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웨슬리의 성화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 웨슬리의 성화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다. 그리하여 그가 사망한 해에 영국에 294명의 설교자와 71,668명의 감리교인이 있었고 미국 등 외지에 있는 감리교인을 합하면 교인 약 12만명과 511명의 설교자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숫자적인 경이가 웨슬레의 전도 운동을 대변해 주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에 못지않은 아니 이를 성취시킨 불타는 그의 구령 열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
웨슬레 선교 운동의 두번째 특징은 그의 평신도를 동원하는 조직적인 전도 활동이었다고 본다.
1739년부터 5년간의 순회 곧 전도 여행은 웨슬레에게 있어 전도 전략을 수립하게 하였다. 이 조직이 바로 평신도를 동원하는 전도 운동이었다. 이 조직체의 책임자는 목사가 아닌 평신도였다. 그리고 평신도 설교자를 훈련시켰다. 뿐만 아니라 여자 평신도 전도자를 등용하였다. 오늘날에는 평신도 운동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18세기 웨슬레 당시에만 해도 로마 카톨릭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어 사제의 권위를 강조하는 영국 사회에서 평신도가 설교를 한다거나 더욱 여자가 설교한다는 것은 당시 종교계에 대한 도전이요. 일종의 대혁명이며 나아가 사회를 크게 경악케 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원래 조그만 신도회라는 모임으로부터 시작된 전도 운동으로 이것이 후에 큰 성과를 보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4인의 목사와 45인의 평신도 전도인들로 한 팀씩 만들어 성서적 기독교를 그 땅위에 심기 위하여 쉬지 않고 뛰었다. 그 결과 런던에 2천명 가량의 신도가 모여졌고 속회 제도가 원만히 이루어졌으며 신도회의 연합회 헌장이 발표되었다.
오늘의 선교에 있어서도 교회의 선교 구조가 평신도 중심으로 개조되어야 한다는 말을 늘 듣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선교를 위한 교회의 훈련과 보다 새롭게 진취적인 방법을 개발해야 하는 일이 아울러 요청되고 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가는 인구와 도시화, 산업화, 분업화하면서 사회가 다양해져 가며 주일에 교회에 나오고 싶어도 나올 수 없는 특수 직장 인들도 많아져 가는 오늘의 특수한 상황이 또한 평신도 중심의 기능적인 선교를 요청하고 있다. 우리는 나 하나 또는 내 교회 하나 만을 아는 근시안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세계의 일터를 내다보면서 보다 넓게 그리고 보다 멀리까지 흩어지는 교회로서의 선교 구조 개편이 시급한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한 지도자 훈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번째 특징은 그의 그의 선교운동에 성결의 복음이라는 건설적이며 훌륭한 신학 사상이 뒷받침하고 있었다는 데 있다.
18세기 신학에도 조직신학이 없었으므로 그는 특별히 조직신학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설교를 통해 그의 신학적 교리를 가르쳤다. 웨슬레를 단순히 열정적인 부흥사요 조직적인 전도자로서만 알고 있는 것은 불충분하다. 그의 설교를 주의 깊게 읽어보게 되면 그가 단순히 종교의 체험에서만 가르친 것이 아니라 위대한 신학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에는 부흥운동이나 선교운동에 무슨 특별한 신학적 뒷받침이 필요하겠는가 생각했으나 최근에도 이 문제를 대단히 중요시하게 다루게 되었다. 즉, 신학의 뒷받침과 그 깊이가 없는 전도는 전도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도자는 신학을 공부해야 하며 오늘날 세계 선교는 깊은 신학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웨슬레의 설교를 읽으면 그 설교도 오늘날의 흔한 부흥 설교와는 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그의 설교는 신학 연설이라고 할만큼 깊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한 설교가 18세기 영국에 그토록 놀라운 부흥을 가져왔다는 사실에 우리는 새롭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면 웨슬레의 중심 사상은 무엇이 있나? 한마디로 성결 기독자의 온전이라고 할 수 있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는다고 하는 교리는 종교개혁의 슬로건이었고 개신교의 기본 교리라 할 것이다. 웨슬레의 구원론은 성결을 강조한다.
그러면 이 성결론이 오늘의 선교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의의는 무엇인가? 예정론에 의한 구원의 확신은 우리를 긍정적인 의미에서 적극적인 헌신의 생활로 인도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부정적인 의무에서 이해될 때 "나는 이미 택함 받았으니 내가 무슨 짓을 하든지 버리시지 않으신다."는 방심과 나태와 외식적 생활로 이끌기 쉽고 이웃에 대해 무관심하기 쉽다. 따라서 웨슬레는 부도덕과 극도의 타락 속에 있는 사회의 구원을 생각하였다. 중생이라는 일회적 사건으로 모두 끝난 것이 아니고 성결을 향한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와같이 웨슬레의 성결론은 우리의 선교의 방향과 목표를 분명히 하여준다. 웨슬레의 선교운동은 곳곳에서 회개를 일으키며 많은 결신자를 얻었으나 몇명의 구령이 그의 업적의 전부가 아니었으며 웨슬레의 운동이 영국 사회를 구원하였으나 그가 인권 운동이나 사회 혁명을 주장하는 운동을 했던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일찍이 역사상에 없었던 웨슬레의 사회 구원의 역사는 어떻게 이루어 졌는가? 그것은 거듭 말하거니와 그의 성결의 복음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았다고 하는 사실에 그치지 않고 계속하여 성결을 향해 정진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결과적으로 사회를 정화시키고 사회를 구원하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기독자의 사회 참여라던가 사회 개혁을 강조하는 때가 과거에 있었던가? 그러나 그러한 강조가 과연 얼마나 사회를 구원하였는가? 한 권력에 대한 반항 운동은 그에 대한 반동으로 인해 점점 어지러워 가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 필자가 보는 견지에서는 벽에 부딪쳤고 얼마 안 있어 키를 돌릴 것으로 보인다.
웨슬레는 훌륭한 신학자요 동시에 전도자로서 선교에 끼친 공헌과 사회 개혁에 끼친 업적이 너무도 뚜렷하다. 이제까지 웨슬레의 선교운동의 특징을 크게 세가지로 살펴보았으나 문제는 이제 우리에게 있다. 그는 훌륭한 신학으로 사회를 이끌었다. 또 그는 뜨거운 열정으로 그리고 온 세계를 향한 비전을 가지고 조국을 구했다. 우리는 선교 개념을 정돈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확신을 회복하여 사회 도피적 고립주의나 이와 반대로 개인 구원을 부정하고 사회 구원만 외치는 행위 곧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곡해와 불신을 지양하고 성결의 역사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1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