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입
가. 혀
1)기능
2)종류
나. 침샘
다. 목구멍
라. 치아
2. 인두
3. 식도
가. 식도의 점막
※ 입, 인두, 식도에서의 소화과정
① 저작과 흡인
② 침과 기능
③ 연하운동
4. 위
※ 위의 기능
① 연동운동
② 분비
5. 소장
가. 십이지장
나. 공장
다. 회장
※ 소장의 기능
① 흡수기능
② 분비기능
③ 운동기능
6. 대장
가. 맹장
나. 상행결장
다. 횡행결장
라. 하행결장
마. s상결장
바. 직장
※ 대장의 기능
① 운동기능
② 흡수기능
③ 분변(feces)형성
.
.
.
가. 혀
1)기능
2)종류
나. 침샘
다. 목구멍
라. 치아
2. 인두
3. 식도
가. 식도의 점막
※ 입, 인두, 식도에서의 소화과정
① 저작과 흡인
② 침과 기능
③ 연하운동
4. 위
※ 위의 기능
① 연동운동
② 분비
5. 소장
가. 십이지장
나. 공장
다. 회장
※ 소장의 기능
① 흡수기능
② 분비기능
③ 운동기능
6. 대장
가. 맹장
나. 상행결장
다. 횡행결장
라. 하행결장
마. s상결장
바. 직장
※ 대장의 기능
① 운동기능
② 흡수기능
③ 분변(feces)형성
.
.
.
본문내용
돌림근육층은 유문 및 분문에서 조임근을 형성한다. 위벽의 맨 바깥층은 복막인 장막으로 덮여 있다.
※ 위의 기능
① 연동운동
위의 기능은 소화관 중에서 넓은 부분으로 섭취한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위샘에서 분비된 위액은 1일에 약 1.500~3.000ml로서 효소에 의한 산화를 시작하여 미즙(chyme)을 만든다. 또한 연동운동으로 음식물을 부수고 이를 위액과 섞으며 알콜 및 약품 등을 약간씩 흡수한다.
위체부의 중앙부근에서 윤상근의 수축에 의해 일어나서 유문부로 향하며, 처음의 연동파는 약하나, 유문부에 가까워질수록 강해진다. 또한 위체부와 유문부와의 경계부근에서는 각절흔이라 일컫는 깊은 비틀어짐이 발생한다. 대개 15~20초에 1회 비율로 연동파가 일어나며, 16~30초후에 유문에 달한다. 유문이 닫히고 이 연동운동이 수행되면 음식물 덩어리가 위액과 충분히 혼합하게 되어, 반유동성의 미즙이 된다.
② 분비
위액중 주세포에서 분비되는 펩시노겐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벽세포에서 분비된 염산의 존재하에서 펩시노겐은 활성화되어 펩신이 되고 단백질 분해를 시작하게 된다. 위점막이 위축되어 효소와 염산의 분비가 저하되면 악성빈혈이 초래되는데, 이때 특히 염산이 형성되지 않아 무산증이 초래되고 또한 비타민 B12흡수에 필요한 내인성 요소가 형성되지 않아 정상 적혈구 형성 기능이 크게 저하된다.
(위액분비의 3단계)
뇌상(cephalic phase): 배고픔, 음식의 모양이나 냄새, 음식에 관해 생각하거나 얘기하는 것
으로도 위액분비가 자극된다.
이러한 뇌상작용으로 산, 펩신, 점액이 분비된다.
위상(gastric phase): 음식물이 유문동에 도달할 때 일어난다.
장상(intestinal phase): 신경과 호르몬 기전을 포함하여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감으로
써 자극되어 장이 약간의 gastrin을 분비한다.
5. 소장
- 소장은 위의 유문에서 대장에 이르는 길이 약 6~7cm, 직경이 2~4cm인 긴 관으로서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가. 십이지장
- 십이지장은 3부위 중 가장 짧고 길이는 약 25cm인 C자형으로 오른쪽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뒤복벽에 붙어 있어 운동성이 거의 없고 그 위치에 따라 다음의 4부위로 나뉜다. 윗부
분은 첫째요추골 부위의 오른쪽에서 유문부분에 계속된 길이 5cm의 부분으로서 간의 아랫면에 이르러 내림부분으로 이행한다. 내림부분은 췌장머리의 오른쪽에서 요추골의 오른쪽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 셋째, 넷째요추골몸통 부위에 이르러 왼쪽으로 구부러지는 길이 약 7~10cm의 부위이다, 내림부분의 중간부부에 있는 큰 십이지장유두를 통해 총담관과 췌장관이 개구한다. 수평부분은 내림부분에 이어 셋째요추골의 앞쪽을 왼쪽으로 향해 수평으로 가는 길이 약 5~7cm의 부분이며, 오름부분은 수평부분에서 비스듬히 왼쪽으로 가서 둘째요추골 부위에 이르는 길이 약 2.5cm의 부분이다.
나. 공장
- 공장은 위쪽 2/5를 차지하며 명확한 경계없이 회자에 이행한다. 그러나 공장은 회장에 비하여 더
※ 위의 기능
① 연동운동
위의 기능은 소화관 중에서 넓은 부분으로 섭취한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위샘에서 분비된 위액은 1일에 약 1.500~3.000ml로서 효소에 의한 산화를 시작하여 미즙(chyme)을 만든다. 또한 연동운동으로 음식물을 부수고 이를 위액과 섞으며 알콜 및 약품 등을 약간씩 흡수한다.
위체부의 중앙부근에서 윤상근의 수축에 의해 일어나서 유문부로 향하며, 처음의 연동파는 약하나, 유문부에 가까워질수록 강해진다. 또한 위체부와 유문부와의 경계부근에서는 각절흔이라 일컫는 깊은 비틀어짐이 발생한다. 대개 15~20초에 1회 비율로 연동파가 일어나며, 16~30초후에 유문에 달한다. 유문이 닫히고 이 연동운동이 수행되면 음식물 덩어리가 위액과 충분히 혼합하게 되어, 반유동성의 미즙이 된다.
② 분비
위액중 주세포에서 분비되는 펩시노겐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벽세포에서 분비된 염산의 존재하에서 펩시노겐은 활성화되어 펩신이 되고 단백질 분해를 시작하게 된다. 위점막이 위축되어 효소와 염산의 분비가 저하되면 악성빈혈이 초래되는데, 이때 특히 염산이 형성되지 않아 무산증이 초래되고 또한 비타민 B12흡수에 필요한 내인성 요소가 형성되지 않아 정상 적혈구 형성 기능이 크게 저하된다.
(위액분비의 3단계)
뇌상(cephalic phase): 배고픔, 음식의 모양이나 냄새, 음식에 관해 생각하거나 얘기하는 것
으로도 위액분비가 자극된다.
이러한 뇌상작용으로 산, 펩신, 점액이 분비된다.
위상(gastric phase): 음식물이 유문동에 도달할 때 일어난다.
장상(intestinal phase): 신경과 호르몬 기전을 포함하여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감으로
써 자극되어 장이 약간의 gastrin을 분비한다.
5. 소장
- 소장은 위의 유문에서 대장에 이르는 길이 약 6~7cm, 직경이 2~4cm인 긴 관으로서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가. 십이지장
- 십이지장은 3부위 중 가장 짧고 길이는 약 25cm인 C자형으로 오른쪽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뒤복벽에 붙어 있어 운동성이 거의 없고 그 위치에 따라 다음의 4부위로 나뉜다. 윗부
분은 첫째요추골 부위의 오른쪽에서 유문부분에 계속된 길이 5cm의 부분으로서 간의 아랫면에 이르러 내림부분으로 이행한다. 내림부분은 췌장머리의 오른쪽에서 요추골의 오른쪽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 셋째, 넷째요추골몸통 부위에 이르러 왼쪽으로 구부러지는 길이 약 7~10cm의 부위이다, 내림부분의 중간부부에 있는 큰 십이지장유두를 통해 총담관과 췌장관이 개구한다. 수평부분은 내림부분에 이어 셋째요추골의 앞쪽을 왼쪽으로 향해 수평으로 가는 길이 약 5~7cm의 부분이며, 오름부분은 수평부분에서 비스듬히 왼쪽으로 가서 둘째요추골 부위에 이르는 길이 약 2.5cm의 부분이다.
나. 공장
- 공장은 위쪽 2/5를 차지하며 명확한 경계없이 회자에 이행한다. 그러나 공장은 회장에 비하여 더
추천자료
만성 신부전증과 사회사업가의 역할
한국교육의 발전과 교원단체의 역할 및 발전과제
한국 여성정책 발전을 위한 영국과 스웨덴 여성정책 내용비교 및 정부역할
최고정보 책임자 CIO(Chief Information Officer)의 역할과 정보시스템 이용 전략
조선중기의 정치운영방식과 이조전랑의 역할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기업지배구조의 특징, 기업지배구조의 법적 규율, 기업지배구조의 이사...
[배우][연출가][보이지 않는 연극][배우 가치][토론연극 사례][역할 연기]배우의 의의, 배우...
본인이 경험한 역할갈등의 상황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역할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
GE 전략적 인력계획-GE의 전략적 인력 계획,GE의 전략적 인력계획 성공 요인,GE 크로톤빌 연...
기업지배구조의 중요성, 기업이론, 기업지배구조의 감사위원회, 기업지배구조의 문제점, 기업...
[국가구조조정][국가복지][공기업][행정민주화][현장통제][조정방향]국가구조조정과 국가복지...
[건강가정론]사회변화에 따른 남녀 역할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보자. 나의 가족 내 남녀의 역...
인간관계론-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역할갈등의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해결하기 ...
[슈퍼비전] 슈퍼비전의 기능과 역할 ; 슈퍼비전의 유형과 특성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