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근과 하륜’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권근과 하륜’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권근과 하륜의 사상
3. 권근과 하륜의 공통점과 차이점
4. 맺음말

본문내용

순찰사가 되었다.
4. 맺음말
앞에서 살펴본 본론의 내용을 요약·정리함으로써 맺음말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권근은 사람에게는 仁이 오상(五常)을 통솔하기 때문에 仁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면서 사람의 일에서 仁을 우선적으로 보았다. 그는 조선 건국을 새로운 시작이라고 보았고, 그가 군주들에게 강조한 仁政은 “포용의 정치”인 것이다.
하륜은 왕권강화를 중요하게 여겼고, 이(理)와 인간의 본성을 하나라고 보았으며 인간의 본성은 선량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는맹자의성선설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람마다 각기 받은 기질이 다르다고 파악하였고, 후대 이기론에 영향을 끼쳤다.
권근과 하륜은 조선왕조 개창에 참여했으며, 왕권강화에 큰 공을 세웠다. 또한 불교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정도전과의 관계에서 온도차가 있는데, 권근은 정도전과의 교유적 관계를 유지했는데, 조선건국부터 왕자의 난이 일어나기 전까지 권근은 개국공신들에 의해 견제를 받았지만, 정도전과 공조하면서 유교사회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반해 하륜은 정도전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했는데, 예컨대 “표전문제” 때 정도전을 보내자고 주장하였다. 이로인해 그는 정도전파에 의해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1.19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