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진국과 개도국의 경제관
2. 개도국의 무역 현황
3. 선진국과 개도국 GDP비교
4. 개도국의 경제성장이 선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2. 개도국의 무역 현황
3. 선진국과 개도국 GDP비교
4. 개도국의 경제성장이 선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지만 때로는 심지어 자신의 정치 연합 세력으로부터조차 지지를 얻지 못한다. 버락 오바마, 니콜라스 사르코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와 최근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의 상황을 떠올려 봐도 그렇다. 브라질과 같은 나라의 정부들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과는 정 반대되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선진국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것들에 관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공화당과 민주당 간 이념전쟁을 가리키는 '문화전쟁'이 존재하는가 하면, 유럽연합과 유로의 미래에 관한 논란도 극을 달리고 있다. 여기에 일본은 세계 시장에서 자국의 역할만을 쉴새 없이 주장하고 있다. 개도국들 역시 나름의 다툼이 있긴 하지만 선진국이 되고자 하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태국과 같이 난국에 처한 개도국들도 있는가 하면, 독일과 같은 부유국 일부는 자신들을 둘러싼 경제적 혼란에도 불구,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균형 축은 분명 옮겨간 듯 하다. 이 같은 축의 변화가 놀랄 일은 아니다. 개도국 사람들은 더 많은 부를 원하고 이들보다 먼저 부를 축적한 이들로부터 기꺼이 배우려는 태도를 보인다. 반면 문화적 충돌과 관련, 선진국들은 로마제국이 쇠락하기 시작한지 2천년이 다 지나가는데도 도대체 자신들이 뭐를 잘못하고 있는 것인지 알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原題: "Developing countries turn to South-South trade," Reuters, 2/8, 2009
한국시장경제연구소
에드워드 하다스 칼럼니스트; 번역 권지언 기자
참고문헌
原題: "Developing countries turn to South-South trade," Reuters, 2/8, 2009
한국시장경제연구소
에드워드 하다스 칼럼니스트; 번역 권지언 기자
추천자료
[WTO통상협정] 우루과이라운드
[WTO협상] 도하개발아젠다협상 분석
뉴라운드 이후 한국이 나아갈 방향
WTO DDA(도하개발아젠다) 농업협상 동향과 문제점
한미간의 FTA
협약과 관련된 사항 20가지
한국 10년의 선택을 읽고난 느낌과 감상
한국 무역의 현주소
[국제기구]United Nations Volunteers (국제연합봉사단) 연구조사 보고서
[국제경제관계의 제유형] 이념적, 기능적, 제도적 분류
자원 및 에너지, 환경문제와 국제경제의 관계 및 국가경제관계
제Ⅳ장 서비스무역에 관한 WTO 규범
교토의정서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_PCD의 정의 및 필요성,국내 정책 일관성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