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본문내용
따라서 인지행동치료라고 할 수 없다.
2. 문제해결 모델
아침에 어떤 옷을 입어야 하는가 하는 사소한 결정에서부터 괴팍한 고용 (p.28) 주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는 보다 중요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의 매일의 생활은 문제상황들로 가득 차 있다. 적절한 기능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선 우리는 이러한 상황적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문제의 복잡성이나 심각성을 떠나 이것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이런 개인적 차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유능한 사람이란 그들이 매일 당면하는 상황을 잘 다루며, 발생하는 각 경우에 따라 명확한 판단력을 행사할 수 있고, 적절한 행동 코스를 취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우리들이 임상적으로 보게 되는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정서적 장애’는 비효과적인 행동을 취한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즉 우리가 당면한 어떤 상황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거나 해결하려는 우리의 시도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문제상황을 정의해 보면, 문제상황이란 상황에 당면한 개인에게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적인 반응대안들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D\'zurilla & Goldfried, 1971). 어떤 상황은 처음 당면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복잡하거나 모호해서, 또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상반된 요구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문제해결이 어렵다. 문제상황에 비효과적으로 대처할 경우 그에 따른 사회적/개인적 결과가 따름은 물론 심리치료를 요하는 정서장애나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문제해결모델은 사람들에게 문제해결의 절차 또는 기술을 훈련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주요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고 본다.
문제해결모델은 심리병리에 대한 사회학습적 접근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접근은 최근에 더욱 지지를 받고 있다. 비정상은 어떤 숨겨진 ‘질병’으로 인한 증상이라는 전통적인 의료적 관점을 거부하면서, 사회학습이론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상황에 대한 개인의 학습된 반응을 강조한다. 개인의 전형적인 반응이 비효과적일 때(그자신과 남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때), 그는 ‘비정상적’, ‘비적응된’ 이라는 레벨을 부여받게 된다. 비효 (p.29) 과적인 행동을 설명하면서,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개인의 과거 학습이 부적절함을 강조한다. 즉 그는 어떤 특정상황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문제상황에 대해 적절한 행동을 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의 연구와 이론들은 실험심리학, 교육, 산업현장등 여러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D\'Zurilla & Goldfried, 1971). 실험심리학에서는 주로 문제해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연구하는 데 집중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서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수행을 촉진시키는 절차의 개발과 평가, 그리고 보다 창조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예를 들어 평범한 물건의 이례적인 용도, 물건을 팔고 개선하는 아이디어들을 연구하는 데 집중했다.
비록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긴 하지만, 효과적인 문제해결에 포함된 일반적인 절차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가와 조사자들 사이에 상당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절차는 다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① 문제지향, ② 문제정의와 형성, ③ 대안파생, ④ 의사결정, ⑤ 실행 및 평가 이다. 각 단계를 자세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문제지향단계
어떤 상황에 접근하는 개인의 일반적 지향 혹은 태도가 그가 그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독립적인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지향으로는 ① 문제상황이 생활의 정상적인 일부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 ② 문제상황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 ③ 첫충동이나 아무것도 안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제지하는 것이 있다.
정서적-합리적 접근에 대해 소개하면서 Ellis는 많은 사람들이 주변 세계에 대해 비합리적인 기대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어떤 일이 일어나야 혹은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계속 기대하는 정도에 따라 실망과 좌절, 정서적 혼란, 비적응적 행동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왜 이런 일이 나에게 항 (p.30) 상 일어나는가?” 라는 짜증섞인 사람의 반응은 첫째, 문제상황이 ‘정상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데 실패하고 있다는 것과, 둘째, 이러한 대부분의 상황에 대해 그자신의 노력으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데 실패한 것을 의미한다. Bloom & Broder(1950)는 성공적인 문제해결가는 비성공적인 문제해결가 보다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잇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의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일반적 기대가 문제상황에 부딪쳤을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D\'Zurilla & Goldfried, 1971에서 재인용).
2) 문제의 정의와 형성단계
현실세계에서의 대부분의 문제는 혼란스럽고 막연하고 필요한 사실이나 정보가 결여되어 있고 적절한 목표를 제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문제상황을 인식한 후에는 첫 충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상황의 모든 측면을 조작적 용어로 정의하며, 상황의 요소들을 관찰하여 관련된 정보를 관련되지 않은 정보와 분류하며, 우선적 목표를 확인하며, 하위문제, 이슈, 갈등으로 분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를 묘사하는 데 있어 구체성과 포괄성은 매우 중요하다. 문제해결행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가는 막연하고 모호한 용어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그는 모든 가능한 정보와 사실들을 고려해야 하며, 즉각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정보도 찾아나서야 한다. 상황이 생소한 것일 때 후자는 특히 중요하다.
문제해결의 정보수집에 관해 Rimoldi와 Erdmann(1967)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질문에 의한 정보수집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Crutchfield등(1969)은 문제를 형성하는 데 있어 문제의 경계를 확인하는 것, 사실들을 일련의 질서정연한 형태로 조직하는 것, 관련된 사실들을 비관련된 사실과 구분하는 것, 가능한 정보에 있어
2. 문제해결 모델
아침에 어떤 옷을 입어야 하는가 하는 사소한 결정에서부터 괴팍한 고용 (p.28) 주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는 보다 중요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의 매일의 생활은 문제상황들로 가득 차 있다. 적절한 기능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선 우리는 이러한 상황적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문제의 복잡성이나 심각성을 떠나 이것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이런 개인적 차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유능한 사람이란 그들이 매일 당면하는 상황을 잘 다루며, 발생하는 각 경우에 따라 명확한 판단력을 행사할 수 있고, 적절한 행동 코스를 취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우리들이 임상적으로 보게 되는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정서적 장애’는 비효과적인 행동을 취한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즉 우리가 당면한 어떤 상황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거나 해결하려는 우리의 시도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문제상황을 정의해 보면, 문제상황이란 상황에 당면한 개인에게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적인 반응대안들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D\'zurilla & Goldfried, 1971). 어떤 상황은 처음 당면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복잡하거나 모호해서, 또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상반된 요구를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문제해결이 어렵다. 문제상황에 비효과적으로 대처할 경우 그에 따른 사회적/개인적 결과가 따름은 물론 심리치료를 요하는 정서장애나 행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문제해결모델은 사람들에게 문제해결의 절차 또는 기술을 훈련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주요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고 본다.
문제해결모델은 심리병리에 대한 사회학습적 접근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접근은 최근에 더욱 지지를 받고 있다. 비정상은 어떤 숨겨진 ‘질병’으로 인한 증상이라는 전통적인 의료적 관점을 거부하면서, 사회학습이론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상황에 대한 개인의 학습된 반응을 강조한다. 개인의 전형적인 반응이 비효과적일 때(그자신과 남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때), 그는 ‘비정상적’, ‘비적응된’ 이라는 레벨을 부여받게 된다. 비효 (p.29) 과적인 행동을 설명하면서,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개인의 과거 학습이 부적절함을 강조한다. 즉 그는 어떤 특정상황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문제상황에 대해 적절한 행동을 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문제해결의 연구와 이론들은 실험심리학, 교육, 산업현장등 여러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D\'Zurilla & Goldfried, 1971). 실험심리학에서는 주로 문제해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연구하는 데 집중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서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수행을 촉진시키는 절차의 개발과 평가, 그리고 보다 창조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예를 들어 평범한 물건의 이례적인 용도, 물건을 팔고 개선하는 아이디어들을 연구하는 데 집중했다.
비록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긴 하지만, 효과적인 문제해결에 포함된 일반적인 절차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가와 조사자들 사이에 상당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절차는 다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① 문제지향, ② 문제정의와 형성, ③ 대안파생, ④ 의사결정, ⑤ 실행 및 평가 이다. 각 단계를 자세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문제지향단계
어떤 상황에 접근하는 개인의 일반적 지향 혹은 태도가 그가 그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독립적인 문제해결을 격려하는 지향으로는 ① 문제상황이 생활의 정상적인 일부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 ② 문제상황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 ③ 첫충동이나 아무것도 안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제지하는 것이 있다.
정서적-합리적 접근에 대해 소개하면서 Ellis는 많은 사람들이 주변 세계에 대해 비합리적인 기대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어떤 일이 일어나야 혹은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계속 기대하는 정도에 따라 실망과 좌절, 정서적 혼란, 비적응적 행동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왜 이런 일이 나에게 항 (p.30) 상 일어나는가?” 라는 짜증섞인 사람의 반응은 첫째, 문제상황이 ‘정상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데 실패하고 있다는 것과, 둘째, 이러한 대부분의 상황에 대해 그자신의 노력으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데 실패한 것을 의미한다. Bloom & Broder(1950)는 성공적인 문제해결가는 비성공적인 문제해결가 보다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잇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의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일반적 기대가 문제상황에 부딪쳤을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D\'Zurilla & Goldfried, 1971에서 재인용).
2) 문제의 정의와 형성단계
현실세계에서의 대부분의 문제는 혼란스럽고 막연하고 필요한 사실이나 정보가 결여되어 있고 적절한 목표를 제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문제상황을 인식한 후에는 첫 충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상황의 모든 측면을 조작적 용어로 정의하며, 상황의 요소들을 관찰하여 관련된 정보를 관련되지 않은 정보와 분류하며, 우선적 목표를 확인하며, 하위문제, 이슈, 갈등으로 분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를 묘사하는 데 있어 구체성과 포괄성은 매우 중요하다. 문제해결행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가는 막연하고 모호한 용어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그는 모든 가능한 정보와 사실들을 고려해야 하며, 즉각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정보도 찾아나서야 한다. 상황이 생소한 것일 때 후자는 특히 중요하다.
문제해결의 정보수집에 관해 Rimoldi와 Erdmann(1967)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질문에 의한 정보수집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Crutchfield등(1969)은 문제를 형성하는 데 있어 문제의 경계를 확인하는 것, 사실들을 일련의 질서정연한 형태로 조직하는 것, 관련된 사실들을 비관련된 사실과 구분하는 것, 가능한 정보에 있어
추천자료
또래지원망 프로그램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아동복지론 책 요약
현대사회의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기능과 과제, 아동복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우리나...
2011년 동계계절시험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시험범위 핵심체크
장애아동의 유형과 그에 따른 개별지도프로그램
장애아동 & 비장애아동 통합교육 프로그램
2013년 동계계절시험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청소년학습및이론지도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영아발달을 위한 놀이의 중요성 이론을 참고하여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아동, 부모, 국가(사회)측면에서 설명.
2014년 1학기 청소년학습및이론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청소년학습및이론지도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