대
- San Jose CA. Wind Farm 약 600대
나. 캐나다
1980년대 초부터 시작하여 풍력발전단지를 구축 중이며 2000년에는 전력수요의 상당량을 풍력발전에 의존할 계획임(총 83MW).
다. 유럽국가들은 2002년까지 전력수요의 10%를 풍력발전에 의존할 계획임.
네덜란드-365MW, 영국-334MW,
독일-2,874MW, 덴마크-1,450MW, 스페인-834MW,
스웨덴-150MW, 아일랜드-63MW, 포르투갈-60MW,
그리스-35MW, 오스트리아-30MW,
프랑스-19MW, 핀란드-17MW, 터키-9MW,
노르웨이-9MW, 벨지움-8MW, 체코-7MW.
라. 아시아지역 국가들도 중국,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등 풍력발전에 정책적인 배려를 하고 있음.
중국-224MW, 인도-968MW, 호주-17MW, 뉴질랜드 -5MW 등등.
마. 일본은 1976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하였고 미쓰비시 중공업은 1980년대부터 풍력 발전기를 제작하여 북미, 유럽 등에 수출하는 세계 3대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임. 오끼나와 및 북해도 등에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여 대안에너지개발의 주력품목의 우선순위를 태양광발전에서 풍력발전으로 하였음(1994. 4). 앞으로 시장규모는 연간 100억 엔 규모임(총 발전량 45MW).
바. 남미지역 국가 : 코스타리카-27MW, 아르헨티나-13MW, 브라질-7MW.
아. 중동지역 국가 : 이란-11MW, 이스라엘-6MW.
우리나라 현황
- 우리나라의 풍력발전기 개발추이 가. 1973년 오일쇼크로 1974년부터 국가정책사업으로 연구개발을 착수하였으나 1975년 오일쇼크 파동이 끝난 후 정책사업에서 배제되었음.
나.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에서 제주도 대안에너지 연구단지를 조성하여 (월령) 각종 대안에너지(태양광발전, 태양열, 풍력발전 등) 현장시험 운영 중.
(100kW 1대, 80kW 1대, 20kW 2대, 태양전지 3kW 등)
다. 제주도청에서 주관한 제주도 풍력단지화 계획에 따라 1997년도에 도입한 덴마크의 VESTAS회사제 600kW 2대를 도입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고 1999년 연차증설 계획에 따라 660kW 2대를 설치 운영 중이며 2000년에까지 154억 원을 투입하여 남제주군 대정읍, 북제주군 조천읍, 구좌읍 등 3개 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임.
라. 경북도청에서도 울릉도 북면 현포리에 설치할 600kW 1대를 1998년 12월 28일 입찰하여 1999년 4월 8일 착공하여(관보 제14067호 \'98. 11. 27) 10월 중 개통 예정.
마. 충남도청에서도 2000년도에 서해안 벨드에 대단위 풍력발전단지를 계획하고 있음.
바. 남해군에서도 1999년부터 풍력발전단지로 지정된 곳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도서주민의 식수공급을 위하여 노도에 60kW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해수담수기를 설치예정.
* 남해는 바람이 많고 일조량이 풍부하여 풍력과 태양력 등 청정에너지를 보급할 수 있는 적지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군내 전문가는 물론, 독일 Nord Teck 풍력발전제작회사에서도 남해를 방문해 내린 결론이다.
남해군은 600kw급 풍력발전기 1기를 설치하고 계속해서 보급을 확대할 예정으로 1999년 8월 현재 남해군 일대 풍력자원조사를 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해수담수화시설과 연계한 풍력발전기 설치사업으로 생활용수가 부족한 섬의 물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지열발전
[특징]
지열은 지구 내부에서 표면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되는 열을 말한다. 지구는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져 지구 중심부의 온도는 4000℃에 달한다. 이러한 지열은 열전도에 의해서나 가스, 온수 및 화산분출 등에 의해 유출되는데, 그 양은 지역적으로 크게 다르지만 지구의 전표면에서 방출된다.
엄밀히 말해 지열 에너지는 재생이 불가능한 에너지원이지만 지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므로 굴착하는 깊이에 따라 잠재력은 거의 무한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열 에너지는 저온 열수를 직접 이용하는 온천 등의 관광 자원 또는 프랑스나 헝가리에서 전형적인 예를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난방 열원 등으로서는 많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에너지원으로서는 그다지 개발된 자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지열 에너지 이용에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은 지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나 앞으로는 지열 발전의 비중이 직접 이용 방식보다 커질 전망이다. 지열발전은 지하에 있는 고온층으로부터 증기 또는 열수(熱水)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보일러이며 이것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발전에 이용되는 것은 지열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빗물이 단층 등을 통해서 지하로 흘러 들어갈
추천자료
WTO에관한 완벽 레포트
식품위생안전을 위한 방사선 실태조사연구
삼성전자 와 HP의 미래 성장 전략
원자력과 원자력발전에 대한 연구
[기술경영] 현대자동차 사례연구-한글자료
공중풍력발전사업계획서
[세계의정치와경제 공통] 정보화가 물리적, 비물리적 세계화의 진행과정에 어떤 식으로 기여...
실리콘 고무 예비
존경하는CEO 문국현
[국제 경영 분석] 아모레 퍼시픽(AMORE PACIFIC)의 프랑스(FRANCE) 진출 성공사례 원인과 아...
현대물리 -레이저의 원리 및 응용
보건직 공무원 3과목 핵심 요약집
한미 FTA의 현황과과제(농산물, 개성공단,자동차,섬유,상품,금융,투자자-국가소송제),한미 F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