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비율의 개념과 활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동성 비율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동성 비율의 개념과 활용

본문내용

기본 구성항목에 유의하면서 해석해야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유동비율 이용상의 주의사항
우리는 전통적으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유동비율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단순히 유동비율의 측정값에 의해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할 경우 잘못된 평가를 하여 흑자도산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첫째, 유동비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에 문제가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유동비율이 높다는 것은 현금화 가능성이 높은 자산의 비중이 높다는 것일 뿐 결코 현금 그 즈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아니다. 유동비율이 양호하다 해도 유동자산의 구성내용을 볼 때 재고자산에 과다하게 투자되었거나 부실채권이 많은 경우는 오히려 단기지급능력이 악화된 것이다.
둘재, 유동비율은 경영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대개는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그 대상이 되는데, 이들 자산을 과대계상하게 되면 당연히 유동비율이 증가하게 되며, 순이익도 과대계상되어 수익성도 양호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외상구입한 상품을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에 함께 누락시키게 되면 유동비율은 실제보다 증가된 값을 보인다. 예를 들어 현재 유동자산이 1,600,000, 유동부채가 800,000인 경우 유동비율은 2:1 인데,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을 400,000씩 누락시켰다 하자. 이 경우 유동비율은 3:1로 대단히 양호한 것으로 변한다.
결국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유동자산의 구성항목의 내용과 질을 살펴보아야 하고, 또한 당좌비율과 현금흐름비율 등으로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키워드

유동성,   비율,   개념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5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