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발달사
2.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와 비교 분석
1) 지역사회복지의 출발 분석 , 제언
2) 재가보호중심 서비스로의 전환 분석 , 제언
3) 지방정부 및 민간참여 전달체계로의 전환 분석, 제언
4) 전문사회사업 분석, 제언
2.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와 비교 분석
1) 지역사회복지의 출발 분석 , 제언
2) 재가보호중심 서비스로의 전환 분석 , 제언
3) 지방정부 및 민간참여 전달체계로의 전환 분석, 제언
4) 전문사회사업 분석, 제언
본문내용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기 위해서 사회복지협의회가 지역의 사회복지기관 및 단체간의 업무 조정과 분담,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시 참여,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각종 행사 개최 및 훈련 프로그램 마련, 지역사회 자원의 분배와 조정을 위한 지역사회 network 형성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이 재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사회운동 차원에서 지역사회 환경개선을 위한 활동전략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4) 전문사회사업 분석
전문사회사업의 등장에 있어 국가별 특색을 살펴보면,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국은 1950년대 중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generalist에 대한 전문가 과정에 시작되었고, 1970년 영국사회사업가협회 형성, 1971년 중앙사회사업교육위원회 설치 등으로 전문사회사업가 양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47년 대학에서의 전문사회사업교육이 실시되었고, 현재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시험제도로 전환하여 전문사회사업가 양성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였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과 같은 지역사회 중심의 전문사회사업을 전개하는 전문인력양성체제가 만들어지고 있다.
<표 4> 전문사회사업의 등장에 있어 국가별 특색
영 국
한 국
1950년대 중반 generalist에 대한 전문가 과정이 시작
↓
국가사회사업의 기본적 성격이 generic social work으로 변화(1970년 시봄개혁),
↓
generic social work은 구체성 결여에 따른 문제로 specialist 서비스의 재활성화를 통한 사회사업 전문직의 고유성이 강조
↓
사회사업 전문자격증의 통합 움직임으로 사회사업 전문직의 정체성에 심각한 위협(대처 정권)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사회사업과가 설치( 이후 전국 80개 대학에서 사회복지교육을 실시)
↓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자격증 관련과목으로 필수 10과목, 선택 4과목으로 지정 사회복지사1급자격증 시험제
도입 (2003년 1월 1일부터),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과 같은 지역사회 중심의 전문사회사업을 전개하는 전문인력양성체제 마련
지역사회복지 전문인력이 양성되기 위해서는 연차적으로 모든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국가시험제도로 전환하여야만 하고, 지역사회복지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자격증 제도의 신설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강화하여 대학교육과정 중 실천 현장에서의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현장실습시간을 대폭 늘여야만 하고, 대학에서는 사회복지실습 전담교수를 배치하여 이론교육과 현장 실습을 병행하여 전문 인력양성에 노력하여야만 하며, 실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실습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실습 프로그램 설치, 기관간의 실습 연계체계 구성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사회복지 전문인력에 대한 의무재교육 과정이 사회복지협의회 차원에서 마련되어 사회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회복지 실천지식이 습득되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4) 전문사회사업 분석
전문사회사업의 등장에 있어 국가별 특색을 살펴보면,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국은 1950년대 중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generalist에 대한 전문가 과정에 시작되었고, 1970년 영국사회사업가협회 형성, 1971년 중앙사회사업교육위원회 설치 등으로 전문사회사업가 양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47년 대학에서의 전문사회사업교육이 실시되었고, 현재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시험제도로 전환하여 전문사회사업가 양성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였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과 같은 지역사회 중심의 전문사회사업을 전개하는 전문인력양성체제가 만들어지고 있다.
<표 4> 전문사회사업의 등장에 있어 국가별 특색
영 국
한 국
1950년대 중반 generalist에 대한 전문가 과정이 시작
↓
국가사회사업의 기본적 성격이 generic social work으로 변화(1970년 시봄개혁),
↓
generic social work은 구체성 결여에 따른 문제로 specialist 서비스의 재활성화를 통한 사회사업 전문직의 고유성이 강조
↓
사회사업 전문자격증의 통합 움직임으로 사회사업 전문직의 정체성에 심각한 위협(대처 정권)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사회사업과가 설치( 이후 전국 80개 대학에서 사회복지교육을 실시)
↓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자격증 관련과목으로 필수 10과목, 선택 4과목으로 지정 사회복지사1급자격증 시험제
도입 (2003년 1월 1일부터),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과 같은 지역사회 중심의 전문사회사업을 전개하는 전문인력양성체제 마련
지역사회복지 전문인력이 양성되기 위해서는 연차적으로 모든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국가시험제도로 전환하여야만 하고, 지역사회복지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자격증 제도의 신설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강화하여 대학교육과정 중 실천 현장에서의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현장실습시간을 대폭 늘여야만 하고, 대학에서는 사회복지실습 전담교수를 배치하여 이론교육과 현장 실습을 병행하여 전문 인력양성에 노력하여야만 하며, 실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실습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실습 프로그램 설치, 기관간의 실습 연계체계 구성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사회복지 전문인력에 대한 의무재교육 과정이 사회복지협의회 차원에서 마련되어 사회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회복지 실천지식이 습득되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추천자료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
[ICT][정보통신기술]미국과 영국의 정보통신기술교육정책(ICT), 프랑스와 싱가폴의 정보통신...
[ICT]영국과 미국의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스웨덴과 캐나다의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
[ICT]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영국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스페인의 정보...
외국의 ICT활용교육정책(정보통신기술) 동향, 미국과 영국의 ICT활용교육정책(정보통신기술),...
한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북한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대만 영재교육과...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의 의의, 한국의 신자유주의, 일본의 신자유주의, 홍콩의 신자유주의,...
영국과 캐나다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호주와 뉴질랜드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정책, 캐나다와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ICT]영국과 미국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스페인과 덴마크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에 대한 해외의 반응 - 일제의 야만성을 규탄한 중국, 거족적 행동...
[호스피스의 발달과정] 호스피스의 역사적 배경 외국(영국 미국 일본)의 호스피스 역사 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