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검토를 위한 예비적 이해
2.본론
(1)선소설 비평론의 쟁점
(2)조선 전기 소설 비평의 성장
(3)조선 후기 소설 비평의 본격화
(소설의 부정적, 긍부정적 시각)
(4)정조의 문체반정과 배격론
(5)고전소설에 대한 본격 비평의 실제
<사씨남정기> <삼한습유> <광한루기>중심
3.결론
소설 개념 변화와 비평
*참고문헌
검토를 위한 예비적 이해
2.본론
(1)선소설 비평론의 쟁점
(2)조선 전기 소설 비평의 성장
(3)조선 후기 소설 비평의 본격화
(소설의 부정적, 긍부정적 시각)
(4)정조의 문체반정과 배격론
(5)고전소설에 대한 본격 비평의 실제
<사씨남정기> <삼한습유> <광한루기>중심
3.결론
소설 개념 변화와 비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해 비판한 소설 배격론자들과는 달리 소설의 허구적 진실이 역사적 사실이나 경험적 실제와 동등한 하나의 독자적 가치를 갖는 엄연한 진실이라는 것을 인식했다. 나아가 허구적 진실과 역사적 진실 사이의 괴리를 놓고 윤리적 갈등과 고뇌를 한 것 즉 둘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비평에서 볼 수 있는 중세적 패러다임을 벗어난 비평 양상으로 의미가 있다.
ㄷ.<광한루기> 비평
운림초객은 [광한루기서]에서 지은이 수산선생의 문장법을 금강산을 그리는데 비하며 그의 오묘한 문장을 절찬했다. 그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 화법에 바탕을 둔 수산선생의 소설 창작 방법을 깊이 통찰하여 독서법으로 바꾸어 말했는데 그 요점은 소설의 참된 재미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서사 전체의 입체적 구성을 파악하고 거기에 들어 있는 작자의 의도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사룡이 말한 ‘관’과 ‘구기지’의 개념과 상통하는 바가 있어 고전소설 비평의식의 발전적 전개라는 측면에서 볼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소엄주인은 <관한루기>의 춘향과 이화경에 대하여 <서상기>의 앵앵과 장군서보다 인물의 격이 높고, 문사의 품격이 높다고 한 것은 자국문학에 대한 커다란 자부심을 갖고 비평한 것으로 전례 없는 주체적 민족문학 의식을 드러낸 것이다.
3.결론
동양에서 소설의 용어가 처음 등장 한 것은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장자에서부터였다. 그는 소설을 ‘자잘한 말’ 이라 평하였고 이후에도 의미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설화와 야담을 포괄하는 저급의 개념에 머물렀다. 이런 생각은 같은 한자문화권이던 우리에게도 수용된다. 그런데 이런 전통적 소설 개념은 임란을 전후하여 <삼국지연의> 등 중국의 사대기서가 수입되어 널리 유행하면서 변화를 겪게 된다. 중국소설 속의 반전통적 사상이 유행하게 되어 이를 체제 위협으로 느낀 유학자들은 소설을 비평했기 때문이다. 유의할 점은 유학자들의 비평이 문학작품으로서의 비평보다는 유교적 사상에 비평의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비평의 시작이 문학적 비평은 아니었으나 그 후에 소설의 비평이 발전적으로 논의되어 소설의 긍정적, 부정적인 면을 보여 주었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소설 창작까지 유도해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고전소설 비평을 접근해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이문규, 고전소설비평사론, 새문사, 2002
중종실록, 조선왕조실록 14, 국사편찬위원회 편,1980
19세기 鄕村 中間層의 <春香傳> 개작 양상, 鄭 善 姬
ㄷ.<광한루기> 비평
운림초객은 [광한루기서]에서 지은이 수산선생의 문장법을 금강산을 그리는데 비하며 그의 오묘한 문장을 절찬했다. 그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 화법에 바탕을 둔 수산선생의 소설 창작 방법을 깊이 통찰하여 독서법으로 바꾸어 말했는데 그 요점은 소설의 참된 재미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서사 전체의 입체적 구성을 파악하고 거기에 들어 있는 작자의 의도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사룡이 말한 ‘관’과 ‘구기지’의 개념과 상통하는 바가 있어 고전소설 비평의식의 발전적 전개라는 측면에서 볼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소엄주인은 <관한루기>의 춘향과 이화경에 대하여 <서상기>의 앵앵과 장군서보다 인물의 격이 높고, 문사의 품격이 높다고 한 것은 자국문학에 대한 커다란 자부심을 갖고 비평한 것으로 전례 없는 주체적 민족문학 의식을 드러낸 것이다.
3.결론
동양에서 소설의 용어가 처음 등장 한 것은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장자에서부터였다. 그는 소설을 ‘자잘한 말’ 이라 평하였고 이후에도 의미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설화와 야담을 포괄하는 저급의 개념에 머물렀다. 이런 생각은 같은 한자문화권이던 우리에게도 수용된다. 그런데 이런 전통적 소설 개념은 임란을 전후하여 <삼국지연의> 등 중국의 사대기서가 수입되어 널리 유행하면서 변화를 겪게 된다. 중국소설 속의 반전통적 사상이 유행하게 되어 이를 체제 위협으로 느낀 유학자들은 소설을 비평했기 때문이다. 유의할 점은 유학자들의 비평이 문학작품으로서의 비평보다는 유교적 사상에 비평의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비평의 시작이 문학적 비평은 아니었으나 그 후에 소설의 비평이 발전적으로 논의되어 소설의 긍정적, 부정적인 면을 보여 주었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소설 창작까지 유도해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고전소설 비평을 접근해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이문규, 고전소설비평사론, 새문사, 2002
중종실록, 조선왕조실록 14, 국사편찬위원회 편,1980
19세기 鄕村 中間層의 <春香傳> 개작 양상, 鄭 善 姬
키워드
추천자료
- [소논문] 고전소설 박씨전에 대한 분석
- 고전소설 김학공전(金鶴公傳)
- 2012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3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3년 동계계절시험 고전소설강독 시험범위 핵심체크
- 2014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4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 [고전소설강독]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파 예술가...
- 2015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