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O,X 01~50
O,X 01~45
O,X 17~40
O,X 01~50 설명
O,X 01~45
O,X 17~40
O,X 01~50 설명
본문내용
와B는 분화장소에 따른 분류이다.
34.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HIV가 공격하는 것은(보조T세포)
→T림프구중 보조T세포- 에이즈 바이러스의 숙주이다. 집중공격을 받는다.
35. 피임약속에 들어있는 성분은(프로제스테론)
→프로제스테론(여성호르몬)을 복용하면 몸은 임신상태를 유지하여 배란을 하지 않는다.
36. 다음중 면역기능이 가장 강력한 것은(림프구)
→혈액속 성분들 중 백혈구, 백혈구중 무과립성 백혈구, 그중 림프구가 면역기능이 강하다.
에이즈는 T림프구의 보조T세포를 집중공격한다.
37.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되었을 때 할 수 있는 피임방법(RU486)
→RU486은 임신시 프로제스테론의 분비량이 늘어나지만 이 약은 프로제스테론을 분비하지 못하게 하여 착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38. 고환결정 유전자는 (Y)염색체에 들어있다.
→Y염색체상에 있는 고환분화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H-Y항원의 형질을 발현.
H-Y항원이 남성을 만드는 근원물질, Y염색체에만 존재,
암컷조직 수컷에 이식가능 But 수컷조직은 H-Y항원을 가지고 있어 암컷조직은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포유류의 기본형은 암컷이지만, 수컷만이 H-Y항원을 가지고 있다.
39. 융모성 성샘자극호르몬은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지 약(14)일째부터 분비되는가?
→수정 후 14일째부터(착상이후) 태반조직에서 분비되는 융모성 성샘자극호르몬은 황체를 존속 유지시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분비. 일단 임신이 되어 호르몬 시스템에 새로운 균형이 이루어지면 당분간 배란, 월경 현상등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40. 융모성 성샘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는곳은(태반)
→문제39. 참고
41. 뇌의 성과 유전자의 성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0)
→정신적인 태도와 행동양식, 성행동과 성심리의 면에서도 뚜렷이 남녀차가 보이며 뇌하수체의 성샘자극호르몬과 성호르몬 분비 패턴에 성차가 보인다. 이와같은 현상은 뇌의 성부화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뇌의 성분화는 고환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양에 달려있다.
분비량이 부족하면 여성화가 될 수 있다.
42. 여자아기를 임신한 산모가 남성호르몬제를 남용하면 그 여아의 뇌는 남성의 뇌로 된다(0)
→뇌의 성분화 과정에서 고환에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에 뇌가 노출되면 남성의 뇌로 방향지어지고 노출되지 않으면 여성의 뇌가 되어간다. 뇌의 성분화기는 인간에 있어서 태생 4개월에서 7개월 사이의 3개월간이다. 이것을 뇌의 성분화의 임계기라고 한다.
뇌의 성은 유전자의 성과는 독립되어 있다-생식기의 성과는 관계과 없다.
안드로젠이 정상보다 많으면 여성태아일지라도 뇌는 남성화되며, 적으면 남성의 태아이더라도 뇌는 여성화되어서 유전자의 성과 뇌의 성이 달라지는 비극이 생기게 된다.
그 원인은 다양하며 산모에게 강한 스트레스가 작용하면 태아의 고환에서 안드로젠의 분비가 억제되어 뇌는 충분히 남성화되지 못하며 반대로 태아의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와 산모가 남성호르몬제를 남용했을때에는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3. 부신의 기능이 이상항진하면 그 태아의 뇌는 여성의 뇌로 된다(X)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4. 산모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산모의 몸속에 있던 남자아기의 정소에서는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된다(0)
→산모에게 강한 스트레스가 작용하면 태아의 고환에서 안드로젠의 분비가 억제되어 뇌는 충분히 남성화되지 못한다. 안드로젠의 분비량이 적으면 남성의 태아이더라도 뇌는 여성화되어서 유전자의 성과 뇌의 성이 달라지는 비극이 생기게 된다.
45. 에이즈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파괴시키는 일종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병이다.
→에이즈는 HIV라는 일종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질병.
바이러스는 자가증식X, 숙주(백혈구)에 부착→DNA만 침투→DNA복제, 피막 재복제→
파아지(피막+DNA)생성→성숙한 바이러스로 변환→바이러스포화 숙주 터짐→다른백혈구로 침투
46. 44A+XXX의 여성의 경우 Barr소체가 몇 개 보일까(2개)
47. 남성호르몬은 고환 뿐만아니라(부신)에서도 만들어진다.
→부신에서 안드로젠(남성호르몬)을 분비한다.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8. 태아는 배반포(주머니배)의 내세포괴에서 형성된다.(0)
→내세포괴는 태아의 몸으로 자란다. 영양아층은 태아의 보호막(태반)이 된다.
49. 에스트로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X)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은 난소에서 분비된다.
50. 터너증후군은 사춘기이후에 여자의 2차 성징을 보이지 않는다(0)
→터너증후군은 여성에 있어서 X염색체가 1개 소실된 현상이다. 44+XO로 표기.
외관상 성인여성은 소녀같아 보이고 외부생식기도 여성의 것을 갖춘다.
그러나 난소가 없다. 사춘기에 도달해도 여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2차성징이 일어나지 않는다. 여성호르몬의 주입으로 외형적으로는 변화가 가능하다.
터너증후군 여자의 구강점막 상피세포에는 바르소체가 없다.(44+XO)
51. 염색체불분리현상은 성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0)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남성이 염색체불분리 현상이 더 많이 일어난다.
52. 어류는 성전환을 일으키기도 한다.(0)
→어류는 성의 결정 바로 그 자체가 꾀 불안정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 물고기의 기생충을 먹기 때문에 놀래기로도 불리는 Labridaes bicolor에서 볼 수 잇는 성 전환등은 좋은 예가된다. 이 물고기는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작은 무리를 만들고 있지만, 수컷이 죽으면 가장생활력이 강한 암컷이 수컷이되고 무리를 통솔하게 된다. 형태나 크기가 분간되는 성염색체는 존재하지 않지만, 역시 유전적인 성의 결정기구가 작용하고 잇는 경우도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송사리다. 송사리는 암컷이 XX형 수컷이 XY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53. 달걀에는 성결정권이 있다(0)
34.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HIV가 공격하는 것은(보조T세포)
→T림프구중 보조T세포- 에이즈 바이러스의 숙주이다. 집중공격을 받는다.
35. 피임약속에 들어있는 성분은(프로제스테론)
→프로제스테론(여성호르몬)을 복용하면 몸은 임신상태를 유지하여 배란을 하지 않는다.
36. 다음중 면역기능이 가장 강력한 것은(림프구)
→혈액속 성분들 중 백혈구, 백혈구중 무과립성 백혈구, 그중 림프구가 면역기능이 강하다.
에이즈는 T림프구의 보조T세포를 집중공격한다.
37.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되었을 때 할 수 있는 피임방법(RU486)
→RU486은 임신시 프로제스테론의 분비량이 늘어나지만 이 약은 프로제스테론을 분비하지 못하게 하여 착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38. 고환결정 유전자는 (Y)염색체에 들어있다.
→Y염색체상에 있는 고환분화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H-Y항원의 형질을 발현.
H-Y항원이 남성을 만드는 근원물질, Y염색체에만 존재,
암컷조직 수컷에 이식가능 But 수컷조직은 H-Y항원을 가지고 있어 암컷조직은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포유류의 기본형은 암컷이지만, 수컷만이 H-Y항원을 가지고 있다.
39. 융모성 성샘자극호르몬은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지 약(14)일째부터 분비되는가?
→수정 후 14일째부터(착상이후) 태반조직에서 분비되는 융모성 성샘자극호르몬은 황체를 존속 유지시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분비. 일단 임신이 되어 호르몬 시스템에 새로운 균형이 이루어지면 당분간 배란, 월경 현상등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40. 융모성 성샘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는곳은(태반)
→문제39. 참고
41. 뇌의 성과 유전자의 성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0)
→정신적인 태도와 행동양식, 성행동과 성심리의 면에서도 뚜렷이 남녀차가 보이며 뇌하수체의 성샘자극호르몬과 성호르몬 분비 패턴에 성차가 보인다. 이와같은 현상은 뇌의 성부화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뇌의 성분화는 고환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양에 달려있다.
분비량이 부족하면 여성화가 될 수 있다.
42. 여자아기를 임신한 산모가 남성호르몬제를 남용하면 그 여아의 뇌는 남성의 뇌로 된다(0)
→뇌의 성분화 과정에서 고환에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에 뇌가 노출되면 남성의 뇌로 방향지어지고 노출되지 않으면 여성의 뇌가 되어간다. 뇌의 성분화기는 인간에 있어서 태생 4개월에서 7개월 사이의 3개월간이다. 이것을 뇌의 성분화의 임계기라고 한다.
뇌의 성은 유전자의 성과는 독립되어 있다-생식기의 성과는 관계과 없다.
안드로젠이 정상보다 많으면 여성태아일지라도 뇌는 남성화되며, 적으면 남성의 태아이더라도 뇌는 여성화되어서 유전자의 성과 뇌의 성이 달라지는 비극이 생기게 된다.
그 원인은 다양하며 산모에게 강한 스트레스가 작용하면 태아의 고환에서 안드로젠의 분비가 억제되어 뇌는 충분히 남성화되지 못하며 반대로 태아의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와 산모가 남성호르몬제를 남용했을때에는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3. 부신의 기능이 이상항진하면 그 태아의 뇌는 여성의 뇌로 된다(X)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4. 산모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산모의 몸속에 있던 남자아기의 정소에서는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된다(0)
→산모에게 강한 스트레스가 작용하면 태아의 고환에서 안드로젠의 분비가 억제되어 뇌는 충분히 남성화되지 못한다. 안드로젠의 분비량이 적으면 남성의 태아이더라도 뇌는 여성화되어서 유전자의 성과 뇌의 성이 달라지는 비극이 생기게 된다.
45. 에이즈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파괴시키는 일종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병이다.
→에이즈는 HIV라는 일종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질병.
바이러스는 자가증식X, 숙주(백혈구)에 부착→DNA만 침투→DNA복제, 피막 재복제→
파아지(피막+DNA)생성→성숙한 바이러스로 변환→바이러스포화 숙주 터짐→다른백혈구로 침투
46. 44A+XXX의 여성의 경우 Barr소체가 몇 개 보일까(2개)
47. 남성호르몬은 고환 뿐만아니라(부신)에서도 만들어진다.
→부신에서 안드로젠(남성호르몬)을 분비한다. 부신기능이 이상항진하여 다량의 안드로젠이 분비되는 부신성기 증후군의 경우 내·외부생식기에 이상이 생겨 여성의 뇌가 남성화하게 된다.
48. 태아는 배반포(주머니배)의 내세포괴에서 형성된다.(0)
→내세포괴는 태아의 몸으로 자란다. 영양아층은 태아의 보호막(태반)이 된다.
49. 에스트로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X)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은 난소에서 분비된다.
50. 터너증후군은 사춘기이후에 여자의 2차 성징을 보이지 않는다(0)
→터너증후군은 여성에 있어서 X염색체가 1개 소실된 현상이다. 44+XO로 표기.
외관상 성인여성은 소녀같아 보이고 외부생식기도 여성의 것을 갖춘다.
그러나 난소가 없다. 사춘기에 도달해도 여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2차성징이 일어나지 않는다. 여성호르몬의 주입으로 외형적으로는 변화가 가능하다.
터너증후군 여자의 구강점막 상피세포에는 바르소체가 없다.(44+XO)
51. 염색체불분리현상은 성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0)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남성이 염색체불분리 현상이 더 많이 일어난다.
52. 어류는 성전환을 일으키기도 한다.(0)
→어류는 성의 결정 바로 그 자체가 꾀 불안정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 물고기의 기생충을 먹기 때문에 놀래기로도 불리는 Labridaes bicolor에서 볼 수 잇는 성 전환등은 좋은 예가된다. 이 물고기는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작은 무리를 만들고 있지만, 수컷이 죽으면 가장생활력이 강한 암컷이 수컷이되고 무리를 통솔하게 된다. 형태나 크기가 분간되는 성염색체는 존재하지 않지만, 역시 유전적인 성의 결정기구가 작용하고 잇는 경우도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송사리다. 송사리는 암컷이 XX형 수컷이 XY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53. 달걀에는 성결정권이 있다(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