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당연의 3회 4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당연의 3회 4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수당연의 3회 영웅의 마음의 이정은 서악을 참소하고 참어를 지은 장형은 이연을 위태롭게 한다
4회 제주성의 호걸이 몸을 몸을 날리고 산사나무의 강당공이 도적을 만나다

본문내용

조정의 훈구대신에 연계되나 진나라가 멸망하고 수나라에 항복하여 그로 기인하여 예전 작위로 성국공이 되었다.
隋主猛然 猛然 [mngran] : 돌연히. 갑자기. 불쑥. 홀연히. 문득. 뜻밖에. =然(zhouran)忽然(hran)突然
想得:“渾字軍傍著水,其封爵爲公,者城也,正合水淹城之夢。且軍乃兵象,莫非此人便是個禍胎 禍胎 :재앙(災殃)의 근원(根源). 재앙(災殃)이 일어날 원인(原因)이나 근본(根本)이 되는 빌미
也?但其人已老,又不掌兵權,干不得甚事 甚事:何事, 무슨, 무엇?
,除非應在他子孫身上。”
수나라 군주가 갑자기 생각하길 ‘혼의 글자는 군사 군(軍)옆에 물 수()가 붙었으니 봉작이 성공이며 성 (땅 이름 성; -총10획; cheng)
이란 성이니 바로 물이 성을 적시는 꿈에 합당하다. 또 군사는 병사의 모습이니 이 사람이 곧 화를 잉태함이 아닌가? 단지 이 사람이 이미 늙어서 또 병권을 장악하지 못하고 무슨 일을 얻지 못하니 그의 자손의 신상에 반응이 있을 것이다.’
因問左右:“李渾有幾子,其子何名?”
좌우 신하에 물었다. “이혼에게 몇 명의 자식이 있고 자식은 어떤 이름인가?”
左右奏道:“李渾長子已亡,止存幼子,小名洪兒。”
좌우의 신하가 상주해 말했다. “이혼의 장자는 이미 죽고 단지 어린 아들이 있으니 아이의 이름은 홍아입니다.”
隋主聞洪兒兩字,一發驚疑,想道:“我夢中曾見城上有樹,樹上有果。樹乃本也,樹上果是木之子也,木子二字,合來正是個李字。今李家兒子的小名 小名 :어릴 때의 이름 아명(兒名)
,恰好 恰好 [qiaho] (때)마침. 잘. 바로. =恰恰(qiaqia)
的洪水的洪字,更合我之所夢。此子將來必不利于國家,當除之。”
수나라 군주는 홍아의 두 글자를 한번 놀람과 의심이 발생하여 생각했다. 내 꿈 속에 일찍이 성 위에 나무가 있고 나무 위에 열매가 있었다. 나무의 뿌리이며 나무 위의 열매는 나무[木]의 아들[子]이다. 목과 자의 두 글자를 합치면 바로 오얏 리[李]란 글자이다. 지금 이시 집안의 아들의 어릴 때 이름은 마침 홍수의 홍이란 글자이니 다시 내 꿈과 합당하다. 이 아들이 장래에 반드시 국가에 불리하니 응당 제거해야 하겠다.
遂令內侍 (가져올, 齎의 俗字 재; -총15획; j)
手至李渾家,將洪兒賜死。
곧 내시가 가져온 칙령이 이혼의 집안에 이르니 홍아는 사약을 하사받았다.
李渾逼于君命,不得不從。
이혼이 군주의 명령에 핍박받아서 부득불 따랐다.
可憐洪兒無端殞命,家號哭。
가련한 이홍아는 이유 없이 생명을 잃고 온 집안이 통곡하였다.
後人有詩歎云:
후대 사람이 시로써 한탄하여 말했다.
殷高 殷高宗[武丁] 때의 어진 재상. 고종이 꿈에서 본人相을 그리게하여 傅巖의 들에서 부열을 찾았다
與文王,因夢得良相。
은나라 고종과 주나라 문왕은 꿈에 좋은 재상을 얻었다.
楚襄風流夢,感得 感得: ①감감하여 얻음 ②영감(靈感)으로 깨달아 얻음 ③믿는 마음이 신불에 통(通)하여 바라는 것을 얻음
神女降。
초나라 양왕은 바람에 떠가는 꿈으로 신녀가 하강함을 영감으로 얻었다.
堪歎 堪歎 : 탄식해 마지않는다
隋高祖,惡夢添魔障。
수나라 고조를 한탄하니 악몽에 마의 업장을 더한다.
殺人當禳夢,動殊孟浪。
살인은 응당 꿈을 빌미로 하니 거동이 자못 맹랑하구나!
隋主以疑心殺了李家之子,此事傳播,早驚動了一個姓李的, (험할, 갑자기 두; -총10획; dou)
起一片雄心。
수나라 군주가 의심으로 이씨 집안의 아들을 죽여서 이 일이 전파되니 일찍 한 이씨를 놀라게 하여 곧 한 조각의 영웅심을 일으켰다.
那人姓李,名靖 李靖:창안[長安] 근처 출생. 처음에는 수(隋)나라를 섬겼으나 반수(反隋)의 군사를 일으킨 이세민(李世民)에게 체포되어, 이세민에게 인정을 받고 그의 부장으로서 군웅평정(群雄平定)에 활약하였다. 이어 행군총관(行軍摠管)이 되어 돌궐에 원정하여, 그 근거지를 공격, 힐리가한(利可汗)을 포로로 잡았고, 또한 토욕혼[吐谷渾]의 침입을 막는 큰 공을 세워 위국공(衛國公)에 봉해지고 태종의 소릉(昭陵)에 배장(陪葬)되었다. 그의 이름을 붙인 《위공병법(衛公兵法)》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는 당대의 대표적인 병서이다.
,字藥師,三原人氏,足智多謀深通兵法,且又弓馬熟。
이 사람은 성이 이씨이며 이름은 정이며 자는 약사로 3원사람이며 지혜가 풍족하고 꾀가 많아서 병법에 깊이 통달하고 또 활쏘기와 기마에 익숙하였다.
個能文能武。
진실로 문무에 능했다.
幼喪父母,育于外家,其舅韓擒虎也。
이정은 어려서 부모를 잃고 외갓집에 양육되어 외숙은 한금호이다.
擒虎常與他談兵,贊歎 찬탄 : 어떠한 대상(對象)을 대단하다고 여겨 감탄(感歎)함
道:“可與談孫吳者,非此子而誰?”
한금호가 항상 그와 병법을 논의하다 칭찬해 한탄하여 말했다. “손자 오자와 더불어 담론할만 한 사람이 이 사람 말고 누구겠는가?”
時年方弱冠,負大志。
이 때 나이가 바로 약관[20세]로 큰 뜻을 품었다.
見隋朝用法太峻 太峻(높을 준; -총10획; jun): 너무 엄격함
,料他國脈必不長久。
이정은 수나라 왕조가 법을 씀이 너무 준열해서 그의 나라의 맥이 반드시 오래가지 못하리라 봤다.
聞知隋主以夢殺人,暗笑道:“王者不死,殺人何益?”
수나라 군주가 꿈으로 사람을 죽임을 들어서 알고 몰래 웃으면서 말했다. “왕이 죽지 않으니 살인이 어찌 유익하겠는가?”
又想道:“據夢樹木生子,固當是個李字;洪水滔天,乃天下混一 혼일:섞어서 하나가 됨. 또는 하나로 섞음
也。將來有天下者,必是個姓李之人。”
또 생각하여 말했다. “꿈에 근거하면 나무[木]의 씨[子]가 생김은 진실로 응당 오얏 이[李]란 글자이다. 홍수가 하늘까지 오름은 천하의 혼돈이 통일이 됨이다. 장래에 천하를 소유함은 반드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다.”
因便想到自己身上신상: 1.[명사] 몸(에). 신상. 他身上穿著一套新西裝。 그는 새 양복 한 벌을 입고 있다.
2.[명사] 수중(에). 몸(에). 他身上沒帶什錢。 그는 수중에 돈이 얼마 없다.

곧 자기의 신상을 생각했다.
一日,偶有事到華州,路經華山,聞說山神西岳大王,甚有靈應。
遂具香燭,到廟瞻拜,具疏默禱道:
이정은 곧 향촉을 갖추고 사당에 이르러 보고 절하며 묵묵히 기도로 말했다.
“布衣李靖,不揆狂簡 狂簡 :뜻하는 바는 크나 실천(實踐)함이 없이 소홀(疏忽)하고 거

키워드

당공,   수당연의,   이혼,   이정,   수나라,   장형,   이연,   진욱,   진숙보
  • 가격8,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2.12.06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