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리평가 및 진단
1. 심리검사(평가asessment)의 기원과 기능
기원- 중국의 과거제도/고대 그리스/중세의 공식적 시험제도
기능
* 정신지체자 분류 및 훈련에 대한 관심
: 정신지체자와 정신병자의 분류
: Esqirol/Seguin/Binet
* 초기심리학자들
:Wundt-감각현상에 대한 관심/표준조건아래서의 관찰강조
* 체계적인 인류측정학적 기록자료
: Francis Galton-감각변별력을 지능이라고 함
* 초기의 정신검사
:Cattell의 mental test
:Binet &Henri의 기억력,상상력,주의집중력등을 포괄하는 검사목록작성
* 비네와 지능검사의 부상
:1904년 프랑스 정신지체아 교육과정-Binet-Simon Scale
-mental level(mental age개념)
: Stanford-Binet 검사(mental quetient 개념)
*집단검사
:미국제1차대전시 신병의 지능수준 파악목적-Army Alpha,Army Beta(비언어성)
*적성검사(Aptitude test)
: 특수적성검사/intraindividual comparison
*성격검사
2. 심리평가의 본성과 용도
심리평가(psychological asessment)의 정의
:개인,집단 또는 사회적 생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특별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
심리평가의 주요개념
:현재 기능에 대한 원인이나 현재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개인의 기저특성이나 특질들
을 알아보는 것(전통적 관점)
:현재 행동에 대한 기술과 행동을 발생,유지시키는 유기체와 환경의 조건을 명세화
(행동주의적 관점)
심리평가의 과정
: 문제확인과 문제에 따른 일을 결정하는 연속적인 과정이며 추론의 과정 /설명의 과정
3. 심리평가의 심리적/윤리적 고려사항
심리평가자
-객관적이고 타당한 방법에 의한 평가를 할 수 있는 과학자로써의 자질
-다양한 평가경험과 치료경험을 바탕으로 해석과 설명을 할 수 있는 능력
심리평가의 기준
-신뢰도(reliability):측정치들의 안정성.일관성
-타당도(validity):측정내용의 정확성
-효율성(efficiency):비용과 이익의 관계
-적절성(relevance);‘얻을 가치가 있는 자료’개념
-유용성(usefulness):내담자에 대한 유용성
심리평가의 윤리성
-명명(naming)과 낙인(분류){labeling}문제
-평가결과 비밀보장의 문제
-아동의 평가권리에 대한 고려
심리평가 및 진단 (2)
3. 면접방법(interview method)에 의한 심리평가
면접법의 정의; 면접자(interviewer)와 피면접자(interviewee)간에 언어적,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정보와 아이디어. 태도,감정,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
면접법의 종류
-목적과 기능에 따른 분류 : 진단적 면접(diagnostic interview)
: 치료적 면접(therapeutic interview)
-과정의 구조화정도에 따른 분류 : 구조화된 면접(structural interview)
: 반구조화 면접(semistructural interview)
: 비구조화된 면접(unstructured interview)
임상적 평가 면접(the clinical assessment interview)의 정의
# 임상 평가 면접은 확실한 목적을 갖고 있다.
# 면접자는 상호작용을 이끌고 내용을 선택할 책임이 있다.
# 면접자와 피면접자(내담자)는 상호호환적이 아니다. 즉, 면접자는 질문을 하고 내담자는 답변을 한다.
# 면접자의 행동은 계획되고 조직적이다.
# 면접자는 인터뷰를 위한 피면접자의 요구를 수용할 의무가 있다.
# 면접은 상호작용에 관한 지속적인 주의를 요한다.
# 면접은 정식으로 배치된 만남이다.
# 불유쾌한 사실과 감정이 회피되지 않는다.-일상적 상황에서는 거론되지 않는 것을 명백 히 해야하며 상호작용 자체는 그 논의에 촛점이
1. 심리검사(평가asessment)의 기원과 기능
기원- 중국의 과거제도/고대 그리스/중세의 공식적 시험제도
기능
* 정신지체자 분류 및 훈련에 대한 관심
: 정신지체자와 정신병자의 분류
: Esqirol/Seguin/Binet
* 초기심리학자들
:Wundt-감각현상에 대한 관심/표준조건아래서의 관찰강조
* 체계적인 인류측정학적 기록자료
: Francis Galton-감각변별력을 지능이라고 함
* 초기의 정신검사
:Cattell의 mental test
:Binet &Henri의 기억력,상상력,주의집중력등을 포괄하는 검사목록작성
* 비네와 지능검사의 부상
:1904년 프랑스 정신지체아 교육과정-Binet-Simon Scale
-mental level(mental age개념)
: Stanford-Binet 검사(mental quetient 개념)
*집단검사
:미국제1차대전시 신병의 지능수준 파악목적-Army Alpha,Army Beta(비언어성)
*적성검사(Aptitude test)
: 특수적성검사/intraindividual comparison
*성격검사
2. 심리평가의 본성과 용도
심리평가(psychological asessment)의 정의
:개인,집단 또는 사회적 생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특별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
심리평가의 주요개념
:현재 기능에 대한 원인이나 현재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개인의 기저특성이나 특질들
을 알아보는 것(전통적 관점)
:현재 행동에 대한 기술과 행동을 발생,유지시키는 유기체와 환경의 조건을 명세화
(행동주의적 관점)
심리평가의 과정
: 문제확인과 문제에 따른 일을 결정하는 연속적인 과정이며 추론의 과정 /설명의 과정
3. 심리평가의 심리적/윤리적 고려사항
심리평가자
-객관적이고 타당한 방법에 의한 평가를 할 수 있는 과학자로써의 자질
-다양한 평가경험과 치료경험을 바탕으로 해석과 설명을 할 수 있는 능력
심리평가의 기준
-신뢰도(reliability):측정치들의 안정성.일관성
-타당도(validity):측정내용의 정확성
-효율성(efficiency):비용과 이익의 관계
-적절성(relevance);‘얻을 가치가 있는 자료’개념
-유용성(usefulness):내담자에 대한 유용성
심리평가의 윤리성
-명명(naming)과 낙인(분류){labeling}문제
-평가결과 비밀보장의 문제
-아동의 평가권리에 대한 고려
심리평가 및 진단 (2)
3. 면접방법(interview method)에 의한 심리평가
면접법의 정의; 면접자(interviewer)와 피면접자(interviewee)간에 언어적,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정보와 아이디어. 태도,감정,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
면접법의 종류
-목적과 기능에 따른 분류 : 진단적 면접(diagnostic interview)
: 치료적 면접(therapeutic interview)
-과정의 구조화정도에 따른 분류 : 구조화된 면접(structural interview)
: 반구조화 면접(semistructural interview)
: 비구조화된 면접(unstructured interview)
임상적 평가 면접(the clinical assessment interview)의 정의
# 임상 평가 면접은 확실한 목적을 갖고 있다.
# 면접자는 상호작용을 이끌고 내용을 선택할 책임이 있다.
# 면접자와 피면접자(내담자)는 상호호환적이 아니다. 즉, 면접자는 질문을 하고 내담자는 답변을 한다.
# 면접자의 행동은 계획되고 조직적이다.
# 면접자는 인터뷰를 위한 피면접자의 요구를 수용할 의무가 있다.
# 면접은 상호작용에 관한 지속적인 주의를 요한다.
# 면접은 정식으로 배치된 만남이다.
# 불유쾌한 사실과 감정이 회피되지 않는다.-일상적 상황에서는 거론되지 않는 것을 명백 히 해야하며 상호작용 자체는 그 논의에 촛점이
추천자료
유아용Software평가척도관련연구분석및유아용Software현황조사
심리평가란
(유아연구및평가B형)유아교육분야에서 실시할 수 있는 평가의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
[유아연구및평가B형]유아교육분야에서 실시할 수 있는 평가의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논의
표준화 검사의 유형과 제작방법에 관한 고찰(유아연구및평가)
[유아연구및평가]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교육과정및평가]브루너(Bruner)의 지식의 구조론과 듀이(Dewey)의 경험 중심 교육을 교육목...
심리평가
교육과정및교육평가 제7장.학교수준교육과정.PPT
심리검사란
상담에서 심리평가는 왜 필요한지, 유의할 사항이 무엇인지, 본인의 생각은 어떤지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