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그리고 멘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멘토링 그리고 멘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말로 훌륭한 멘토링을 한 것이었다. 멘토는 우리나라 말로 어떻게 번역하면 좋겠는가? 클린턴의 “영적 지도자 만들기”란 책에서 이순정 박사는 멘토를 “선도자”라고 번역했고 하워드 헨드릭스의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같이”에서 전의우 목사는 멘토를 “스승”으로 번역했다. 좋은 번역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한 단어로 멘토란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충분히 표현할 수가 없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멘토가 대학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논문 지도교수를 의미하고, 스포츠에서는 코치, 무술에서는 사부, 예술에서는 사사(Mentoring)해주는 스승 등을 의미한다. 과거 도제 제도에서는 주인(Master)으로, 사회에서는 상담자 혹은 후견인 등으로, 교회에서는 양육자, 목자, 제자훈련자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기에 앞으로 멘토라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용어상에 있어 멘토(Mentor)가 그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 되는 사람을 멘토리(Mentoree). “멘토리(Mentoree)”는 풀러신학교 교수 클린턴의 용어로 영어의 피고용인(employee)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ee\"를 멘토에 붙여 만든 단어이다.
혹은 프로테제(Protege)라고 하는데 편의상 앞으로 “멘토리“라고 통일해 사용하겠다.
훈련방법으로서의 멘토링
사람을 훈련하는 방법은 보통 3가지가 있다. 공식적(Formal), 비공식적(Nonformal), 무형적(Informal) 훈련법이 있다. 공식적 훈련은 예를 들어 대학이나 신학대학, 성경학교 등 정규적 학위과정이 여기에 속하고, 비공식적 훈련은 세미나, 수련회, 집회, 워크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8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