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이론과 삶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용이론과 삶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性\'의 존재형식으로서의 \'中\'은 감정의 先決定性의 배제를 뜻한다. \'性\'의 표현 형식으로서의 \'和\'는 감정의 적절한 발현을 의미한다. 감정의 발현이 적절하기 위해서는 그 주체로서의 \'性\'이 어떤 편견에 의해서도 굴절되지 않은 순수한 내적 평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 순수한 내적 평정 상태가 바로 \'性\'의 \'中\'이다. 이 \'性\'의 \'中\'은 감정의 미발 상태이다. 감정의 미발상태인 \'性\'의 자리가 어떠한 감정에 의해서도 좌우되지 않는 \'중립성\'을 유지하고 있기에 그것은 상황에 직면하여 가장 적절한 감정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가장 적절한 감정의 표출을 미발인 중립적 \'性\'의 中節을 얻은 發이라하고, 和라하며, 道라고 한다.
행위의\'中\'에 있어서 그것이 시간적 질서 속에서 말하여 질 때는 그것은 군자의 \'時中\'으로 나타나고 그것이 공간적 질서 속에서 말하여 질 때는 그것은 순임금의 \'用中\'으로 나타난다. 어쨌든 이러한 행위의 \'中\'은 존재론적 \'中\'의지지 하에 달성될 수 있는 이차적인 \'中\'이라 할 수 있다. 『중용』의 中은 한마디로 이야기해서 객관성·보편성을 보장하여 주는 도덕의 존재, 형식을 의미하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키워드

중용,   이론,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