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MISSHA) vs 더페이스샵(THE FACE SHOP) - 선정이유, 국내 화장품 산업의 현황, 마케팅 믹스, 유통경로상의 갈등,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MISSHA) vs 더페이스샵(THE FACE SHOP) - 선정이유, 국내 화장품 산업의 현황, 마케팅 믹스, 유통경로상의 갈등,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선정 이유

ⅰ.국내 화장품 산업의 현황
 ▶화장품 산업의 특성
 ▶기존화장품의 유통경로
 ▶국내 화장품 산업의 문제점

ⅱ.미샤
 ▶국내 화장품 산업 시장에 미샤의 등장
 ▶미샤의 새로운 유통경로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저가가격 정책
 ▶마케팅믹스 분석 (4P)

ⅲ.더페이스샵
 ▶더 페이스샵의 유통 구조와 경로
 ▶유통 채널의 다각화

ⅳ.유통경로상의 갈등
 1.계속되는 가격경쟁과 할인으로 브랜드 이미지 상실
 2. 외국 선진 기업vs 국내기업, 국내기업vs국내기업
 3.브랜드 샵의 한계

ⅴ.해결 방안
 1.저가에서 고급 브랜드 이미지 제고
 2. 다각화된 유통경로 모색과 혁신적 경영 방안

본문내용

3300원에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저가의 가격경쟁력으로 미샤는 판매자의 이득과 소비자의 만족의 극대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으며, 대학생 대상 상품 선호도 조사 화장품 부분 1위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전국에 대규모의 매장을 구축한 미샤는 얼마 전 호주에까지 미샤 1호점을 개점해 글로벌 마케팅까지 함께 펴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미샤의 새로운 유통경로
미샤는 유통 혁신을 통해 제품가격의 거품을 제거했다. 불필요한 포장은 과감히 제거하고 유통단계를 하나하나 줄여 비용이 30%나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는데 도매상을 거치지 않아 중간 유통마진을 낮춘 것이다.
<미샤의 저비용 유통 구조>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저가가격 정책
타 화장품 회사
미샤
유통
구조
제조사 -> 도매상 -> 소매점 -> 소비자
제조사 -> 소매점 -> 소비자
비용
구조
소비자가:2만원
소매점가:9천원~1만2천원
대리점(도매상)가:7천원~9천원
제조사 제조원가:3천원~4천원
소비자가 : 3천원~9천원
제조사 제조원가:3천원~4천원
- 제조사의 원가는 국내의 대표적인 상장사의 자료를 통하여 계산.
- 비용에는 제조에 필요한 인건비, 관리비등이 포함.
- 제조사의 순 마진율 : 10%~15%정도
- 제조사의 마진 중 많은 부분이 마케팅 비용으로 지출
▶마케팅믹스 분석 (4P)
① Product
미샤는 내용물이 용기 값 보다 비싼 화장품이다. 제품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용기 및 포장비용을 줄였다. 레티놀 등 특수 제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제품을 플라스틱으로 바꿨다. 종이상자 포장도 없앴으며 디자인도 빨간색 꽃무늬 하나로 단일화 했다.
② Price
저렴한 가격이 미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 중에 하나이다. 250여 가지 기초, 색채 화장품은 3300원 이하로 판매된다. 수입화장품과 국산브랜드 화장품으로 이분화 된 ‘틈새시장’을 겨냥한 것이다.
③ Place
미샤는 중간 유통 단계가 없다. 제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온라인 유통시장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자체 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하여 직영매장과 가맹점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직접 공급하기 때문에 유통마진이 크게 줄었다.
④ Promotion
미샤는 뷰티넷의 회원들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e-mail, 멤버십카드 등을 통해 온-오프라인 통합마케팅을 벌인다. 제품에 대한 평가와 개선안을 실시간으로 제품개발에 반영하고 가격과 마케팅 전략도 회원들의 동의를 얻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접하며 제품에 반영하고 있는 만큼 다른 어떤 브랜드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본다.
ⅲ.더페이스샵
앞서 말한데로 불과 1~2년 전만 해도 화장품 업계에서는 기존의 화장품 유통체계의 틀 안에서 종합화장품 가게가 단연 우세였다. 그렇기 때문에 각 화장품 회사들은 자사의 브랜드와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종합 화장품 가게의 주인들에게 각종 혜택과 인센티브를 주었다. 예를 들어, 화장품 가게가 신규 오픈 할 때마다 각종 지원을 해 주고, 자사 브랜드의 판매성과가 높은 화장품가게 주인들에게는 그에 응하는 해외여행 등의 인센티브를 주었다. 때문에 이에 지출해야만 하는 비용의 금액은 상상을 초월했다. 전국의 화장품 가게 수는 10,000여개가 넘었고, 모든 화장품 가게에 들어가는 홍보비용은 광고비에 빗댈 바가 아니었다. 이에 반해 더페이스샵은 자사의 브랜드 샵을 오픈하여 그곳에서만 화장품을 유통시킴으로써 이러한 홍보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었고 이는 가격에 반영되어 저가 화장품 시장을 형성할 수 있었다. 1000원~10000원대까지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소비자의 전폭적인 호응을 얻었다. 사회 전반에 만연한 실속형 구매 심리를 이용한 것이다. 사실 전세계 유통 트렌드의 추세로 볼 때, 이러한 기업은 생길 것이라고 예측이 가능하였다. 도소매의 비용이 기업과 소비자에게 계속해서 큰 부담으로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세계적인 다양한 기업들은 유통구조를 매장의 직영화라는 방안을 통해 답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화장품의 추세를 통해 당분간 다른 시장에서도 매장의 직영화가 등장할 것이다. 프랜차이즈의 시대가 지나간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매장의 직영화에도 문제는 있다. 유통구조의 개선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보다는 시장정체시 매장의 비용증대로 기업에 심각한 부하를 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저가화장품 시장이 계속해서 8~10%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며 높은 순이익을 발생시켰지만 시장정체가 시작됨과 동시에 시장성 없는 매장의 정리가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저가 화장품 기업에 큰 부담이 될 것이다.
▶더 페이스샵의 유통 구조와 경로
더 페이스샵은 모든 매장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콧대 높기로 유명한 대형백화점 사이에서 \'모셔가기\' 경쟁이 붙었을 정도다. 대표적인 젊은이들의 거리인 명동과 COEX 에는 각각 1호,2 호점 두 곳이 성업 중이며, 모두 다 소비자들에게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있다.
더 페이스 샵은 물류 창고에서 매장으로 직수송하는 유통 경로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유통경로 상의 거품을 없앰으로써 “제품 설계단계에서부터 용기포장 등의 원부자재를 최소화하고 회사 규모를 최소단위 이외에는 모든 분야를 외부 전문업체에 아웃소싱해 관리비를 줄이는 한편 광고, 판촉을 지양해 최저 가격을 결정하는 마케팅을 세웠다.
▶브랜드 샵의 선봉 더 페이스샵
더 페이스샵의 브랜드 샵을 통한 성공비결은 과거 대리점, 전문점 중심의 복잡한 화장품 유통구조를 과감하게 단순화 시켜 불필요한 비용은 줄이면서 화장품 가격은 대폭 낮추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공급자-대리점-도매상-전문점-소비자 로 이어진 유통구조가 공급자-브랜드샵-소비자로 간소화 된 것이다. 브랜드샵 특유의 고급 인테리어와 체험 마케팅의 효과도 폭발적이었다. 촌스러운 매장에 바겐세일 플랭카드만 나뿌기던 기존 대리점에서 브랜드샵은 일종의 문화적 충격과도 같았다. 직접 테스트를 해보며 상쾌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브랜드 샵의 컨셉트다. 브랜드샵은 이제 화장품 유통채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대중화
  • 가격13,86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1.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