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 현황
2.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황
3.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찬반입장
4.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반대입장
Ⅲ. 결론
참고자료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 현황
2.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황
3.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찬반입장
4.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반대입장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2배 이상 많은 약 33만 3600GWh로 전체 발전량의 59%까지 확대된다. 2가구 중 1가구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 건설과 해외 수출에 노력을 기울여, 세계 원자력 산업계에서 가장 주목 받는 나라로 떠오르고 있다.
2.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황
1) 제1 원전
▲1호기 = 지진 후 냉각 기능 상실로 핵연료 일부가 녹아내리는 노심용해 발생. 원자로 격납용기 내 증기를 외부로 방출. 지난 12일 수소폭발로 원자로 건물 외벽 붕괴. 해수 주입을 통한 노심 냉각 작업 진행 중.
▲2호기 = 냉각 기능 상실로 한때 핵연료 전체가 노출됨. 14일 3호기의 폭발로 건물 외벽에 손상 입음. 15일 오전 격압용기의 압력제어풀 부근에서 폭발음 발생. 전면적 노심용해 발생 우려 배제할 수 없음. 노심에 대한 해수 주입 작업으로 수위는 일부 회복.
▲3호기 = 13일 냉각 기능 상실. 노심용해 가능성 있음.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노심에 해수 주입. 14일 수소폭발 발생해 원자로 건물 손상. 15일 3호기 주변에서 시간당 400밀리시버트(mSv)의 높은 방사능 관측됨.
▲4호기 =
2.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황
1) 제1 원전
▲1호기 = 지진 후 냉각 기능 상실로 핵연료 일부가 녹아내리는 노심용해 발생. 원자로 격납용기 내 증기를 외부로 방출. 지난 12일 수소폭발로 원자로 건물 외벽 붕괴. 해수 주입을 통한 노심 냉각 작업 진행 중.
▲2호기 = 냉각 기능 상실로 한때 핵연료 전체가 노출됨. 14일 3호기의 폭발로 건물 외벽에 손상 입음. 15일 오전 격압용기의 압력제어풀 부근에서 폭발음 발생. 전면적 노심용해 발생 우려 배제할 수 없음. 노심에 대한 해수 주입 작업으로 수위는 일부 회복.
▲3호기 = 13일 냉각 기능 상실. 노심용해 가능성 있음.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노심에 해수 주입. 14일 수소폭발 발생해 원자로 건물 손상. 15일 3호기 주변에서 시간당 400밀리시버트(mSv)의 높은 방사능 관측됨.
▲4호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