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랑스 사회복지 발달사와 현재 프랑스 사회복지의 정책
2. 프랑스 사회복지 제도
3. 한국 사회복지 발달사과 제도
4. 프랑스 사회복지의 특징
5. 한국 사회복지의 특징
6.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프랑스 사회복지 제도
3. 한국 사회복지 발달사과 제도
4. 프랑스 사회복지의 특징
5. 한국 사회복지의 특징
6.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격이상, 가족의 해체, 산업 현장의 적응문제 등에서 생기는 개인, 가족, 특수인구집단의 제반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해야 할 만큼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혜욕구가 달라져 가고 있다.
셋째 사회복지 관련법의 제정과 실천, 그리고 개선적인 측면에서도 1960대 초에 아동복지법과 생활보호법 등이 제정공포되면서 1990년 초에는 장애인 고용촉진법, 국민연금법의 제정 실시 등 각종 공적 부조법과 사회보험법 등이 제정되어 사회보장에 관련된 법의 기초에서 사회복지 행정과 제도의 개선을 지향하고 있다.
넷째 사회복지의 교육과 연구활동 측면에서 살펴보면 1950년과 60년대는 주로 미국의 전통적인 사회사업방법론 중심의 대학교육이 진행되어 왔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복지수혜자의 확대, 사회복지 관련법의 제정, 정부의 사회복지 시책 등이 발표되면서 정책중심의 사회복지 교육을 강조해오면서, 90년대에는 많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하여 한국에 맞는 적절한 교육모델과 세계선진 여러 나라의 비교사회복지에 관심을 확대해 나가는 추세로 발전해왔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부터는 몇몇 대학에서 사회복지 관련학과를 설치하여 교육의 세분화를 지향해 왔다.
6. 결론 및 시사점
지금까지 한국과 프랑스의 사상과 시대별로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의 개괄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과 프랑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놓고 볼 때, 어느 것이 더 적당한가, 아니면 양자의 절충과 조화의 기준은 무엇일까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의 정서적 연대, 공동체적 연대감의 본질을 보다 정확히 측량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교 불교가 지향하는 이상이 至難한 과제인데 비하여, 서구의 사회민주주의의 평등 지향의 이념과 그 제도, 시민적 권리의 원리와 제도적 보장 등의 내용은 보다 실제적이고 비교적 용이한 과제로 인식된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와 불교의 도덕을 수용하고 그에 입각한 인격체의 양성을 위한 교육 및 修身의 노력을 하는 바탕 위에, 서구에서 논의되는 시민적 권리 및 복지국가의 원리와 제도를 수용하여 실천하는 것을 과업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는 복지사상에 부합하는 우리의 전통사상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발전시키려는 의지가 시민적 권리와 연관된 진정한 복지국가의 실현을 가능케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연명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인간과복지, 2003.
이영환 편, 한국의 사회복지운동, 인간과 복지, 2004.
셋째 사회복지 관련법의 제정과 실천, 그리고 개선적인 측면에서도 1960대 초에 아동복지법과 생활보호법 등이 제정공포되면서 1990년 초에는 장애인 고용촉진법, 국민연금법의 제정 실시 등 각종 공적 부조법과 사회보험법 등이 제정되어 사회보장에 관련된 법의 기초에서 사회복지 행정과 제도의 개선을 지향하고 있다.
넷째 사회복지의 교육과 연구활동 측면에서 살펴보면 1950년과 60년대는 주로 미국의 전통적인 사회사업방법론 중심의 대학교육이 진행되어 왔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복지수혜자의 확대, 사회복지 관련법의 제정, 정부의 사회복지 시책 등이 발표되면서 정책중심의 사회복지 교육을 강조해오면서, 90년대에는 많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하여 한국에 맞는 적절한 교육모델과 세계선진 여러 나라의 비교사회복지에 관심을 확대해 나가는 추세로 발전해왔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부터는 몇몇 대학에서 사회복지 관련학과를 설치하여 교육의 세분화를 지향해 왔다.
6. 결론 및 시사점
지금까지 한국과 프랑스의 사상과 시대별로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의 개괄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과 프랑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놓고 볼 때, 어느 것이 더 적당한가, 아니면 양자의 절충과 조화의 기준은 무엇일까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의 정서적 연대, 공동체적 연대감의 본질을 보다 정확히 측량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교 불교가 지향하는 이상이 至難한 과제인데 비하여, 서구의 사회민주주의의 평등 지향의 이념과 그 제도, 시민적 권리의 원리와 제도적 보장 등의 내용은 보다 실제적이고 비교적 용이한 과제로 인식된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와 불교의 도덕을 수용하고 그에 입각한 인격체의 양성을 위한 교육 및 修身의 노력을 하는 바탕 위에, 서구에서 논의되는 시민적 권리 및 복지국가의 원리와 제도를 수용하여 실천하는 것을 과업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는 복지사상에 부합하는 우리의 전통사상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발전시키려는 의지가 시민적 권리와 연관된 진정한 복지국가의 실현을 가능케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연명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인간과복지, 2003.
이영환 편, 한국의 사회복지운동, 인간과 복지,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