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및 재혼과 가족복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혼및 재혼과 가족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3

이혼과 가족 복지·······3

재혼과 가족복지········17

본문내용

감정이라면 다른 여자를 만나는 것 정도는 참을 수 있다
37%
성적인 관계가 아니라면 참을 수 있다
13%
깊은 관계라도 일시적이라면 참는다
6%
남편의 외도는 종류불문하고 모른 척 한다
5%
남편 이외의 다른 남자와 섹스를 해보고 싶은 욕망
있다
82%
없다
18%
외도 상대로 생각나는 사람
예전의 남자친구이거나 실제로 아는 사람
80%
드라마나 영화의 상상속의 남자
12%
기타
8%
다른 남자를 만나고 싶은 생각이 들 때
부부싸움이 컸을 때
18%
남편이 출장갔을 때
16%
늦은 시간 커피를 마실 때
14%
남편이 늦게 들어올 때
10%
남편이 외박할 때
8%
만나는 남자가 있는 경우 주로 하는 일
섹 스
40%
데이트
25%
키스까지
20%
술을 마시며 사는 얘기를 한다
25%
만나고 싶은 남편 이외의 남자스타일
남편과 정반대 스타일
69%
남편과 비슷한 스타일
24%
기타
7%
4. 드라마 속 외도
①푸른 안개(KBS2)
푸른 안개의 주인공인 성재(이경영)는 40대로 한 가정의 남편이자 아버지로, 우연한 계기를 통해 20대의 젊은 스포츠댄스 강사 신우(이요원)를 만나게 된다. 똑같이 반복되던 생활에서 지루함을 느끼던 주인공은 신우의 춤추는 모습과 천진난만한 성격에 빠져들게 되고 아빠를 잃어 실의에 빠졌던 신우도 성재에게 푸근함을 느낀다. 이 일로 아내와 불화를 겪게 된 성재는 회사에 사직서를 낸 뒤 잠적한다. 신우도 현실의 벽을 깨닫고 과거를 잊은 뒤 대학친구 민재와 결혼한다. 이 드라마에서 자신의 삶을 허물어뜨리면서까지 사랑을 선택했던 성재의 ‘위험한’ 사랑은 시청자들 사이에 적잖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심리학자들의 해석대로라면 드라마 속의 성재가 사랑을 선택한 것은 육체가 아니라 마음이 그리웠기 때문인데 그렇다고 해도 이 또한 도덕적인 사회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외도라고 본다. 육체적 사랑만이 아니라 마음의 사랑 또한 외도라고 생각한다.
② 앞집여자(MBC)
주인공 미연(유호정)은 전업주부로써 남편을 내조하고 아이를 키우는 평범한 아내였다. 그러나 남편이 아이의 가정교사인 자신의 후배와의 외도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다 대학 동창생인 정우를 만나고 전업주부로 살면서 다소 위축돼 있던 미연에게 자신감을 불어 넣어주어, 당당한 사회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 여러 번의 만남을 통해 둘 사이에 애틋한 감정이 생기면서 미연 역시 바람을 피우게 되고, 남편과의 갈등 끝에 미연은 남편과 이혼하고 애경(변정수)의 샌드위치 가게를 인수해 당당한 홀로서기를 한다. 첫사랑과도 헤어졌다. 여기서 작가는 여자의 문제는 ‘누구와’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를 말하고 있다. 푸른 안개가 남편만의 외도를 말했다면 앞집여자는 남편의 외도뿐만이 아니라 여성의 외도도 함께 이야기 하면서 그 동안 결혼한 여성이 가정에 충실하고 남편이외의 남성과의 사랑을 터부시 해오고 여성의 삶을 희생해왔다면 앞집여자의 주인공인 미연은 첫사랑과 헤어지기는 했지만 남편에게서 느끼지 못했던 사랑도 해보고 자기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혼 후에도 경제적 독립을 이룬 미연을 보고 어쩔 수 없이 이혼했다면 경제적 독립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 동안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희생당해왔던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모습이 좋았다.
Ⅲ. 외도가족의 문제점과 가족 복지적 대책
1. 외도의 문제점 및 영향
사람들은 모두 저마다의 꿈을 가지고 결혼을 한다. 그러나 우리가 잘 알다시피 거의 모든 결혼 생활은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각각의 결혼생활은 소용돌이를 갖기 때문에 우리는 여러 문제로 좌절하기도 하고 갈등을 겪기도 한다. 외도는 아마도 이 가운데서 우리에게 가장 고통을 안겨주는 사건 중의 하나일 것이다. 외도의 영향은 외도의 유형에 따라 그리고 각자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또한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를 것이다. 따라서 그 영향을 단적으로 잘라 말하는 것은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1) 부정한 배우자
1) 죄책감
외도에서의 절정 단계를 넘기면서 부정한 배우자는 결혼생활의 위태로움과 배우자를 속인 비밀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외도 상대자와의 행복한 감정이 서서히 식게 되면 죄책감과 부끄러움이 밀려온다. 이전에는 비밀로 진행되는데서 오던(자신들의 관계가 특별하다거나 각별하다는, 그래서 더 애틋하고 소중하게 느껴지는) 긍정적인 측면의 생각들이 자신의 배우자와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면하게 되면서 엄청난 죄의식과 수치심으로 고통 받는다. 이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세 측면에서 죄책감을 갖는다.
㉠ 자기 자신에 대한 죄책감 : 자신의 가치관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한 죄책감이다. 특히, 도덕적인 사람, 종교적인 사람들은 양심과 교리에 비추어 속죄의 죄책감이 일어난다.
㉡ 배우자, 자녀, 부모 등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 : 이들을 속인 것, 그리고 이들이 상처받을 것에 대한 죄책감이 일어난다.
㉢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갖게 되는 죄책감 : 예기치 않은 불길한 일이 생기거나, 일상생활 또는 직장 일이 잘 풀려나가지 않는 등 좋지 않은 문제가 일어나면 자신이 외도에 전념한 결과로 생각되어 죄의식에 사로잡힌다.
2)이중생활의 긴장
부정한 배우자의 가장 큰 갈등은 별개의 이중생활 즉 결혼생활과 혼외생활을 유지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어렵고 엄청난 긴장을 가져오는 일이다. 부정한 배우자는 그의 배우자나 자녀 앞에서는 가족을 절대로 속이지 않는 헌신적인 남편(아내)이자 아버지(어머니)이어야 하는 동시에 외도 상대자에게는 끊임없는 사랑과 관심을 주어야 하는 완전히 또 다른 이미지를 보여야 한다. 이런 종류의 거짓 생활은 지속적으로 속임수를 써야 하며, 그 관계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 세심한 관리를 해야해 나가기 결과 정신적으로 힘기 모험과 투쟁을 치뤄야해 나가기 리고 자신의 욕구 가운데 일부분은 결과 정에서 채우고 다른 일부분은 혼외 관계에서 채우려고 하나기 어떤 관계에서도 확고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이중생활의 긴장욕구 가운자신의 세계를 지속해 나가기가 어렵다가기어느해 쪽 또는 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