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생물학실험] (결과) 세포분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주대-생물학실험] (결과) 세포분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염색체와 염색분체
 -유사분열
 -유사분열 : 간기
 -유사분열 : 전기
 -유사분열 : 전중기
 -유사분열 : 중기
 -유사분열 : 후기
 -유사분열 : 말기
3. 실험준비물
 1)소모성 재료
 2)기기
4. 실험방법
 1)유사분열의 관찰
5. 실험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색체는 풀어져 있는 상태로 있어 광학현미경으로는 볼 수가 없다.
-유사분열 : 전기
전기 동안, 핵 내의 복제된 염색체는 간기의 전형적인 상태인 크게 풀어져 있는 모습에서 간결한 막대기 모양의 구조로 응축된다. 응축이 일어날 때 염색체는 광학현미경하에서 가느다란 실처럼 보인다. 이 시점에서 각 염색체는 2개의 동일한 자매염색분체로 구성된 이중 구조이다. 응축이 진행되는 동안 인은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더 작아지고 결국 사라진다. 이 소멸은인에서 만들어지는 rRNA를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RNA 합성의 중단을 의미한다. 세포질에서는 염색분체를 실제로 분리하는 구조인 유사분열 방추체가 2개의 중심체 사이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 중심체는 세포의 양극을 향해 이동하여 방체추 극을 형성한다. 방추체는 2개의 방추체 극에서 방사하는 2개의 미세소기관 다발로 발달한다.
-유사분열 : 전중기
전기가 끝나갈 때 핵막이 분해되고 전중기가 시작된다. 방추체는 이제 이전에 핵이 있던 지역까지 발달한다. 방추체 미세소관 다발은 서로 반대쪽에 있는 방추체 극의 중심체로부터 세포의 중앙 쪽으로 자란다. 이때쯤, 동원체라는 여러 단백질의 복합체가 각 염색분체의 중심절에서 형성된다. 중심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것이 많은 염색체의 경우 중앙에 있고 다른 부위에 비해 종종 더 좁은 절편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동원체 미세소관은 동원체에 결합한다. 동원체 미세소관은 동원체에 결합한다. 이 결합은 유사분열의 결과를 결정한다. 왜냐하면 이것들이 각 염색체의 자매염색분체를 방추체 극으로 이끄는 미세소관에 연결하기 때문이다. 비동원체 미세소관은 방추체 극으로부터의 미세소관과 중첩되어 있다.
-유사분열 : 중기
중기 동안에 방추체는 최종 형태에 도달하고 방추체 미세소관은 염색체를 중기 판이라 부르는 방추체 중간지점에 배열하도록 이동시킨다. 염색체는 이 단계에서 응축을 완결한다. 응축의 유형은 각 염색체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 형태는 중심절의 위치와 중심절로부터 뻗어난 염색체의 길이와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중기에서 모든 염색체의 형태와 크기가 한 종의 핵형을 형성한다. 염색체들이 방추체 중간지점에 정렬하고 각 염색체의 자매염색분체들이 반대편 방추체 극으로 향하는 미세소관에 부착되면 중기는 완결된 것이다.
-유사분열 : 후기
후기 동안에 방추체는 자매염색분체를 분리하여 방추체 양극으로 끌어간다. 염색체 이동의 첫 증후는 중심절에서 볼 수 있다. 방추체에 의해 생긴 장력이 이곳에서 양극으로 동원체를 끌어당긴다. 이동은 딸염색체라 부르는 분리된 염색분체가 양극에 다다를 때까지 계속된다. 이 시점에서 염색체 분리가 완성된다.
-유사분열 : 말기
말기 동안에 방추체는 해체되고 각 방추체 극에서의 염색체는 풀리기 시작하여 간기의 전형적인 상태로 돌아간다. 염색체의 풀림이 진행됨에 따라 인이 다시 나타나고 RNA 전사가 재개되며 새로운 핵막이 양 극에 있는 염색체 주위로 형성되어 2개의 딸핵을 형성한다. 이 시점에서 핵분열이 완성되고 세포는 2개의 핵을 가진다. 세포질분열이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1.13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