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어린왕자 분석
위대한 개츠비 분석
원고지, 이근삼 분석
위대한 개츠비 분석
원고지, 이근삼 분석
본문내용
서양소설을 한편 읽고 그 서양소설의 등장인물의 특성과 처해있는 환경, 등장인물들과의 관계, 등장인물이 왜 그런 행동을 하였는지, 작가는 이 행동을 통하여 무엇을 알리려고 했는지
어린왕자 분석
1. 작품분석하기
어린왕자는 꽃과 별과 길들여짐의 의미,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디엔가 샘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과 자기가 길들인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 그리고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는 가슴저린 내용들로 어린왕자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작품의 멧세지는 온갖 부조리와 악의 가득차 서로 반목하고 질시하는 삭막한 세상에서 “사람들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순수한 아이들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라는 것이다. 어린왕자는 비행기 고장으로 사막에 불시착한 “나” 라는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양 한 마리를 그려 달라며 다가온 어린왕자 이야기를 들려 주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 안에 “어린왕자” 이야기가 들어 있는 액자식 구성으로 짜여져 있으며 사물을 의인화해서 나타낸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시대적 배경
제2차 세계대전 발발하던 시기로 당시 세계는 전쟁과 반목, 질시가 끓이지 않는 때 이다 / 어린왕자 발표된 1943년 전시체제 였고, 작가는 암울했던 그 시기 단편들을 어린왕자에서 의인화하여 사람들끼리의 평화로운 세상을 간절히 바랐습니다
3. 공간적 배경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한가운대에서 작중 화자인 “나”와 어린왕자“ 사이에 대화가 진행되는데 사막이라는 공간적 배경이 당시 어두운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볼수 있다
4. 등장하는 소재 들
(1) 보아뱀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그림을 어른들은 모자로 밖에는 보지 않는다.
(2) 바오밥나무
어린이들에게 바오밥나무를 조심하라고 합니다 / 그것은 어른들이 자칫 어린들에게 되돌릴 수 없는 위험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음을 상징 한다
(3) 장미꽃 한 송이
어린왕자는 처음 자기 별에 핀 장미꽃 한 송이 까달스러움만이 눈에 보였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장미꽃이 자기 별에 향기를 풍겨 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었음을 나중에 깨달게 된다
(4) 길들여지는 것의 의미
여우는 어린왕자에게 “길들여진다는 것” 은 “서로 관계를 맺는다”는 것임을 일깨워 주고, 일단 길들여진 후에는 서로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 이에 이린왕자는 자신의 꽃에 책임을 져야함을 느끼게 한다
(5) 여우의 비밀
눈으로는 아무것도 볼 수 없어,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보아야 해 “ 라고 어린왕자에게 가르쳐 준다
(6) 화산의 의미
지구는 어른들 세계이고 그곳의 화산은 너무커서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어린왕자 별은 어린이 세계이고, 그곳의 화산은 정성껏 쑤셔만 주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습니다 이른 어른들의 세계와 어린이 세계를 대비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7) 임금님의 별
임금님을 절대 군주이고, 절대 군주라는 독재자임을 말한다 모든 것을 지배하고자 하나 사실은 아무것도 지배할 수 없습니다 , 임금님 별은 스스로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고 만족하며 사는 독재자 별입니다
(8) 허영쟁이 별
아무런 이유없이 모든 사람으로부터 찬미를 받을 수 없다, 허영쟁이 별은 무조건 찬미를 받으려는 이기주의자 별이다
(9) 술고래의 별
목적도 없고, 이유도 없는 도대체 자신이 무엇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모르는 어른들의 자화상이다
(10) 상인의 별
상인의 별은 숫자이지만 어린왕자 눈에 보이는 것은 별의 아름다움이다 상인의 별은 가치없는 것에 매달려 사는 어른들의 별이다
(11) 점등인의 별
자기 이익이나 만족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것들을 위해 스스로 희생하며 봉사하는 의미 있는 사람들의 별이다
(12) 지리학자의 별
지리학자 별은 당시 상황으로 볼때 식민지 넓히려는 어른들의 별이다
(13) 지구에서 만난 뱀
어린왕자는 나중에 뱀의 도움으로 자신이 떠나 온 별로 돌아가게 된다 돌아갈 때는 몸보다도 영혼이 먼저 떠난다, 영혼은 가장 먼저 가장 멀리 도달할 수 있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14) 3개의 꽃잎을 가진 하잖은 꽃
이 하
어린왕자 분석
1. 작품분석하기
어린왕자는 꽃과 별과 길들여짐의 의미,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디엔가 샘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과 자기가 길들인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 그리고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는 가슴저린 내용들로 어린왕자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작품의 멧세지는 온갖 부조리와 악의 가득차 서로 반목하고 질시하는 삭막한 세상에서 “사람들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순수한 아이들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라는 것이다. 어린왕자는 비행기 고장으로 사막에 불시착한 “나” 라는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양 한 마리를 그려 달라며 다가온 어린왕자 이야기를 들려 주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 안에 “어린왕자” 이야기가 들어 있는 액자식 구성으로 짜여져 있으며 사물을 의인화해서 나타낸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시대적 배경
제2차 세계대전 발발하던 시기로 당시 세계는 전쟁과 반목, 질시가 끓이지 않는 때 이다 / 어린왕자 발표된 1943년 전시체제 였고, 작가는 암울했던 그 시기 단편들을 어린왕자에서 의인화하여 사람들끼리의 평화로운 세상을 간절히 바랐습니다
3. 공간적 배경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한가운대에서 작중 화자인 “나”와 어린왕자“ 사이에 대화가 진행되는데 사막이라는 공간적 배경이 당시 어두운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볼수 있다
4. 등장하는 소재 들
(1) 보아뱀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그림을 어른들은 모자로 밖에는 보지 않는다.
(2) 바오밥나무
어린이들에게 바오밥나무를 조심하라고 합니다 / 그것은 어른들이 자칫 어린들에게 되돌릴 수 없는 위험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음을 상징 한다
(3) 장미꽃 한 송이
어린왕자는 처음 자기 별에 핀 장미꽃 한 송이 까달스러움만이 눈에 보였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장미꽃이 자기 별에 향기를 풍겨 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었음을 나중에 깨달게 된다
(4) 길들여지는 것의 의미
여우는 어린왕자에게 “길들여진다는 것” 은 “서로 관계를 맺는다”는 것임을 일깨워 주고, 일단 길들여진 후에는 서로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줍니다 . 이에 이린왕자는 자신의 꽃에 책임을 져야함을 느끼게 한다
(5) 여우의 비밀
눈으로는 아무것도 볼 수 없어,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보아야 해 “ 라고 어린왕자에게 가르쳐 준다
(6) 화산의 의미
지구는 어른들 세계이고 그곳의 화산은 너무커서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어린왕자 별은 어린이 세계이고, 그곳의 화산은 정성껏 쑤셔만 주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습니다 이른 어른들의 세계와 어린이 세계를 대비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7) 임금님의 별
임금님을 절대 군주이고, 절대 군주라는 독재자임을 말한다 모든 것을 지배하고자 하나 사실은 아무것도 지배할 수 없습니다 , 임금님 별은 스스로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고 만족하며 사는 독재자 별입니다
(8) 허영쟁이 별
아무런 이유없이 모든 사람으로부터 찬미를 받을 수 없다, 허영쟁이 별은 무조건 찬미를 받으려는 이기주의자 별이다
(9) 술고래의 별
목적도 없고, 이유도 없는 도대체 자신이 무엇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모르는 어른들의 자화상이다
(10) 상인의 별
상인의 별은 숫자이지만 어린왕자 눈에 보이는 것은 별의 아름다움이다 상인의 별은 가치없는 것에 매달려 사는 어른들의 별이다
(11) 점등인의 별
자기 이익이나 만족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것들을 위해 스스로 희생하며 봉사하는 의미 있는 사람들의 별이다
(12) 지리학자의 별
지리학자 별은 당시 상황으로 볼때 식민지 넓히려는 어른들의 별이다
(13) 지구에서 만난 뱀
어린왕자는 나중에 뱀의 도움으로 자신이 떠나 온 별로 돌아가게 된다 돌아갈 때는 몸보다도 영혼이 먼저 떠난다, 영혼은 가장 먼저 가장 멀리 도달할 수 있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14) 3개의 꽃잎을 가진 하잖은 꽃
이 하
추천자료
영화 『Shine』에 등장하는 인물연구 : 데이빗의 영광 뒤에 숨겨진 아버지를 중심으로
<홍길동전>의 인물 갈등 양상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 적용하기 -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중국의 인물 조사하기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북한소설 「황진이」를 정독하고 작품에 나타난 인물유형의 특성(보조...
역사인물학습(인물학습, 역사교육) 정의와 의의, 역사인물학습(인물학습, 역사교육) TV프로그...
부적응적 대인관계 유형에서 다루었던 내용에 맞는 8가지 사례를 각각 TV나 영화 속에서 등장...
소설의 인물(人物character)
소설의 ‘인물’ - 손창섭 <비오는 날>을 중심으로
영영전의 인물유형과 문학적 의미
[소설][소설 이론][소설 구성][소설 플롯][소설 인물][소설 시간][소설 시점][소설 서술][플...
[전대와 근대의 충돌 독후감] 이광수의 ‘무정 (無情)’을 읽고 (이광수의 생애, 무정 줄거리, ...
TV나 영화 혹은 동화 등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 가운데 부적응적 성격장애의 특성들을 보이는...
인물의 행위를 통해 본 상처와 치유 양상 - 병신과 머저리의 두 인물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