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부의 심리학
서로 사랑하라. 그러나 사랑으로 얽어매지는 마라.
그보다도 그것으로 너희 혼과 혼의 두 언덕 사이에 뛰노는 바다 같게 하라.
서로 서로의 잔을 채워 주라. 그러나 한 잔으로는 같이 마시진 마라.
서로 서로 제 빵을 주라. 그러나 한 조각으로 같이 먹진 마라.
노래하고 같이 춤추고 즐기라. 그러나 서로 서로 혼자있게 해 주라.
마치 거문고의 줄들이 한 가락에 떨기는 하여도 줄은 서로 따로따로 이듯이.
너희 마음을 서로에게 주라. 그러나 서로 아주 내맡기지는 마라.
결혼에 대하여, 칼리 지브란
Ⅰ. 왜 결혼을 유지해야 하는가
1. 이혼이 답이 아니다
1) 이혼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 사람이 이혼하는 이유
(1) 고통스럽고 사랑도 없는 파괴적인 관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2) 새로운 파트너를 만나거나 아니며 홀로 살며 더욱 만족스러운 삶을 찾기 위해
→ 목적은 반드시 이혼을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 이혼을 고려한다면 배우자가 언제나 아이들의 부모라는 사실을 기억해야한다
2) 이혼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1) 경제적 문제
- 여성이라면 전망이 더욱 어둡다
- 사회학자 레노르 와이츠만은 이혼혁명이라는 책에서 이훈 후 일년 된 남성이 42% 증가 하는 반면 여성의 생활수준은 73% 감소한 것으로 보고.
수입감소가 주거이동과 열악한 주택상황 야기
(2) 내 남폄감은 어디에
- 인구센서스 조사국에 의하면 이혼녀는 이혼남보다 재혼의 가능성이 낮다
- 30p 이후 이혼한 여성의 40%가 재혼하지 않는다 → 유사한 연력대의 남성이 어린 여성과 결혼하기 때문이다
- 완벽한 새 파트너와의 친밀감과 로맨스를 찾고나 결혼을 깨 버리는 여성은 대신 홀로 남겨진다는 상상을 해볼 필요가 있다
(3) 싱글이 된다는 것이 상처의 극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혼자된다는 것이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망가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 거절에 대한 두려움
- AIDS에 대한 공포
- 새로운 사람의 특이한 기질을 알고 적응해 나가는것
- 다시 신뢰하기 위해애쓰는 것
→ 이 모든 것이 독신생활에 있어 실제로 도전이 된다
3) 이혼은 모든 연령대의 자녀들에게 상처를 준다
(1) 부부가 이혼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 이혼하는 것이다
- 아이들에게 안전과 보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 형제들이 찢어지고 가족원들이 다른 편이 된다
- 어머니나 아버지가 영원히 함께할 것이라는 불문율이 깨졌다
(2) 자녀들 입장에서 이혼은 영원하다
- 클레어 벌맨의 조사 중
“우리 부모의 이혼은 내 심장에 구멍을 남겼고 그 구멍은 결코 메워지지 않을 거예요”
라고 말했다
- 벌맨의 발언 중
“부모의 이혼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2. 착각이 문제를 야기한다
1) 착각1. 우리의 문제는 너무 오래 지속되었고 변화하기에는 너무 늦었어요
(1) 미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대부분 불행한 부부들의 공통점이 미래에 대해 근시안적이고, 과거에 고정되어 현재에는 비난과 역비난의 미로속에 빠져있다
(2) 내 남편은 결코 변하지 않을 거예요
→ 특별한 상황(예 : 재정적인 문제)에서 보이는 남편의 반응을 마치 그것이 그를 대표하는 특성인양 생각하고 있다
(3) 타고난 천성의 문제가 아니다
→부부는 모드 자신들 부부 문제가 고착된 바람직한 성격 때문이라고 믿고있다
(4) 당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다
→ 어느 누구도 습관을 깰 수 있으며, 나쁜습관을 좋은 습관으로 바꿀 수 있다
(5) 자기충족적 예언
→로젠탈 효과 [1960년대 사회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과 그 동료는 ‘실험자 편견(experimenter bias)’라는 현상 연구에서 실험자의 기대가 실제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20% 아동 무작위를 선정하여 우수한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지명되었을 때 교사들은 그들이 우수한 학업성취를 나타냈으며 특별한 지적성취를 보였다고 함, 즉 우수하다고
서로 사랑하라. 그러나 사랑으로 얽어매지는 마라.
그보다도 그것으로 너희 혼과 혼의 두 언덕 사이에 뛰노는 바다 같게 하라.
서로 서로의 잔을 채워 주라. 그러나 한 잔으로는 같이 마시진 마라.
서로 서로 제 빵을 주라. 그러나 한 조각으로 같이 먹진 마라.
노래하고 같이 춤추고 즐기라. 그러나 서로 서로 혼자있게 해 주라.
마치 거문고의 줄들이 한 가락에 떨기는 하여도 줄은 서로 따로따로 이듯이.
너희 마음을 서로에게 주라. 그러나 서로 아주 내맡기지는 마라.
결혼에 대하여, 칼리 지브란
Ⅰ. 왜 결혼을 유지해야 하는가
1. 이혼이 답이 아니다
1) 이혼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 사람이 이혼하는 이유
(1) 고통스럽고 사랑도 없는 파괴적인 관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2) 새로운 파트너를 만나거나 아니며 홀로 살며 더욱 만족스러운 삶을 찾기 위해
→ 목적은 반드시 이혼을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 이혼을 고려한다면 배우자가 언제나 아이들의 부모라는 사실을 기억해야한다
2) 이혼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1) 경제적 문제
- 여성이라면 전망이 더욱 어둡다
- 사회학자 레노르 와이츠만은 이혼혁명이라는 책에서 이훈 후 일년 된 남성이 42% 증가 하는 반면 여성의 생활수준은 73% 감소한 것으로 보고.
수입감소가 주거이동과 열악한 주택상황 야기
(2) 내 남폄감은 어디에
- 인구센서스 조사국에 의하면 이혼녀는 이혼남보다 재혼의 가능성이 낮다
- 30p 이후 이혼한 여성의 40%가 재혼하지 않는다 → 유사한 연력대의 남성이 어린 여성과 결혼하기 때문이다
- 완벽한 새 파트너와의 친밀감과 로맨스를 찾고나 결혼을 깨 버리는 여성은 대신 홀로 남겨진다는 상상을 해볼 필요가 있다
(3) 싱글이 된다는 것이 상처의 극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혼자된다는 것이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망가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 거절에 대한 두려움
- AIDS에 대한 공포
- 새로운 사람의 특이한 기질을 알고 적응해 나가는것
- 다시 신뢰하기 위해애쓰는 것
→ 이 모든 것이 독신생활에 있어 실제로 도전이 된다
3) 이혼은 모든 연령대의 자녀들에게 상처를 준다
(1) 부부가 이혼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 이혼하는 것이다
- 아이들에게 안전과 보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 형제들이 찢어지고 가족원들이 다른 편이 된다
- 어머니나 아버지가 영원히 함께할 것이라는 불문율이 깨졌다
(2) 자녀들 입장에서 이혼은 영원하다
- 클레어 벌맨의 조사 중
“우리 부모의 이혼은 내 심장에 구멍을 남겼고 그 구멍은 결코 메워지지 않을 거예요”
라고 말했다
- 벌맨의 발언 중
“부모의 이혼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2. 착각이 문제를 야기한다
1) 착각1. 우리의 문제는 너무 오래 지속되었고 변화하기에는 너무 늦었어요
(1) 미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대부분 불행한 부부들의 공통점이 미래에 대해 근시안적이고, 과거에 고정되어 현재에는 비난과 역비난의 미로속에 빠져있다
(2) 내 남편은 결코 변하지 않을 거예요
→ 특별한 상황(예 : 재정적인 문제)에서 보이는 남편의 반응을 마치 그것이 그를 대표하는 특성인양 생각하고 있다
(3) 타고난 천성의 문제가 아니다
→부부는 모드 자신들 부부 문제가 고착된 바람직한 성격 때문이라고 믿고있다
(4) 당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다
→ 어느 누구도 습관을 깰 수 있으며, 나쁜습관을 좋은 습관으로 바꿀 수 있다
(5) 자기충족적 예언
→로젠탈 효과 [1960년대 사회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과 그 동료는 ‘실험자 편견(experimenter bias)’라는 현상 연구에서 실험자의 기대가 실제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20% 아동 무작위를 선정하여 우수한 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지명되었을 때 교사들은 그들이 우수한 학업성취를 나타냈으며 특별한 지적성취를 보였다고 함, 즉 우수하다고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 속 인물들의 사랑유형; '사랑의 심리학'을 읽고
설득의 심리학을 읽고 통계의 이용사례와 독후감
학습심리학, 인생의 안내자 멘토가 나오는 영화 '코치카터'를 읽고
오델로(오셀로)를 읽고 - 등장인물, 작품 줄거리 소개, 이아고의 무동기의 악, 심리학적 비평
프레임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를 읽고 나서
교육심리학- 창의력이란'을 읽고 쓴 감상문
김혜남의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를 읽고
영원히 철들지 않는 남자들의 문화심리학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를 읽고
오드리 넬슨, 수잔 골런트의 '오해의 심리학'을 읽고
[리더십독후감] '대화의 심리학'을 읽고
[독후감]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 <프레임>을 읽고 _ 최인철 저
심리학 서평 - 콘라트 로렌츠의 ‘솔로몬의 반지’를 읽고
[독후감] 이철우의 <심리학이 연애를 말하다>를 읽고
미움받을용기를 읽고 독후감 알프레드아들러 심리학 철학 사회학 자기계발 베스트셀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