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축과 회화(인상파 이전)
Ⅱ. 건축과 회화 (현대 회화)
Ⅲ. 교육 제도
Ⅳ. 정치와 행정
Ⅴ. 음식 문화
Ⅱ. 건축과 회화 (현대 회화)
Ⅲ. 교육 제도
Ⅳ. 정치와 행정
Ⅴ. 음식 문화
본문내용
프랑스 지역의 역사와 주요 유형 문화재
Ⅰ. 건축과 회화(인상파 이전)
1. 고딕 양식
- 수도원과 성당은 프랑스의 중세 예술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1) 로마네스크 양식
서유럽에서는 서로마의 건축양식을 모방으로 성당과 수도원을 지었는데, 이를 로마네스크 양식이라 부릅니다. 로마네스크 양식은 고딕양식이 탄생할 때까지 서유럽에서 절정을 이루었는데, 바이킹에 의해 영국으로 건너가 노르만 양식으로 발전되기도 하였습니다. 외관상 특징으로 매우 무겁고 수평적인 느낌을 주며, 후진에 블라인드 아치의 열이 늘어서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내부의 가장 큰 특징은 사각형으로 된 실내공간의 천정이 교차볼트와 반원형 아치궁륭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창문이 거의 없는 두꺼운 벽들과 굵은 기둥들이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이러한 벽에는 성경의 내용을 주제로 한 부조와 프레스코 벽화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12세기 초부터 도시가 발달하고 신자의 수가 급증하자 기존의 성당으로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제 보다 넓은 성당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리하여 로마네스크 양식은 점차 고딕 양식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2) 고딕 양식
우선 실내 공간을 넓히는 것이 급선무.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두꺼운 벽을 밖으로 밀어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내에 가는 기둥들을 늘어세워 지붕의 무게를 떠받치도록 하였답니다. 그런데 이처럼 가는 기둥들만으로 그 무거운 지붕의 하중을 견디게 할 수는 없었지요. 그래서 건물의 밖에 버트레스라 불리는 부벽을 쌓고 천정의 무게를 함께 받쳐주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이때 천정의 무게를 건물 밖의 버트레스로 전달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갈비뼈처럼 생긴 플라잉 버트레스라 불리는 공중부벽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마치 자전거의 가는 여러 개의 살이 무거운 하중을 견뎌내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천정을 매우 높게 설계함으로써 천국에 보다 더 가까이 다가가는 느낌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로마네스크 양식의 반원형 아치 궁륭을 첨두형 아치궁륭으로 대체하였던 것입니다.또한 창문이 적어 어두웠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창문을 만들고 프레스코 벽화 대신에 스테인드글래스로 장식하였습니다. 파리의 셍뜨-샤
Ⅰ. 건축과 회화(인상파 이전)
1. 고딕 양식
- 수도원과 성당은 프랑스의 중세 예술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1) 로마네스크 양식
서유럽에서는 서로마의 건축양식을 모방으로 성당과 수도원을 지었는데, 이를 로마네스크 양식이라 부릅니다. 로마네스크 양식은 고딕양식이 탄생할 때까지 서유럽에서 절정을 이루었는데, 바이킹에 의해 영국으로 건너가 노르만 양식으로 발전되기도 하였습니다. 외관상 특징으로 매우 무겁고 수평적인 느낌을 주며, 후진에 블라인드 아치의 열이 늘어서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내부의 가장 큰 특징은 사각형으로 된 실내공간의 천정이 교차볼트와 반원형 아치궁륭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창문이 거의 없는 두꺼운 벽들과 굵은 기둥들이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이러한 벽에는 성경의 내용을 주제로 한 부조와 프레스코 벽화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12세기 초부터 도시가 발달하고 신자의 수가 급증하자 기존의 성당으로는 신자들을 수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제 보다 넓은 성당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리하여 로마네스크 양식은 점차 고딕 양식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2) 고딕 양식
우선 실내 공간을 넓히는 것이 급선무.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두꺼운 벽을 밖으로 밀어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내에 가는 기둥들을 늘어세워 지붕의 무게를 떠받치도록 하였답니다. 그런데 이처럼 가는 기둥들만으로 그 무거운 지붕의 하중을 견디게 할 수는 없었지요. 그래서 건물의 밖에 버트레스라 불리는 부벽을 쌓고 천정의 무게를 함께 받쳐주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이때 천정의 무게를 건물 밖의 버트레스로 전달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갈비뼈처럼 생긴 플라잉 버트레스라 불리는 공중부벽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마치 자전거의 가는 여러 개의 살이 무거운 하중을 견뎌내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천정을 매우 높게 설계함으로써 천국에 보다 더 가까이 다가가는 느낌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로마네스크 양식의 반원형 아치 궁륭을 첨두형 아치궁륭으로 대체하였던 것입니다.또한 창문이 적어 어두웠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창문을 만들고 프레스코 벽화 대신에 스테인드글래스로 장식하였습니다. 파리의 셍뜨-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