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자원봉사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 들어가기… 3


♧ 영국의 자원봉사활동… 3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
♣자원봉사활동의 조직과 현황

♧미국의 자원봉사활동… 5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
♣자원봉사활동의 조직과 현황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7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
♣자원봉사활동의 조직과 현황

본문내용

치하여 경상이익의 1%를 매년 사회공헌비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1%클럽’을 만들었으며, 같은 해 기업에 의한 예술문화 지원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업 메세나(예술문화 지원)협의회’도 발족하였다.
- 지역사회와 연계한 자원봉사 활동조직체 구성-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체제였다. 정비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 주체를 지역사회복지협의회로 하고 그 외 ‘운영위원회’, ‘추진협의회’, ‘연락협의회’를 설치 운영하였다.(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7)
- NGO(국제비정부기구)의 발달, 자원봉사 추진체계 체계화
2) 자원봉사활동의 조직과 현황
(1)선의은행 : 일본은 1945년부터 1970년대 초기까지 민생위원제도와 공동모금을 정책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민간부문에서는 1962년에 도쿠시마(德島)현 사회복지협의회가 금품과 서비스 제공기간으로 설치했던 ‘선의은행’이 도도부현(都道府懸), 시구정촌 사회복지협의회로 확대되면서 자원봉사 개발과 수급조정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였다. 1962년에 설립된 선의은행은 1975년 이후 사회복지협의회 조직 내의 ‘볼런티어 센터’로 개칭되었으며 볼런티어 코너 역시 1981년에 동경도 사회복지협의회에 이관되어 사회복지협의회 내의 조직으로 개편되었다.
(2)자원봉사센터
1962년 설립된 선의은행은 1975년 자원봉사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일본의 각 지역과 지방에는 자원봉사센터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데, 이는 정부위탁기관으로 설립된 사회복지협의회(Council of Social Welfare)가 그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자원봉사센터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고 배치하여 자원봉사자들이 관심을 둔 사람이나 단체들에 연결시켜 주며,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교육을 추진 등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중 많은 부분이 정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는 사회복지 협의회를 통해 자원봉사센터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3)볼런토피아 사업
1980년대는 자원봉사자 영역을 다양화하고, 운영주체를 다원화하고, 다양화하는 분권화 사업이 추진되었다.
(4)학생자원봉사화동
일본은 한신, 아와이, 고베 지진 등과 같은 사건이 있은 후에 많은 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 하였다. 예를 들어 1967년에 발족한 일본청소년봉사협회 는 청년들의 자원봉사를 위한 전국센터의 역할을 할 만큼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와세다 대학 또한 자원봉사센터에서 학생 중심의 발상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5)자원봉사 유급휴가
후지 제록스사는 1990년 초에 이미 사회봉사 프로그램(Social Service Program)을 전개하였다. 이 회사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직원들에게 2년 동안의 유급휴가를 허용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시민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후지 제록스사의 영향으로 많은 회사들이 이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기업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늘어나면서 지방의 공공기관에서도 소속공무원들에게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여도 이를 휴가로 인정해주는 제도를 도입하는 곳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6)기업의 사회공헌활동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복지관계 8법 복지관계 8법 개정(1990년)의 내용은 재가복지서비스와 시설복지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책임이 시정촌에 부과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정촌은 노인보건복지계획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 단계에서의 사회복지개혁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가정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일본 독자의 복지사회(일본형 복지사회)의 구축을 기본과제로 하여 ①수익자부담의 강화, ②재가복지의 충실, ③시정촌의 역할 중시, ④서비스 공급체제의 다양화 등을 목표로 하였다.
이 대폭적으로 개정되어 시정촌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 추진체계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정촌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도 강화 되었다. 한편 이때부터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활발해져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부활동과 사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제도적인 자원 활동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일본 경제단체 연합은 1990년 자원봉사 활동 및 모금활동의 창구가 되는 “사회 공헌부”를 개설하였고, 1%클럽이라 하여 세전 이익의 1%와 시간의 1%를 사회봉사 활동에 사용하자는 데 동의하는 기업들의 모임을 이끌고 있다.
1995년 한신. 아와지 대지진은 기업의 사회공헌을 확산 시키는 전환점이 된다. 자원봉사 교육, 코디네이터 양성, 자원봉사 단체간의 네트워크 추진, 자원봉사 정보시스템 구축 등이 이 시기에 이루어 졌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