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1) 면의 정의 및 유래
(2) 만두의 역사 및 유래
B
(1) 지역별 면의 분류 및 특징
(2) 면 요리의 조리법
(3) 계절별 만두의 분류 및 특징
(4) 만두 요리의 조리법
C
※ 참고 문헌
(1) 면의 정의 및 유래
(2) 만두의 역사 및 유래
B
(1) 지역별 면의 분류 및 특징
(2) 면 요리의 조리법
(3) 계절별 만두의 분류 및 특징
(4) 만두 요리의 조리법
C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목 차
A
(1) 면의 정의 및 유래
(2) 만두의 역사 및 유래
B
(1) 지역별 면의 분류 및 특징
(2) 면 요리의 조리법
(3) 계절별 만두의 분류 및 특징
(4) 만두 요리의 조리법
C
※ 참고 문헌
A.
(1) 면의 정의 및 유래
: 면은 국수의 한문어 이다. 본래의 면이란 말은 밀가루 반죽을 총칭하는 말로써 밀은 중동지역에서 처음 심기 시작 하였고, 중국에는 한나라 때 들어 왔으며, 밀을 빻은 가루를 면이라 하고 면으로 만든 음식을 병이라 하였다. 명나라 때는 면으로 만든 것을 모두 병이라 하였고 불에 구운 것을 소병, 국물에 담근 것을 탕병, 찐 것은 증병이라 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통일신라시대까지 문헌에 국수에 관련된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의 송나라와 밀접한 교류를 가졌던 고려시대 때 쓰여진 「고려도경」에 보면 “食味十餘 品而麵食爲先 (식미십여품이면식위선 :
A
(1) 면의 정의 및 유래
(2) 만두의 역사 및 유래
B
(1) 지역별 면의 분류 및 특징
(2) 면 요리의 조리법
(3) 계절별 만두의 분류 및 특징
(4) 만두 요리의 조리법
C
※ 참고 문헌
A.
(1) 면의 정의 및 유래
: 면은 국수의 한문어 이다. 본래의 면이란 말은 밀가루 반죽을 총칭하는 말로써 밀은 중동지역에서 처음 심기 시작 하였고, 중국에는 한나라 때 들어 왔으며, 밀을 빻은 가루를 면이라 하고 면으로 만든 음식을 병이라 하였다. 명나라 때는 면으로 만든 것을 모두 병이라 하였고 불에 구운 것을 소병, 국물에 담근 것을 탕병, 찐 것은 증병이라 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통일신라시대까지 문헌에 국수에 관련된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의 송나라와 밀접한 교류를 가졌던 고려시대 때 쓰여진 「고려도경」에 보면 “食味十餘 品而麵食爲先 (식미십여품이면식위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