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이어지는 진리 12~14장 정리 발표문 및 정리 (12장 개혁교회의 교회연합운동, 13장 종교개혁의 진전, 14장 보편적으로 확립된 개혁, 장로교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끊임없이 이어지는 진리 12~14장 정리 발표문 및 정리 (12장 개혁교회의 교회연합운동, 13장 종교개혁의 진전, 14장 보편적으로 확립된 개혁, 장로교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종교사[근대교회 Ⅰ] (12~13과)

12장 개혁교회의 교회연합운동
알미니안파의 항의(도르트 총회가 일어나기전의 상황)
펠라기우스와 어거스틴의 논쟁
칼빈의 5대교리와 알미니안의 5대교리
도르트총회
12장 느낀점

13장 종교개혁의 진전
휴그노의 핍박
신학자 프랑케
보에티우스와 칵세이우스와의 의견대립
윌리엄 3세의 교회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
근대교회의 흐름
13과 느낀점

14장 보편적으로 확립된 개혁, 장로교회
스코틀랜드의 장로교회의 핍박
북미에서의 개혁신앙의 기초토대
미국 부흥운동
19세기의 교회
끊임없이 이어지는 진리 싸움
스코틀랜드 대분열(에라스티아니즘)
느낀점

본문내용

네덜란드와 북아메리카로 도망쳐야 했다. 네덜란드는 당시에 모든 시민의 권리인 종교와 개인적인 예배의 자유를 누려서 많은 핍박받는 무리들이 네덜란드에 오게 되었다. 그리하여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신앙의 본거지가 되었다.
신학자 프랑케
프랑케는 자신의 삶에서 회심을 느낀 것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순간적인 개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설교를 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교리로부터 경건에로 옮기고자 했다. 프랑케는 개인적인 종교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또한 선교사역을 강화하였다. 그
보에티우스와 칵세이우스와의 의견대립
이러한 프랑케의 사역은 네덜란드 개혁교회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 보에티우스는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을 믿는 성도들의 생활에서 교리와 경건한 확신 이 둘을 분리시켜 버려서, 도르트신조로 인해 개혁교리가 더 확장되어 진리가 명확하게 되었다고 보며, 좀 더 개혁의 방향을 진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교리기준들이 과학적인 방식과 지적인 방식으로 더 발전되어야 한다고 하며, 청교도적인 삶의 양식을 개발하므로, 삶을 변형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칵세이우스는 신앙고백들이 성경의 가르침을 어둡게 만든다는 사상을 부인하면서, 언약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성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언약을 중시하였지만, 언약을 앞의 언약에 끌어들여 적용하는 것을 반대하여서, 새로운 언약들이 체결되면, 이전의 언약은 폐지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시작된 새 언약은 하나님과 자기 백성 사이의 새로운 계약이전에 확립된 옛 언약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보았다. 거기서 확장되어서, 십계명에 나온 4번째 계명도 폐지되어, 안식일이 더 이상 아무 가치 없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새 언약은 규칙과 계명들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당연히 큰 논쟁을 일으켰으며, 이 시대는 이것 외에도 더 많은 논쟁거리들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논쟁이 계속되자, 죽은 교리와 주 예수와의 살아있는 관계에 대해서 말하기 위해, 성경신학자들은 성경을 보다 더 잘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윌리엄 3세가 1694년에 평화를 고수하는 법령을 반포했다. 이 법은 교회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규칙으로 인해서 신학투쟁이 해결되지 못해서, 칵세이우스는 이전의 언약이 폐지되어서, 무제한적인 자유를 가지고 있었던 반면, 보에티우스는 교인들로 교리교육과 청교도적인 삶의 양식을 유지할 것을 가르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27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