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 시냅스종말 안으로 대사산물이 수송된 경우는 대사 전구물질로부터 재합성된 후에 소포 안에서 둘러싸인다.
5-3-3 폭주와 발산
- 하나의 신경세포에 많은 신경세포의 신경종말이 접속되어 있다면, 그 시냅스후뉴런은 다수의 신경세포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통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냅스의 접속모양을 폭주라고 한다.
- 반대로 하나의 신경세포의 축색이 갈라져서 다수의 신경세포에 접속되어 있다면 다수의 세포에 동시에 정보를 보낼 수 있는데, 이러한 시냅스 접속을 발산이라고 한다.
5-3-4 시냅스 지연과 피로
1. 시냅스 지연
- 흥분이 시냅스를 지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며, 어떤 반사가 단일시냅스성인지 또는 중복시냅스성인지는 자극이 후근으로부터 전근으로 척수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2. 시냅스 피로
- 시냅스가 되풀이하여 흥분을 전달하게 되면 피로하여 결국은 흥분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흥분이 종말단추에서 전달물질의 생산속도보다 더 빠른 빈도로 반복하여 도달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5-3-5 신경섬유 크기와 흥분전도 속도
섬유형태
기 능
평균 섬유 직경(m)
평균 전도 속도(m/초)
A
근방추 구심신경섬유, 골격근 운동신경섬유
15
100
Aβ
피부촉각과 압각 구심신경섬유
8
50
A
근방추를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
5
20
Aδ
피부 온도감각과 통각 구심신경섬유
3
15
B
교감신경 절전섬유
3
7
C
피부통각 구심신경섬유, 교감신경 절후섬유
0.5
1
- 랑비에마디 사이의 간격이 멀어서 마디와 마디 사이를 건너뛰어 충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섬유의 크기가 크고, 수초가 잘 발달되어 있을수록 흥분전도속도는 빠르다.(도약전도)
5-4 신경의 변성과 재생
5-4-1 신경의 변성
- 신경의 중추와 말초 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절단된 신경섬유 부위의 말초 쪽에 있는 섬유에는 흥분 전도능력이 없어진다.
- 변성의 원인은 질병 외상 노화 등이며, 변성에는 다음 3가지 종류가 있다.
(1) 왈러변성 : 축색이나 수상돌기가 세포체와 절단되면 말초 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는 순행성 변성을 뜻한다.
(2) 역행성변성 : 축색이 절단되었을 때 세포체가 있는 쪽으로 변성이 일어난 경우이며, 뉴런의 세포체에까지 파급되면 기능을 잃게 된다.
(3) 연접횡단변성 : 축색이 절단되면 연접된 뉴런에 염색질 용해가 일어나는 변성을 뜻하며, 주로 시각전도로에서 일어난다.
5-4-2 신경의 재생
- 말초신경섬유의 축색이 절단된 후, 역행성 변성이 세포체에 도달하기 전에 멈추면 손상된 신경섬유의 중추단으로부터 50개 내지 100개의 가느다란 가지가 새로 나오기 시작하는데, 이런 현상을 신경섬유의 재생이라고 한다.
- 재생이 진행되어 변성된 중추 쪽과 말초 쪽이 연결되면 그 신경섬유가 말초의 근육, 선과 같은 효과기와 연결됨으로써 기능적인 재생이 끝나게 된다. 이러한 뉴런의 재생은 말초신경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섬유에서는 볼 수 없는데, 그것은 중추신경계의 뉴런에는 신경의 재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경초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 시냅스종말 안으로 대사산물이 수송된 경우는 대사 전구물질로부터 재합성된 후에 소포 안에서 둘러싸인다.
5-3-3 폭주와 발산
- 하나의 신경세포에 많은 신경세포의 신경종말이 접속되어 있다면, 그 시냅스후뉴런은 다수의 신경세포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통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냅스의 접속모양을 폭주라고 한다.
- 반대로 하나의 신경세포의 축색이 갈라져서 다수의 신경세포에 접속되어 있다면 다수의 세포에 동시에 정보를 보낼 수 있는데, 이러한 시냅스 접속을 발산이라고 한다.
5-3-4 시냅스 지연과 피로
1. 시냅스 지연
- 흥분이 시냅스를 지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며, 어떤 반사가 단일시냅스성인지 또는 중복시냅스성인지는 자극이 후근으로부터 전근으로 척수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2. 시냅스 피로
- 시냅스가 되풀이하여 흥분을 전달하게 되면 피로하여 결국은 흥분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흥분이 종말단추에서 전달물질의 생산속도보다 더 빠른 빈도로 반복하여 도달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5-3-5 신경섬유 크기와 흥분전도 속도
섬유형태
기 능
평균 섬유 직경(m)
평균 전도 속도(m/초)
A
근방추 구심신경섬유, 골격근 운동신경섬유
15
100
Aβ
피부촉각과 압각 구심신경섬유
8
50
A
근방추를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
5
20
Aδ
피부 온도감각과 통각 구심신경섬유
3
15
B
교감신경 절전섬유
3
7
C
피부통각 구심신경섬유, 교감신경 절후섬유
0.5
1
- 랑비에마디 사이의 간격이 멀어서 마디와 마디 사이를 건너뛰어 충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섬유의 크기가 크고, 수초가 잘 발달되어 있을수록 흥분전도속도는 빠르다.(도약전도)
5-4 신경의 변성과 재생
5-4-1 신경의 변성
- 신경의 중추와 말초 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절단된 신경섬유 부위의 말초 쪽에 있는 섬유에는 흥분 전도능력이 없어진다.
- 변성의 원인은 질병 외상 노화 등이며, 변성에는 다음 3가지 종류가 있다.
(1) 왈러변성 : 축색이나 수상돌기가 세포체와 절단되면 말초 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는 순행성 변성을 뜻한다.
(2) 역행성변성 : 축색이 절단되었을 때 세포체가 있는 쪽으로 변성이 일어난 경우이며, 뉴런의 세포체에까지 파급되면 기능을 잃게 된다.
(3) 연접횡단변성 : 축색이 절단되면 연접된 뉴런에 염색질 용해가 일어나는 변성을 뜻하며, 주로 시각전도로에서 일어난다.
5-4-2 신경의 재생
- 말초신경섬유의 축색이 절단된 후, 역행성 변성이 세포체에 도달하기 전에 멈추면 손상된 신경섬유의 중추단으로부터 50개 내지 100개의 가느다란 가지가 새로 나오기 시작하는데, 이런 현상을 신경섬유의 재생이라고 한다.
- 재생이 진행되어 변성된 중추 쪽과 말초 쪽이 연결되면 그 신경섬유가 말초의 근육, 선과 같은 효과기와 연결됨으로써 기능적인 재생이 끝나게 된다. 이러한 뉴런의 재생은 말초신경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섬유에서는 볼 수 없는데, 그것은 중추신경계의 뉴런에는 신경의 재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경초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연과학]소화기계의 조직학적인 구조 및 기능
성인간호학 -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 기본원리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간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자궁 구조
[척수][척수손상][척수손상환자]척수의 정의, 척수의 구조, 척수의 손상, 척수의 손상 원인과...
[자연과학] 뇌의 구조와 기능
뇌의 구조
심장의 구조
뇌의 구조와 기능
일본인(일본사람)의 기질, 일본인(일본사람)의 의식구조, 일본인(일본사람)의 제국의식, 일본...
인체에서 소뇌의 구조 검토
생물학적 노화의 구체적 현상에 대해 신체 구조적인 면과 신체내부기능적인 면으로 구분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