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전도(ECG) 01~43
심음도(PCG) 01~6
초음파(USG) 01~8
뇌파(EEG) 01~28
근전도(EMG) 01~10
폐기능(PFT) 01~18
심음도(PCG) 01~6
초음파(USG) 01~8
뇌파(EEG) 01~28
근전도(EMG) 01~10
폐기능(PFT) 01~18
본문내용
내에 직접 찔러 넣으므로 직접 근섬유의 신경.근 단위의 활동전위를 분리하는데 유효
- 단점 : 근육 전체의 활동전위를 한번에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다.
- 종류 : 동심형 일심 침전극(신경.근 단위), 미소침전극(신경.근 단위내의 단일 근섬유)
cf) 신경.근 단위(운동단위, neuromuscular unit, NMU) : 1개의 운동신경과 그에 의해 지배되는 근섬유근 의 집합으로 척수전각세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근전도의 전극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유발근전도에는 대개 침전극을 사용한다
(2) 간섭파형은 표면전극에서는 기록할 수 없다
(3) 반사자극전극으로는 침전극이 좋다
(4) 피부표면전극은 근육전체에 대한 활동전위의 측정에 이용된다
(5) 동심형 일심침전극은 근육 개개의 활동전위
㈜ 2번 문제 참조
4. 근전도 검사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못한 것은 ?
(1) 골격근이 완전히 이완하고 있을 때 활동 전위는 나타나지 않는다.
(2) 정상 근육이 강하게 수축할 때 방전 빈도는 증가한다.
(3) 침을 근육에 찔러 넣었을 때 그 기계적 자극에 의해 스파이크 발사가 나타난다.
(4) 수축이 너무 심하면 간섭파가 되어 개개의 파형을 계측하기에 부적당하다.
(5) 간섭파가 되면 진폭이 감소한다.
㈜ (1) 근전도 파형은 수축에 의한 활동전위(방전)에 의해 생기므로 근육이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는 활동 전위에 의한 파형이 형성되지 않는다.
(2) 침전극을 근육 내에 삽입한후 정상 근육을 강하게 수축시키면 수축강도에 비례하여 방전빈도도 증가 한다.
(3) 정상 근육에 침전극을 찌를 때 일과성의 자발방전(100-300msec, 1-3mV)이 나타나며, 침전극의 움직 임이 정지되면 곧 소실되는데 이것을 자입전위(insertion potential)이라고 한다. 정상 근육에서는 반드 시 출현한다.
(4), (5)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최대수축을 하면) 방전빈도의 증가로 근활동전위가 중복되고 간섭하여 진폭이 커지고 복잡하게 되므로 개개의 NMU를 분리할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을 간섭파형(interference potential)이라고 한다.
5. 유발근전도의 파형 중에서 운동신경의 직접 자극에 의한 통상적인 근육 활동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파형은 ?
(1) F파 (2) H파 (3) M파 (5) S파 (5) T파
㈜ 유발근전도(evoked EMG)는 말초신경에 직접 전기자극을 가하여 그 신경이 지배하고 있는 근육이 수축하 여 형성되는 활동전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요한 파형은 M파, F파, H파 등이 있다.
① M파는 운동신경섬유의 직접 자극에 의한 통상적인 근육 활동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잠복시간이 짧은(수 msec) 파형으로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 신경.근 접합부 등의 상태를 반영하므로 운동신경전도속도나 반복자극검사에 주로 이용된다.
② H파는 구심성 섬유의 자극에 의하여 척수전각세포를 흥분시키는 정상적인 척수반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복시간이 긴(20-30msec) 파형으로 주로 척수반사 상태의 지표(상위중추의 영향, 척수내의 병변)로 이 용된다.
cf) H파는 M파에 비하여 잠복시간이 길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M파의 뒤쪽에 나타난다. 또한 H파는 자극 역치가 M파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약한 자극에 먼저 반응하여 출현한다.
③ F파는 운동신경섬유를 역행한 자극이 척수전각세포를 흥분시키고, 다시 운동신경을 하행함으로서 얻어 지는 근육활동 전위로 척수내 병변의 지표(말초신경의 중추부에 대한 전도속도)로 이용된다. F파는 초최 대자극의 강한 자극에 의해서 겨우 기록할 수 있으며, 진폭은 M파의 5% 이내이며, 잠복시간은 H파와 유사하다.
6. 구심성 섬유의 자극에 의하여 척수전각 세포를 흥분시키므로서 일어나는 근육활동 전위에 의한 파형은 ?
(1) A파 (2) B파 (3) F파 (4) H파 (5) M파
㈜ 5번 문제 참조
7. 다음 중 말초운동신경 전도속도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신경은 어느 것인가 ?
가. 경골신경 나. 비복신경 다. 비골신경 라. 정중신경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 말초신경전도속도(NCV)는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MCV)와 말초지각(감각)신경전도속도(SCV)가 있으며, MCV에 주로 이용되는 신경은 상지에서는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이며, 하지에서는 경골신경과 비골신경이 다. SCV에 주로 이용되는 신경은 상지에서는 운동과 감각의 혼합신경인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이며, 하지 에서는 순수 지격신경인 비복신경을 이용한다.
8. 정중신경의 주관절부, 수근관절부에서 각각 자극을 주고 모지구근에서 기록한 잠복시간의 차이가 5.0msec이고, 주관절부와 수근관절부간의 거리가 25cm일 때의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는 얼마인가 ?
(1) 5m/sec (2) 20cm/sec (3) 50cm/sec (4) 75cm/sec (5) 100m/sec
㈜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의 공식은 MCV = D(두 자극점간의 거리, mm) / T(잠복시간의 차이, msec)이므로 250mm/5msec= 50m/sec가 된다.
9. 유발근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말초운동신경 전도속도는 M파를 이용한 유발근전도이다
(2) 보통 표면전극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3) 반복 자극법은 H파를 지표로 하여 실시한다
(4) 신경을 전기자극함으로써 실시한다
(5) 잠복시간은 H파보다 M파가 짧다
10. 말초신경전도속도 측정시 주의사항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
(1) 피검자가 안정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피부온도는 15℃ 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자극전극 및 기록전극은 해당되는 부위에 정확하게 부착하여야 한다.
(4)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판정시 주의하여야 한다.
(5) 잠복시간의 측정은 적어도 10회 정도 검사하여 구하여야 한다.
㈜ (2) 저온에서는 전도속도가 감소하며, 신경전도속도 측정시 적정 피부온도는 평균 30℃(34-36℃)이므로 검 사실의 온도는 25-26℃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크고 깨끗한 파형을 얻기 위해서 자극부위는 피부 위에서 충분히 큰 파형을 유도할 수 있는 점을
- 단점 : 근육 전체의 활동전위를 한번에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다.
- 종류 : 동심형 일심 침전극(신경.근 단위), 미소침전극(신경.근 단위내의 단일 근섬유)
cf) 신경.근 단위(운동단위, neuromuscular unit, NMU) : 1개의 운동신경과 그에 의해 지배되는 근섬유근 의 집합으로 척수전각세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근전도의 전극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유발근전도에는 대개 침전극을 사용한다
(2) 간섭파형은 표면전극에서는 기록할 수 없다
(3) 반사자극전극으로는 침전극이 좋다
(4) 피부표면전극은 근육전체에 대한 활동전위의 측정에 이용된다
(5) 동심형 일심침전극은 근육 개개의 활동전위
㈜ 2번 문제 참조
4. 근전도 검사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못한 것은 ?
(1) 골격근이 완전히 이완하고 있을 때 활동 전위는 나타나지 않는다.
(2) 정상 근육이 강하게 수축할 때 방전 빈도는 증가한다.
(3) 침을 근육에 찔러 넣었을 때 그 기계적 자극에 의해 스파이크 발사가 나타난다.
(4) 수축이 너무 심하면 간섭파가 되어 개개의 파형을 계측하기에 부적당하다.
(5) 간섭파가 되면 진폭이 감소한다.
㈜ (1) 근전도 파형은 수축에 의한 활동전위(방전)에 의해 생기므로 근육이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는 활동 전위에 의한 파형이 형성되지 않는다.
(2) 침전극을 근육 내에 삽입한후 정상 근육을 강하게 수축시키면 수축강도에 비례하여 방전빈도도 증가 한다.
(3) 정상 근육에 침전극을 찌를 때 일과성의 자발방전(100-300msec, 1-3mV)이 나타나며, 침전극의 움직 임이 정지되면 곧 소실되는데 이것을 자입전위(insertion potential)이라고 한다. 정상 근육에서는 반드 시 출현한다.
(4), (5) 수축력이 지나치게 강하면(최대수축을 하면) 방전빈도의 증가로 근활동전위가 중복되고 간섭하여 진폭이 커지고 복잡하게 되므로 개개의 NMU를 분리할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을 간섭파형(interference potential)이라고 한다.
5. 유발근전도의 파형 중에서 운동신경의 직접 자극에 의한 통상적인 근육 활동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파형은 ?
(1) F파 (2) H파 (3) M파 (5) S파 (5) T파
㈜ 유발근전도(evoked EMG)는 말초신경에 직접 전기자극을 가하여 그 신경이 지배하고 있는 근육이 수축하 여 형성되는 활동전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요한 파형은 M파, F파, H파 등이 있다.
① M파는 운동신경섬유의 직접 자극에 의한 통상적인 근육 활동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잠복시간이 짧은(수 msec) 파형으로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 신경.근 접합부 등의 상태를 반영하므로 운동신경전도속도나 반복자극검사에 주로 이용된다.
② H파는 구심성 섬유의 자극에 의하여 척수전각세포를 흥분시키는 정상적인 척수반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복시간이 긴(20-30msec) 파형으로 주로 척수반사 상태의 지표(상위중추의 영향, 척수내의 병변)로 이 용된다.
cf) H파는 M파에 비하여 잠복시간이 길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M파의 뒤쪽에 나타난다. 또한 H파는 자극 역치가 M파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약한 자극에 먼저 반응하여 출현한다.
③ F파는 운동신경섬유를 역행한 자극이 척수전각세포를 흥분시키고, 다시 운동신경을 하행함으로서 얻어 지는 근육활동 전위로 척수내 병변의 지표(말초신경의 중추부에 대한 전도속도)로 이용된다. F파는 초최 대자극의 강한 자극에 의해서 겨우 기록할 수 있으며, 진폭은 M파의 5% 이내이며, 잠복시간은 H파와 유사하다.
6. 구심성 섬유의 자극에 의하여 척수전각 세포를 흥분시키므로서 일어나는 근육활동 전위에 의한 파형은 ?
(1) A파 (2) B파 (3) F파 (4) H파 (5) M파
㈜ 5번 문제 참조
7. 다음 중 말초운동신경 전도속도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신경은 어느 것인가 ?
가. 경골신경 나. 비복신경 다. 비골신경 라. 정중신경
(1) 가, 나, 다 (2) 가, 다 (3) 나, 라 (4) 라 (5) 가, 나, 다, 라
㈜ 말초신경전도속도(NCV)는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MCV)와 말초지각(감각)신경전도속도(SCV)가 있으며, MCV에 주로 이용되는 신경은 상지에서는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이며, 하지에서는 경골신경과 비골신경이 다. SCV에 주로 이용되는 신경은 상지에서는 운동과 감각의 혼합신경인 정중신경과 척골신경이며, 하지 에서는 순수 지격신경인 비복신경을 이용한다.
8. 정중신경의 주관절부, 수근관절부에서 각각 자극을 주고 모지구근에서 기록한 잠복시간의 차이가 5.0msec이고, 주관절부와 수근관절부간의 거리가 25cm일 때의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는 얼마인가 ?
(1) 5m/sec (2) 20cm/sec (3) 50cm/sec (4) 75cm/sec (5) 100m/sec
㈜ 말초운동신경전도속도의 공식은 MCV = D(두 자극점간의 거리, mm) / T(잠복시간의 차이, msec)이므로 250mm/5msec= 50m/sec가 된다.
9. 유발근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말초운동신경 전도속도는 M파를 이용한 유발근전도이다
(2) 보통 표면전극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3) 반복 자극법은 H파를 지표로 하여 실시한다
(4) 신경을 전기자극함으로써 실시한다
(5) 잠복시간은 H파보다 M파가 짧다
10. 말초신경전도속도 측정시 주의사항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
(1) 피검자가 안정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피부온도는 15℃ 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자극전극 및 기록전극은 해당되는 부위에 정확하게 부착하여야 한다.
(4)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판정시 주의하여야 한다.
(5) 잠복시간의 측정은 적어도 10회 정도 검사하여 구하여야 한다.
㈜ (2) 저온에서는 전도속도가 감소하며, 신경전도속도 측정시 적정 피부온도는 평균 30℃(34-36℃)이므로 검 사실의 온도는 25-26℃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크고 깨끗한 파형을 얻기 위해서 자극부위는 피부 위에서 충분히 큰 파형을 유도할 수 있는 점을
추천자료
병태생리 관련
생리대 시장 마케팅 분석(유한킴벌리 vs P&G)
[치위생] 구강생리학 3장.뼈조직생리, 4장.치주조직 상처치유및 임플란트 골유착기전 정리
[의약학]병태생리 [논문]
신장의 해부생리와 질환
생리학 뇌파학
소화기병태생리
그나랜,그나랜마케팅전략,그나랜기업분석,생리대시장,생리대마케팅,생리대분석
생리학실습[2주차] WBC Count.PPT자료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 치료 및 간호, 위장관계장...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자폐성 장애 - 자폐성 장애의 정의 및 개념, 자폐...
[이상심리학]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신체변형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종양아동간호, 골육종, Ewing육종, 골종양, 고형종양, Wilms종양, 횡문근육종, 종양간호, 골...
[간장질환] 간장 질환(간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간질환 영양대사 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