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모델과 TCP/IP의 모델을 비교 설명하고, OSI 7계층 모델에서 각 계층이 담당하는 역할과 특성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SI 모델과 TCP/IP의 모델을 비교 설명하고, OSI 7계층 모델에서 각 계층이 담당하는 역할과 특성에 대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OSI 7Layer
2. TCP/IP
3. OSI와 TCP/IP의 비교
4. OSI 7계층 모델에서 각 계층이 담당하는 역할과 특성

본문내용

계층에서 의해서 제공되는 비트 파이프(pope)를 패킷화한 링크(Link)로 변환하게 한다.
· 흐름제어(Flow control)
보내는 측과 받는 측간의 속도차를 보상하는데 필수적인 흐름제어
· 에러제어(Error Control)
에러 보정을 위한 에러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 물리 전송 매체의 특징상 오류와 잡을 이 랜덤하게 작용할 확률이 높으므로 전송오류를 검출하고 이것을 수정하며 비동기 통신에서는 단지 에러검출 기능만을 제공하게 되나 동기통신에서는 에러 검출 및 수정 기능 모두를 제공한다.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패킷들을 모아 재전송 하며, 이는 송신측에서 타이머와 ACK신호에 의해 전송에러를 알 수 있다. →ARQ
· 순서제어(Sequence Control)
패킷이나 ACK신호를 잘못 혼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패킷과 ACK신호에는 Squence numer(일련번호)가 부여되어야 만 한다.
· 링크 관리
네트워크 엔티티 간에 데이터 링크의 설정, 유지, 단락 및 데이터 전송 등을 제어
· 매체 접근 제어
다양한 매체 및 회선형태의 수용 등
궁극적으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들은 인전하여 접속된 기기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정송로로 전화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3) Layer3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계층이란 OSI 7계층 모델에서 3계층에 해당되는 기능을 하는 계층을 말하며, 이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IP및 X2.5가 있다.
- 역할과 특징
· 경로제어 (라우팅)
단말기 혹은 컴퓨터가 어떤 망에 접속되어 있을 때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가 망을 통 해서 어떻게 상대방 수신측까지 전달되는가를 제어 하는 일을 담당 즉, 발신에서 착신까지 패킷의 경로를 제어한다. 하나 이상의 복수 통신망을 통한 중계를 하며, 개방시스템칸의 데이터를 전송
· 투명성
상위의 Transport Layer4(layer)가 경로선택과 중계등 망계층 고유의 기능에 대하여 의식하지 않도록 투명하게 하는 역할
· 논리적 주소체게 부여
라우팅과 관련된 주소의 지정등 주소체께 정립
· 연결지향성 및 비연결성 서비스 제공
망계층은 상위의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연결지향성 및 비연결성 서비스 모두를 제공한다. 연결지향 서비시는 연결의 설정, 사용, 해제를 위한 프리미티브를 가짐.
4) Layer4 - 전송 , 트랜스포트 계층(Tran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은 어떤 종유

키워드

OSI,   OSI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