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골각기, 기둥을 세우고 가운데 화덕자리에서 불을 피운 움집
군(무리)사회(구석기)→부족사회(신석기)→군장국가(청동기)→초기연맹왕국(철기)→고대국가
cf. 동예,옥저는 왕이 없는 군장국가, 부여,고조선,가야는 초기국가에서 멈춤
예술은 신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전
Ⅱ. 신석기시대의 문화
신석기시대의 유물
cf. 중석기: 잔(세)석기, 1만년전
전기(BC6000-3500) 북방계 선빗살무늬토기: 납작밑무늬토기, 덧무늬(융기문)토기, 이른민무늬(원시무늬없는)토기. 서해안에서만 전형적 빗살무늬토기
중기(BC3500-2000) 북방계 빗살무늬토기: 생선뼈무늬(어골즐문)토기
후기(BC2000-1000) 중국영향 변형빗살무늬토기: 파상문토기, 뇌문토기
cf. 청동기는 민무늬(무늬없는)토기, 회도(와질,김해토기)
전기,중기는 다른 계통의 고아시아족
후기는 북중국의 채도문화와 농경문화를 가져와 선주민을 동화시킨 퉁구스계 종족, 이들이 한민족의 기원이 됨(청동기 예맥족이 기원이라는 설도 있다)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토기, 간석기(마제석기), 의생활 시작, 후기에 가서야 농경(피,조)
중앙에 화덕이 있는 원형,방형의 움집(수혈주거)
씨족, 족외혼, 모계사회(청동기부터 부계),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장신구(패면), 울주반구대 암각화
cf. 패총(조개무디)은 쓰레기장으로 신석기와 철기시대에 발견됨, 청동기는 없다.
제2장 청동기문화와 군장국가
Ⅰ. 청동기문화
청동기문화의 성립
BC10c, 알타이계통의 예맥족, 적갈색 팽이형이나 화분형의 민무늬토기(빗살무늬토기는 회색)
초기에는 만주 요령식 비파형동검, 많은꼭지 거친무늬거울(다뉴조문경)
BC4-3c에는 중국문화와 혼합되어 한국적인 독특한 세형동검, 잔무늬거울(세문경)
청동기인의 생활
야산이나 구릉에서 농경을 주로 함, 후기부터 벼농사, 청동기 농기구는 없다.
장방형의 움집은 얕아져 지상가옥에 가까와짐, 화덕은 한쪽 구석으로
거석문화(선돌, 고인돌)
무덤: 고인돌(지석묘), 돌널무덤(석관묘), 돌무지무덤(적석총), 독무덤(옹관묘)
cf. 철기문화는 널무덤(토광묘, 청동기와 철기문화 복합), 독무덤, 돌방무덤(석실묘)
Ⅱ. 군장국가
동해안지역의 군장국가
옥저: 읍락의 장수 삼로, 민며느리제(예부제), 골장제
동예: 읍락의 장수 후,읍군,삼로, 호랑이신, 양잠, 중국과 교역(단궁,과하마,반어피), 읍락을 침범하면 노비와 우마로 변상케 하는 책화, 불내예후국은 초기국가 직전까지 감.
남방지역의 군장국가
辰國에 이어 마한의 목지국이 주도권.
신지,읍차(장수,거수), 국읍옆에 천군의 소도란 별읍(제정분리)
마한,진한,변한의 백제국, 사로국, 구야국이 성장
cf. 위지 동이전에서 당시의 군장국가들을 國이라 칭함.
cf. 부여의 영고,고구려의 동맹,동예의 무천,삼한의 시월제는 씨족공동체의 유풍
제2편 古代社會
제1장 초기국가의 성립
Ⅰ. 국가의 성립
철기의 사용
BC4c에 중국에서 들어온 철기가 세형동검(조형은 비파형동검)과 함께 사용
철제농기구(낫,괭이,보습)
Ⅱ. 고조선과 한군현
초기국가 고조선
단군신화: <삼국유사>, <제왕운기>, 권람의 <응제시>주, <세종실록>지리지
이동설(요서에서 대동강)과 고조선 요령설이 있다.
초기국가 형태로 발전한 것은 BC5-4c
연의 전성시대인 BC4-3c에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음
8조금범
1.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2. 남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 배상한다.
3.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고, 스스로 재물을 내고 죄를 면하려는 자는 1인당 50만전을 내야 한다.
?. 부인들이 정신하여 음란하지 않았다...(간음죄로 보여짐)
위씨조선
위만이 BC194에 준왕을 축출하고 위만조선을 세움
진번,임둔등을 복속시켜 광대한 영토국가를 이룩하고 남방의 진국이 한과 직접 교역하는 것을 막아 동방무역의 이득을 독점.
우거왕의 피살, 왕검성의 함락으로 한에게 멸망(BC108)
한군현
낙랑,진번,임둔,현도(위치는 異說이 많음)
중국의 군현정치는 이민족에 대한 식민지지배이면서도 토착적인 국읍체제를 인정하여 원주민은 어느 정도 자율성을 확보하여 성장함.
Ⅲ. 초기국가의 확대
초기국가 부여
국왕 밑에 마가,우가,구가,저가등 제가와 대사자,사자의 관리, 제가는 사출도를 거느리며 대소군장의 후신인 대가,호민이 지배층(하호는 모든 군장,초기국가의 피지배층), 부여는 494년 고구려에게 멸망됨
영고에서는 죄인을 풀어줌, 兄死取嫂, 1채12법, 후장과 순장(대부분 국가에 있던 조상숭배신앙의 풍습으로 초기국가에서 더 확대, 신라 지증왕때 가서야 금할 정도로 늦게까지 존속), 간음,투기녀를 사형에 처함, 물과 가뭄등으로 5곡이 잘 영글지 못하면 제가들의 결정으로 왕을 바꾸거나 죽임.
초기국가 고구려
태조왕때 옥저를 복속하고, 영토확장
5부(계루부,소노부,절노부,순노부,권노부), 계루부에서 대군장, 상가,대로,패자,고추가,우태,주박,승,사자,조의,선인
왕족인 계루부의 귀족과 전왕족인 소노부 및 왕비족인 절노부의 적통대인은 모두 ‘고추가’를 칭하였다고 한 것은 종래의 군장국가 중에서도 유력한 부족의 귀족이 우대되고 일반군장과 구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
고조선의 역계경이나 니계상참 등의 예나 부여,고구려의 대가들의 모습에서 종래의 군장세력의 잔존을 알 수 있다.
동맹에서 시조신을 받들고 종묘를 세우는 국가행사를 함.
제2장 고대국가의 발전
Ⅰ. 고대국가의 성립
고구려의 발전
태조왕: 요동공격, 계루부 高씨의 왕권확립, 중앙집권
고국천왕: 왕위계승이 부자상속(백제는 4c근초고왕, 신라는 5c눌지왕), 진대법
동천왕: 오와 친교, 서안평 공격실패
미천왕: 서안평 점령, 낙랑,대방 축출(313)
고국원왕: 백제의 침입(근초고왕)
소수림왕: 불교,태학(372), 율령
백제의 발전
고이왕: 서진에 사신을 파견, 6좌평과 16관품, 공복제정, 율령
근초고왕: 정복사업, 서진,왜와 교섭, 왕위부자상속, 국사편찬
침류왕: 불교
신라의 발전
내물왕: 김씨 왕위세습 확립, 마립간, 영토확보
눌지왕: 나제동맹(433), 왕위부자상속
소지왕: 우역을 두고 역로를 수리, 시장 개설
가야연맹
중심이 김해의 본(금관)가야에서 고령의 대가야로
군(무리)사회(구석기)→부족사회(신석기)→군장국가(청동기)→초기연맹왕국(철기)→고대국가
cf. 동예,옥저는 왕이 없는 군장국가, 부여,고조선,가야는 초기국가에서 멈춤
예술은 신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전
Ⅱ. 신석기시대의 문화
신석기시대의 유물
cf. 중석기: 잔(세)석기, 1만년전
전기(BC6000-3500) 북방계 선빗살무늬토기: 납작밑무늬토기, 덧무늬(융기문)토기, 이른민무늬(원시무늬없는)토기. 서해안에서만 전형적 빗살무늬토기
중기(BC3500-2000) 북방계 빗살무늬토기: 생선뼈무늬(어골즐문)토기
후기(BC2000-1000) 중국영향 변형빗살무늬토기: 파상문토기, 뇌문토기
cf. 청동기는 민무늬(무늬없는)토기, 회도(와질,김해토기)
전기,중기는 다른 계통의 고아시아족
후기는 북중국의 채도문화와 농경문화를 가져와 선주민을 동화시킨 퉁구스계 종족, 이들이 한민족의 기원이 됨(청동기 예맥족이 기원이라는 설도 있다)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토기, 간석기(마제석기), 의생활 시작, 후기에 가서야 농경(피,조)
중앙에 화덕이 있는 원형,방형의 움집(수혈주거)
씨족, 족외혼, 모계사회(청동기부터 부계),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장신구(패면), 울주반구대 암각화
cf. 패총(조개무디)은 쓰레기장으로 신석기와 철기시대에 발견됨, 청동기는 없다.
제2장 청동기문화와 군장국가
Ⅰ. 청동기문화
청동기문화의 성립
BC10c, 알타이계통의 예맥족, 적갈색 팽이형이나 화분형의 민무늬토기(빗살무늬토기는 회색)
초기에는 만주 요령식 비파형동검, 많은꼭지 거친무늬거울(다뉴조문경)
BC4-3c에는 중국문화와 혼합되어 한국적인 독특한 세형동검, 잔무늬거울(세문경)
청동기인의 생활
야산이나 구릉에서 농경을 주로 함, 후기부터 벼농사, 청동기 농기구는 없다.
장방형의 움집은 얕아져 지상가옥에 가까와짐, 화덕은 한쪽 구석으로
거석문화(선돌, 고인돌)
무덤: 고인돌(지석묘), 돌널무덤(석관묘), 돌무지무덤(적석총), 독무덤(옹관묘)
cf. 철기문화는 널무덤(토광묘, 청동기와 철기문화 복합), 독무덤, 돌방무덤(석실묘)
Ⅱ. 군장국가
동해안지역의 군장국가
옥저: 읍락의 장수 삼로, 민며느리제(예부제), 골장제
동예: 읍락의 장수 후,읍군,삼로, 호랑이신, 양잠, 중국과 교역(단궁,과하마,반어피), 읍락을 침범하면 노비와 우마로 변상케 하는 책화, 불내예후국은 초기국가 직전까지 감.
남방지역의 군장국가
辰國에 이어 마한의 목지국이 주도권.
신지,읍차(장수,거수), 국읍옆에 천군의 소도란 별읍(제정분리)
마한,진한,변한의 백제국, 사로국, 구야국이 성장
cf. 위지 동이전에서 당시의 군장국가들을 國이라 칭함.
cf. 부여의 영고,고구려의 동맹,동예의 무천,삼한의 시월제는 씨족공동체의 유풍
제2편 古代社會
제1장 초기국가의 성립
Ⅰ. 국가의 성립
철기의 사용
BC4c에 중국에서 들어온 철기가 세형동검(조형은 비파형동검)과 함께 사용
철제농기구(낫,괭이,보습)
Ⅱ. 고조선과 한군현
초기국가 고조선
단군신화: <삼국유사>, <제왕운기>, 권람의 <응제시>주, <세종실록>지리지
이동설(요서에서 대동강)과 고조선 요령설이 있다.
초기국가 형태로 발전한 것은 BC5-4c
연의 전성시대인 BC4-3c에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음
8조금범
1.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2. 남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 배상한다.
3.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고, 스스로 재물을 내고 죄를 면하려는 자는 1인당 50만전을 내야 한다.
?. 부인들이 정신하여 음란하지 않았다...(간음죄로 보여짐)
위씨조선
위만이 BC194에 준왕을 축출하고 위만조선을 세움
진번,임둔등을 복속시켜 광대한 영토국가를 이룩하고 남방의 진국이 한과 직접 교역하는 것을 막아 동방무역의 이득을 독점.
우거왕의 피살, 왕검성의 함락으로 한에게 멸망(BC108)
한군현
낙랑,진번,임둔,현도(위치는 異說이 많음)
중국의 군현정치는 이민족에 대한 식민지지배이면서도 토착적인 국읍체제를 인정하여 원주민은 어느 정도 자율성을 확보하여 성장함.
Ⅲ. 초기국가의 확대
초기국가 부여
국왕 밑에 마가,우가,구가,저가등 제가와 대사자,사자의 관리, 제가는 사출도를 거느리며 대소군장의 후신인 대가,호민이 지배층(하호는 모든 군장,초기국가의 피지배층), 부여는 494년 고구려에게 멸망됨
영고에서는 죄인을 풀어줌, 兄死取嫂, 1채12법, 후장과 순장(대부분 국가에 있던 조상숭배신앙의 풍습으로 초기국가에서 더 확대, 신라 지증왕때 가서야 금할 정도로 늦게까지 존속), 간음,투기녀를 사형에 처함, 물과 가뭄등으로 5곡이 잘 영글지 못하면 제가들의 결정으로 왕을 바꾸거나 죽임.
초기국가 고구려
태조왕때 옥저를 복속하고, 영토확장
5부(계루부,소노부,절노부,순노부,권노부), 계루부에서 대군장, 상가,대로,패자,고추가,우태,주박,승,사자,조의,선인
왕족인 계루부의 귀족과 전왕족인 소노부 및 왕비족인 절노부의 적통대인은 모두 ‘고추가’를 칭하였다고 한 것은 종래의 군장국가 중에서도 유력한 부족의 귀족이 우대되고 일반군장과 구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
고조선의 역계경이나 니계상참 등의 예나 부여,고구려의 대가들의 모습에서 종래의 군장세력의 잔존을 알 수 있다.
동맹에서 시조신을 받들고 종묘를 세우는 국가행사를 함.
제2장 고대국가의 발전
Ⅰ. 고대국가의 성립
고구려의 발전
태조왕: 요동공격, 계루부 高씨의 왕권확립, 중앙집권
고국천왕: 왕위계승이 부자상속(백제는 4c근초고왕, 신라는 5c눌지왕), 진대법
동천왕: 오와 친교, 서안평 공격실패
미천왕: 서안평 점령, 낙랑,대방 축출(313)
고국원왕: 백제의 침입(근초고왕)
소수림왕: 불교,태학(372), 율령
백제의 발전
고이왕: 서진에 사신을 파견, 6좌평과 16관품, 공복제정, 율령
근초고왕: 정복사업, 서진,왜와 교섭, 왕위부자상속, 국사편찬
침류왕: 불교
신라의 발전
내물왕: 김씨 왕위세습 확립, 마립간, 영토확보
눌지왕: 나제동맹(433), 왕위부자상속
소지왕: 우역을 두고 역로를 수리, 시장 개설
가야연맹
중심이 김해의 본(금관)가야에서 고령의 대가야로
추천자료
[대중문화][대중문화의 정의][대중문화의 발전과정][대중문화와 예술][대중문화 평가][대중매...
[문화][문화정책][문화정책 사례][문화정책 내용][문화정책 발전 과제]문화정책의 변화, 문화...
[문화정책][문화예술][문화산업][호주][한국][정보화사회]문화정책의 기본 원칙, 문화정책의 ...
[문화정책][문화산업][문화컨텐츠][문화콘텐츠][문화]문화정책의 이해, 문화정책의 범위, 문...
[문화정책][호주의 문화정책][한국의 문화정책]문화정책의 기본 원칙, 문화정책의 구분과 특...
[문화정책][문화정책 활용방안][문화정책 사례][문화산업]문화정책의 범주, 문화정책의 변화,...
[북한문화][북한음악][북한문화 문예정책][북한음악 성격][북한음악 음악정치]북한문화의 특...
[성문화][성문화 의미][성문화 발전][성문화 제고 방안][청소년 성문화][대학생 성문화][남성...
[성문화][성문화 시대별 변천][가부장제][신앙][혼전동거][성문화 제고방안]성문화의 정의, ...
[다문화가족의이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다문화가정 현황, 다문화가정...
[기업문화][기업][문화][기업문화 의미][기업문화 중요성]기업문화의 의미, 기업문화의 중요...
[다문화의 이해] 다문화실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 죽음과 장례문화 문화간호환경의 변화 ...
상방과 문화 집단 - 진상과 진상 문화, 휘상과 휘상 문화, 소흥 사야, 강서 문화의 흥망성쇠....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문화충격 극복방안 - 문화충격 감소방안 및 관강문화충격 극복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