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동성 비율의 개념과 활용
본문내용
기본 구성항목에 유의하면서 해석해야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유동비율 이용상의 주의사항
우리는 전통적으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유동비율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단순히 유동비율의 측정값에 의해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할 경우 잘못된 평가를 하여 흑자도산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첫째, 유동비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에 문제가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유동비율이 높다는 것은 현금화 가능성이 높은 자산의 비중이 높다는 것일 뿐 결코 현금 그 즈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아니다. 유동비율이 양호하다 해도 유동자산의 구성내용을 볼 때 재고자산에 과다하게 투자되었거나 부실채권이 많은 경우는 오히려 단기지급능력이 악화된 것이다.
둘재, 유동비율은 경영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대개는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그 대상이 되는데, 이들 자산을 과대계상하게 되면 당연히 유동비율이 증가하게 되며, 순이익도 과대계상되어 수익성도 양호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외상구입한 상품을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에 함께 누락시키게 되면 유동비율은 실제보다 증가된 값을 보인다. 예를 들어 현재 유동자산이 1,600,000, 유동부채가 800,000인 경우 유동비율은 2:1 인데,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을 400,000씩 누락시켰다 하자. 이 경우 유동비율은 3:1로 대단히 양호한 것으로 변한다.
결국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유동자산의 구성항목의 내용과 질을 살펴보아야 하고, 또한 당좌비율과 현금흐름비율 등으로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유동비율 이용상의 주의사항
우리는 전통적으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유동비율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단순히 유동비율의 측정값에 의해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할 경우 잘못된 평가를 하여 흑자도산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첫째, 유동비율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에 문제가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유동비율이 높다는 것은 현금화 가능성이 높은 자산의 비중이 높다는 것일 뿐 결코 현금 그 즈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아니다. 유동비율이 양호하다 해도 유동자산의 구성내용을 볼 때 재고자산에 과다하게 투자되었거나 부실채권이 많은 경우는 오히려 단기지급능력이 악화된 것이다.
둘재, 유동비율은 경영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대개는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그 대상이 되는데, 이들 자산을 과대계상하게 되면 당연히 유동비율이 증가하게 되며, 순이익도 과대계상되어 수익성도 양호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외상구입한 상품을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에 함께 누락시키게 되면 유동비율은 실제보다 증가된 값을 보인다. 예를 들어 현재 유동자산이 1,600,000, 유동부채가 800,000인 경우 유동비율은 2:1 인데, 외상매입금과 재고자산을 400,000씩 누락시켰다 하자. 이 경우 유동비율은 3:1로 대단히 양호한 것으로 변한다.
결국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유동자산의 구성항목의 내용과 질을 살펴보아야 하고, 또한 당좌비율과 현금흐름비율 등으로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추천자료
한국화장품 기업분석 및 재무분석
하이트맥주 기업분석
기업사례연구-국내 시멘트업계1위 <성신양회>
GS칼텍스 재무분석
[재무회계](주)스타벅스코리아 재무분석
한국전력에 대해 ... ...
미샤(MISSHA)재무제표분석
두산 기본적분석(경제분석,산업분석,기업분석) & 기술적분석(이동평균선,이격도,투자심리...
[정부규제][환경규제][언론규제][금융규제][분양가규제][소비자보호규제][규제]정부규제, 환...
사례기업 분석 LG 디스플레이 분석
대창단조_보고서
아이씨디_보고서
광동제약Kwang Dong Pharm. Co., Ltd.분석
CJ와 GS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