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AN에 대해서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SEAN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동남아시아국가연합
1. 아세안의 설립목적
2. 설립과정
3. ASEAN+3
4. ASEAN 주요국 지표

Ⅲ. 동남아시아국가연합국 소개
1. 라오스
2. 캄보디아
3. 인도네시아
4. 브루나이
5. 말레이시아
6. 미얀마
7. 필리핀
8. 싱가포르
9. 태국
10. 베트남


Ⅳ.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전략
1. 진출전(SWOT분석)
2. 진출전략
3. 미래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품만이 수출되고 공업 제품은 수입된다.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 설탕, 목재, 아바카, 철광석 등인데 이 중에서도 코프라, 설탕, 목재의 비중은 커 이 세 가지 품목이 총 수출량의 3분의 2나 된다. 주요 무역 대상국은 미국과 일본으로, 이들 나라는 필리핀 총 수출분의 67%, 총 수입분의 50%를 차지한다.
8. 싱가포르
(1) 기본정보
① 국 명 : 싱가포르공화국(Republic of Singapore)
② 위 치 : 말레이 반도 남단
③ 면 적 : 710㎢ (서울시의 약 1.2배)
④ 인 구 : 5,165,000명 (2010년)
⑤ 수 도 : 싱가포르(Singapore)
⑥ 화폐단위 : 싱가포르 달러 (Singapore Dollar)
⑦ 시 차 : 한국시간 -1시간
⑧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⑨ 국가원수 : 토니 탄(Tony Tan) 대통령
(2) 문화특징
① 언어 :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타밀어가 공용어이다. 하지만 이것은 명목적인 것으로, 영어가 유일한 공용어 역할을 한다. 타밀어를 공용어로 한 이유는 단순히 타밀인을 배려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일상적인 경우에도 영어를 많이 쓰는 편이며, 특히 직장에서는 영어 혹은 중국어가 많이 쓰인다. 하지만 중국어의 경우는 광동어나 다른 지역 중국어 사투리를 구사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중국계 싱가포르인 사이에서도 영어가 많이 쓰인다. 그래도 대부분 중국표준어(베이징어)를 쓰는 편이다. 영어가 많이 쓰이긴 하지만 싱글리시라는 일종의 싱가포르인이 구사하는 사투리가 있기도 하다. 싱글리쉬는 영국식 영어를 기반으로 중국이나 말레이식 억양에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말끝에 \"라~\"(Lah~)를 붙이는 말버릇이 있다. 홍콩과 비교해서도 영어가 더 폭넓게 쓰이고 있으며 일반 상점가나 택시기사의 영어 구사 능력도 보통 홍콩보다 더 뛰어나다. 이렇게 유창한 영어구사 가능 인구가 많은 덕분에 영국, 미국과 다른 서방국가에서는 홍콩과 함께 아시아에 진출하기 쉬운 거점도시로서 싱가포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간판, 컴퓨터, 학교, 국가 등의 생활 속에서도 영어가 많이 쓰인다.
② 주요민족 : 중국계(74.7%), 말레이계(13.6%), 인도계(8.9%), 기타
③ 종교 : 불교, 도교, 이슬람교, 기독교, 힌두교
④ 음식문화 : 싱가포르는 주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섞인 독특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칠리 크랩: 매운 토마토 소스의 게 요리.
블랙페퍼 크랩: 칠리 크랩과 함께 유명한 후추 소스로 만든 게 요리.
블랙소스 프라운: 검은 두반장 소스의 대하 요리.
삼발 뮤젤: 삼발소스를 얹어 쪄낸 홍합 요리.
튀긴 오징어: 바삭하게 튀긴 작은 오징어 요리. 주로 맥주 안주로 즐겨 먹는다
⑤ 군대 : 2년간 징병제. 이후 40세까지 예비군으로 복무한다
(3) 경제현황
① GDP : 2,227억불 (2010)
②1인당 GDP : 43,117불 (2010)
③ 실질 GDP 성장률 : 14.5% (2010)
④ 교역 :6,645.29억불 (2010)
수출 3,536.44억불
수입 3,108.85억불
싱가포르의 경제정책은 국가에서 통제하는 권위주의식 자본주의이다. 2009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은 1770억$로 43위의 해당하는 경제규모이며, 1인당 GDP는 37000$가 넘는 부유한 국가이다. 싱가포르는 고도로 발달된 시장기반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수출입 무역에 의존하여 발달하여 왔다. 제조업도 발전한 편인데, 2005년 기준으로 국민총생산의 28%가 제조업으로부터 나왔다. 주요 생산품은 전자, 석유화학, 기계공학과 의약품 제조이다. 싱가포르는 런던, 뉴욕, 도쿄에 이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외환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가들에게 가장 친화적인 정책과 환경으로 평가 받고 있다. 홍콩, 대한민국, 대만과 함께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4마리 용(NISE)로 불리곤 한다. 싱가포르는 관광산업으로도 유명한데, 2006년에는 9천7백만 명의 관광객이 싱가포르를 방문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2005년에는 관광산업을 진흥하기 위해 도박을 합법화시켰으며, 마리나 사우스와 센토사 섬에 새로운 테마파크를 세우는 계획을 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음식 축제, 칭게이 축제 등의 관광 이벤트를 추진하고 있다. 2001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GDP가 2.2% 떨어지는 어려움을 겪게되자 2001년 12월에 경제검토위원회(ERC, The Economic Review Committee)를 세우고 경제에 다시 활력을 심어주기 위한 정책수정을 제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침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004년에는 8.3%, 2005년에는 6.4%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9. 태국
(1) 기본정보
① 국 명 : 타이왕국 (Kingdom of Thailand)
② 위 치 : 인도차이나반도 중앙부
③ 면 적 : 513,120㎢
④ 인 구 : 63,878,000명 (2010년)
⑤ 수 도 : 방콕 (Bankok)
⑥ 화폐단위 : 바트(Baht)
타이의 화폐 단위는 밧으로, 1밧은 100사땅(satang)이다. 지폐는 20, 50, 100, 500, 1000 밧이 있으며, 동전은 25, 50 사땅과 1, 2, 5, 10 밧이 있다. 전 권종에 모두 국왕이 그려져 있다. 사땅 동전은 보통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간혹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타이의 형법에서는 \"돈을 훼손하는 것은 불법이다.\"라는 문구가 있다
⑦ 시 차 : 한국시간 -2시간
⑧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총리 : 잉럭 친나왓)
타이의 정치는 입헌군주제에 근거한 민주주의이다. 현 국왕은 푸미폰 야둔야뎃 국왕이다. 타이 국민들의 국왕에 대한 사랑과 존경심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물론 타이 사람들이 아무런 비판없이, 국왕이나 왕족들을 존경하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인 형태로는 입헌 군주제에 기초한 내각 책임제를 취한다. 2006년에 손티 분야랏끌린 육군 총사령관이 해외를 방문한 탁신 친나왓 총리를 축출한 쿠데타를 성공시켰다. 2008년 탁신 세력인 팔랑쁘라차촌(국민의 힘;PPP)당이 선거에 승리함으로써 싸막 쑨트라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2.12.14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