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음악프로그램에 관한 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 음악프로그램에 관한 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표 3
3. 연구 방향 3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4
5.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6
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분석 8
3. 유아 전통음악교육의 이론적 토대 11

Ⅲ. 집단지도의 통합적 교육방법 19
1. 통합적 학습 접근망 19
2. 통합적 학습의 실제 22

Ⅳ. 결론 52
1. 결론 52
2. 제언 53

참고문헌 54
부록 57

본문내용

을 지닌 민족은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민족만큼 많은 종류의 리듬 패턴을 지닌 민족은 없다. 춤이 발달한 스페인의 경우 그런 대로 몇 종류의 리듬 패턴들을 지니고 있으나, 우리민족의 장단은 세계의 모든 리듬 패턴과 비길 만큼 많은 종류를 지니고 있다. 그 종류를 나열해 본다면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 도드리, 엇모리, 세마치, 굿거리, 타령, 오채질굿, 6채, 가곡장단, 시조장단---등 매우 다양한 장단이 있다. 이 장단들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자진모리,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등은 모두 [3소박 4대박]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3소박 4대박]의 구조를 유아기에 몸으로 익히는 것은 우리음악의 기초를 자연스럽게 다지는 일이다.
음악활동:
*천천히 <악보10>을 리듬에 맞춰 읽는다.
*빨리 <악보10>을 리듬에 맞춰 읽는다.
*각 대박의 첫 소박을 크게 읽어본다.
통합학습내용:
*[3소박 4대박]을 입으로 익히며 걷기, 뛰기
*[3소박 4대박]을 천천히 또는 빠르게 등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빠르기로 익히며 걷기, 뛰기
*[3소박 4대박]의 숫자 헤아리기
*3개씩 4묶음 숫자 익히기
*동래학춤 감상
*학춤 추기
유치원 지도자료와 연계: 건강한 몸과 마음, 동물
<악보 10> [3소박 4대박]
하나











다. 리듬카드 읽기
형체가 없는 소리의 구조를 유아들이 듣는 것으로만 익히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이에 3분박의 구조를 리듬카드를 통하여 익히면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소리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3소박 4대박]의 구조 중에서 먼저 [3소박]의 리듬구조를 리듬카드를 통해서 익히고, 리듬카드를 여러 가지로 조합해서 [4대박]을 구성하여 익힌다면, 유아들의 전통음악 장단익히기는 보다 체계화 될 것이다.
음악활동:
*3소박 리듬카드 연결해서 읽기
*리듬카드를 마음대로 조합해서 읽어본다.
*중모리 장단 나누어 읽기
*읽었던 장단을 A는 북의 가죽을 치면서 읽고 B는 북의 모서리를 치면서 읽는다.
*9번째 박의 [떡]은 매우 세게 쳐본다.
통합학습내용:
*계절에 따른 과일과 채소를 알아본다.
*열매와 과일을 그려본다.
유치원 지도자료와 연계: 특별한 날, 계절
<그림 2> [3소박 리듬카드]




































<악보 11> [중모리 장단일기]














































3) 장단 익히기
가. 우리장단으로 인사하기
유아교육의 현장에서 예절교육은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다. 현재 많은 유치원에서 서양음악의 화음교육과 함께 인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선생님이 피아노로 으뜸화음을 연주하면 [차렷] 딸림화음에 [인사] 다시 으뜸화음에 [차렷] 이런 식이다. 매일 매일의 인사교육이 우리의 장단교육과 함께 한다면, 훨씬 우리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전통음악활동:
*인사장단 구음으로 배우기
*인사굿 장단 손뼉으로 치기
*인사굿 장단에 맞춰 인사노래 부르기
*인사굿 장단을 국악 타악기로 연주하기
통합적 학습내용:
*예절지도
*인사말 배우기 또는 알아보기
*친구들과 인사하기, 선생님과 인사하기, 부모님께 인사하기
*영어로 인사하기, 다른 나라의 인사말
*장단 그려보기
유치원 지도자료와 관련요소: 나와 유치원, 가족과 이웃,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악보 12> [호남풍물 인사굿 장단]














더더









우리









수고





good
bye
good
bye
see you
a-
gain
tomo
-
row
<악보 13> [인사 노래1]
<악보 14> [영남풍물 인사 장단]
































<악보 15> [인사 노래2]
나. 우리장단으로 하는 펑크게임 또는 탭 댄스
유아교육 활동에는 놀이를 통한 신체표현이 한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통음악과 연관하여서도 동작을 통한 학습이 유아들에는 매우 효율적이다. 민속놀이인 비석치기나 사방치기 등의 방식과 유사한 펑크게임을 이용하면 우리장단을 유아들이 매우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한 방안이 될 것이다.
음악활동:
*여러 가지 장단 배우기
*장단 외우기(세마치, 자진모리, 동살푸리)
*친구들이 펑크게임을 하는 동안 입장단 하기
통합학습내용:
*발판 만들기
*발판 그리기
*친구들이 불러주는 장단에 맞춰 펑크게임하기
*장단에 맞춰 춤추기
유치원 지도자료와 연계: 건강한 몸과 마음
<그림 3> [발판의 예]




i



<악보 16> [악보 발판]



































<덩은 양쪽 발을 다 짚고, 쿵은 왼발만, 딱은 오른발만 짚는다.>
다. 구음으로 자진모리 변형 장단 만들기
우리 장단의 또 다른 장점은 장단이 한 틀에 머물러 있지 않고, 다양한 변형을 만들어 내는데 있다. 기본장단을 생략도 해보고, 복잡하게 늘여도 보면 장단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우리의 선조들은 장단을 익힐 때 구음을 많이 사용했다. 예를 들면 “떵 떵따 쿵닥쿵 더구덩 닥다 쿵닥쿵” 같은 변형장단을 익힐 때 “박 첨지 북가죽 개지름 발라 쿵덕쿵”으로 구음으로 익혔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여 자진모리 장단을 구음을 사용하여 여러 변형장단을 익힐 수 있다.
음악활동:
*자진모리 기본장단 따라하기
*변형장단 따라하기
*노래로 합창하기
통합학습내용:
*농부의 고마움 알기
*간식과 식사예절
*기계 종류 알아보기(빵 굽는 기계)
*곡식과 식탁
유치원 지도자료와 연계: 도구와 기계
<악보 17> [장단으로 빵 떡 굽기]
기본장단
(선생님)
덩 ㅡ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ㅡ
변형1
빵 ㅡ ㅡ
떡 ㅡ ㅡ
빵 ㅡ 떡
변형2
구 워 라
먹 어 라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