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 혁명
⑴러시아 사회의 변화
① 놀라운 러시아의 공업 성장
② 노동 계급의 성장
③ 3개의 반정부적 노력이 동시에 시작
④ 차리즘 붕괴의 징조들
⑵플레베의 강압통치와 경찰사회주의
①니콜라이 2세의 강경정책
②플레베의 경찰사회주의
⑶ 러일 전쟁에서의 패배와 젬스트보 대회
①러일 전쟁에서의 패배
②젬스트보 전국 대회가 열리다
피의 일요일 사건
①가퐁 신부의 결정
② 첫 번째 발포
③ 두 번째 발포
④대중들의 인식 변화와 대규모 파업
⑤ 10월 선언
2월혁명
① 2월 혁명의 배경
② 2월 혁명의 발발
③ 2월 혁명후의 러시아
이후 노동자들과 병사들은
1917년 10월 혁명
①배경
②전개
-레닌의 귀국
-케렌스키의 임시정부
-코르닐로프의 쿠데타
-10월 혁명과 볼셰비키 독재
③결과
⑴러시아 사회의 변화
① 놀라운 러시아의 공업 성장
② 노동 계급의 성장
③ 3개의 반정부적 노력이 동시에 시작
④ 차리즘 붕괴의 징조들
⑵플레베의 강압통치와 경찰사회주의
①니콜라이 2세의 강경정책
②플레베의 경찰사회주의
⑶ 러일 전쟁에서의 패배와 젬스트보 대회
①러일 전쟁에서의 패배
②젬스트보 전국 대회가 열리다
피의 일요일 사건
①가퐁 신부의 결정
② 첫 번째 발포
③ 두 번째 발포
④대중들의 인식 변화와 대규모 파업
⑤ 10월 선언
2월혁명
① 2월 혁명의 배경
② 2월 혁명의 발발
③ 2월 혁명후의 러시아
이후 노동자들과 병사들은
1917년 10월 혁명
①배경
②전개
-레닌의 귀국
-케렌스키의 임시정부
-코르닐로프의 쿠데타
-10월 혁명과 볼셰비키 독재
③결과
본문내용
러시아는 철로의 길이가 약 40배 증가하였고 선철, 강철, 석탄등 원자재 생산증가율은 영국, 미국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특히 석유 생산에서는 미국을 제외하고는 경쟁자가 없었다. 실제로 1880년대말과 1900년 사이의 10년간 러시아는 공업 생산성이 126% 증가했는데, 이것은 독일의 공업 생산성보다 2배였고 미국의 3배였다. 20세기의 러시아는 아직 후진 사회이긴 했으나 더 이상 정체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러시아 사회의 팽창이 1905년의 혁명과 1917년의 혁명을 가능하게 만든다.
② 노동 계급의 성장
러시아의 활발한 외국 차관 도입 정책의 산물로 러시아는 고도로 집중된 공업 노동 계급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독일이나 영국과 달리 해외 거대 자본의 급격한 유입에 힘입어 큰 공장들이 많이 세워짐으로써 가능한 이야기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과거 농민들이 새로 생긴 공업 도시로 대거 유입했다. 이러한 거대한 기업들은 새로운 노동 계급을 밀접한 결사체로 만들어주었다. 여기서 조직에 대한 채워지지 않는 굶주림이 노동 계급 사이에 만연됐는데 이것을 국가가 감독하거나 견제하려고 했으나 헛수고일 뿐이었다.
③ 3개의 반정부적 노력이 동시에 시작
러시아에 커다란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던 상황에서 3개의 반정부적 당이 결성되었다. 첫 번째로는 마르크시스트들에 의한 전(全) 러시아 사회민주당이었다. 그리고 레닌으로 대표되는 볼셰비키 세력은 그 당 안에서도 강경 노선을 제시하면서 더욱더 전투적인 투쟁을 개시할 것임을 선언했다. 둘째로 농민들을 위한 사회혁명당이 결성됐다. 1870년대와 1880년대의 인민주의를 확대시키고 발전시켜오면서 자본주의의 발달을 반대해온 세력이 마침내 사회혁명당을 조직한 것이었다. 셋째, 자유주의자들과 민주적 지식인들을 조직하기 위해 입헌민주당이 결성됐다.
④ 차리즘 붕괴의 징조들
이 모든 것들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홍수 속에서의 많은 소용돌이 같은 존재였으며, 러시아의 총체적인 정치 구조가 녹아간다는 징조였다. 지방에서는 농민들이 그들에 저항하는 소유자를 살해하고 건초를 마구 베고 숲에서 벌목을 하였다. 또한 도시에서는 노동자들의 파업이 자주 일어나고 경찰들에게 돌을 던지거나 악담을 퍼부었다. 그동안 잠잠했던 대학가에서도 시위와 동맹 휴학이 벌어지기 시작했고 그들은 폭력 수단에 의존하였다. 사회 상층부에서 조차 의혹과 이견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뛰어난 작가들은 혁명 운동의 큰 뜻을 위해 붓을 들었다.
⑵플레베의 강압통치와 경찰사회주의
①니콜라이 2세의 강경정책
확실히 러시아세는 혁명의 불씨가 타오르길 기다리는 듯 한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어 있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니콜라이 2세에게는 두 개의 길이 열려 있었다. 첫 번째는 양보하는 길이였다. 차리즘 체제를 반대하는 세력이 여전히 교육받은 소수 계층에 국한됐고 그들 사이의 연결망은 약했던 만큼 이들에게 양보의 조처를 취함으로써 그 연결을 더욱 약화시키고 그들을 극단적인 혁명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둘째는 탄압을 강화하는 길이다. 그렇게 하면 그 연결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이들 내부의 온건 분자들까지도 더 강경한 투쟁가들로 바꿔놓을 것이다. 니콜라이 2세는 후자를 택했다. 그는 자신이 대관식 때 차리즘 절대주의를 굳건히 지키겠다던 서약에 충실해야 한다고 믿었고 대항 세력인 인텔리겐치아는 국가를 경영할 능력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②플레베의 경찰사회주의
니콜라이 2세의 더욱 강화된 억압 통치는 1902년 4월에 암살된 내무부 대신 시피아긴의 후임으로 무지막지한 경찰국장으로 정평이 난 플레베를 승진시킴과 동시에 시작됐다. 그는 우선 경찰의 기능을 넓게 해석했다. 단순히 불순 세력을 제거하고 치안을 확립하는 데 한정시키지 않고 차리즘 체제를 보호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조처들을 취하는 선으로까지 확대시킨 것이다. 이러한 그가 내무부 대신으로 승진한 데다가 차르가 사실상 무제한의 힘을 그에게 주었기에 그는 차리즘의 기본 원칙에 도전하는 모든 세력에 대해 무자비하게 대처했다. 역사학자들이 플레베가 내무부 대신으로 봉직했던 2년의 시기를 \'경찰 국가\' 의 시기를 넘어선 \'준 전체주의 국가\'의 시대로 보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이로써 차리즘 경찰력과 반차리즘 세력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⑶ 러일 전쟁에서의 패배와 젬스트보 대회
①러일 전쟁에서의 패배
러시아 전역에 걸쳐 혁명의 기운이 무르익자 플레베 내무부 대신은 이 기운을 억제시키기 위한 계
② 노동 계급의 성장
러시아의 활발한 외국 차관 도입 정책의 산물로 러시아는 고도로 집중된 공업 노동 계급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독일이나 영국과 달리 해외 거대 자본의 급격한 유입에 힘입어 큰 공장들이 많이 세워짐으로써 가능한 이야기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과거 농민들이 새로 생긴 공업 도시로 대거 유입했다. 이러한 거대한 기업들은 새로운 노동 계급을 밀접한 결사체로 만들어주었다. 여기서 조직에 대한 채워지지 않는 굶주림이 노동 계급 사이에 만연됐는데 이것을 국가가 감독하거나 견제하려고 했으나 헛수고일 뿐이었다.
③ 3개의 반정부적 노력이 동시에 시작
러시아에 커다란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던 상황에서 3개의 반정부적 당이 결성되었다. 첫 번째로는 마르크시스트들에 의한 전(全) 러시아 사회민주당이었다. 그리고 레닌으로 대표되는 볼셰비키 세력은 그 당 안에서도 강경 노선을 제시하면서 더욱더 전투적인 투쟁을 개시할 것임을 선언했다. 둘째로 농민들을 위한 사회혁명당이 결성됐다. 1870년대와 1880년대의 인민주의를 확대시키고 발전시켜오면서 자본주의의 발달을 반대해온 세력이 마침내 사회혁명당을 조직한 것이었다. 셋째, 자유주의자들과 민주적 지식인들을 조직하기 위해 입헌민주당이 결성됐다.
④ 차리즘 붕괴의 징조들
이 모든 것들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홍수 속에서의 많은 소용돌이 같은 존재였으며, 러시아의 총체적인 정치 구조가 녹아간다는 징조였다. 지방에서는 농민들이 그들에 저항하는 소유자를 살해하고 건초를 마구 베고 숲에서 벌목을 하였다. 또한 도시에서는 노동자들의 파업이 자주 일어나고 경찰들에게 돌을 던지거나 악담을 퍼부었다. 그동안 잠잠했던 대학가에서도 시위와 동맹 휴학이 벌어지기 시작했고 그들은 폭력 수단에 의존하였다. 사회 상층부에서 조차 의혹과 이견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뛰어난 작가들은 혁명 운동의 큰 뜻을 위해 붓을 들었다.
⑵플레베의 강압통치와 경찰사회주의
①니콜라이 2세의 강경정책
확실히 러시아세는 혁명의 불씨가 타오르길 기다리는 듯 한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어 있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니콜라이 2세에게는 두 개의 길이 열려 있었다. 첫 번째는 양보하는 길이였다. 차리즘 체제를 반대하는 세력이 여전히 교육받은 소수 계층에 국한됐고 그들 사이의 연결망은 약했던 만큼 이들에게 양보의 조처를 취함으로써 그 연결을 더욱 약화시키고 그들을 극단적인 혁명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둘째는 탄압을 강화하는 길이다. 그렇게 하면 그 연결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이들 내부의 온건 분자들까지도 더 강경한 투쟁가들로 바꿔놓을 것이다. 니콜라이 2세는 후자를 택했다. 그는 자신이 대관식 때 차리즘 절대주의를 굳건히 지키겠다던 서약에 충실해야 한다고 믿었고 대항 세력인 인텔리겐치아는 국가를 경영할 능력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②플레베의 경찰사회주의
니콜라이 2세의 더욱 강화된 억압 통치는 1902년 4월에 암살된 내무부 대신 시피아긴의 후임으로 무지막지한 경찰국장으로 정평이 난 플레베를 승진시킴과 동시에 시작됐다. 그는 우선 경찰의 기능을 넓게 해석했다. 단순히 불순 세력을 제거하고 치안을 확립하는 데 한정시키지 않고 차리즘 체제를 보호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조처들을 취하는 선으로까지 확대시킨 것이다. 이러한 그가 내무부 대신으로 승진한 데다가 차르가 사실상 무제한의 힘을 그에게 주었기에 그는 차리즘의 기본 원칙에 도전하는 모든 세력에 대해 무자비하게 대처했다. 역사학자들이 플레베가 내무부 대신으로 봉직했던 2년의 시기를 \'경찰 국가\' 의 시기를 넘어선 \'준 전체주의 국가\'의 시대로 보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이로써 차리즘 경찰력과 반차리즘 세력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⑶ 러일 전쟁에서의 패배와 젬스트보 대회
①러일 전쟁에서의 패배
러시아 전역에 걸쳐 혁명의 기운이 무르익자 플레베 내무부 대신은 이 기운을 억제시키기 위한 계
추천자료
[러시아][한국과 러시아의 정치적 관계][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과정][러시아 대한반도정책 ...
[러시아 대북정책][북러정상회담][러시아의 북핵문제에 대한 입장][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평...
[러시아 푸틴정부][러시아 푸틴정부 대외정책][러시아 푸틴정부 대한반도 정책]러시아 푸틴정...
[흑아프리카연방][미국연방][캐나다연방][독일연방][러시아연방][연방제][흑아프리카][미국][...
[예술][영국 예술][프랑스 예술][소련 예술][러시아 예술][중국 예술][국가별 예술]영국 예술...
러시아 미술의 기원, 러시아 중세 미술, 11세기~17세기, 근대 러시아 미술, 이콘, 이콘의 정...
[러일전쟁][러시아 태도변화][일본]러일전쟁의 개요, 러일전쟁의 개념, 러일전쟁의 원인, 러...
[국유기업, 독일 국유기업, 러시아 국유기업, 중국 국유기업, 인도 국유기업, 헝가리 국유기...
[경제협력, 한러협력, 러일협력, 북러협력, 중러협력]러시아와 한국의 경제협력(한러협력), ...
소련(러시아, 소비에트연방) 미국(미소) 평화공존노선, 소련(러시아, 소비에트연방) 미국(미...
[러시아][러시아 교육제도][러시아 문자][러시아 여성]러시아의 역사, 러시아의 기본정보, 러...
[러시아노무관리][러시아노무관리 국가고용정책][러시아노무관리 대외관리]러시아노무관리의 ...
[러시아][러시아 상징주의][러시아 사실주의][관제국민주의][구성주의][집단주의]러시아의 상...
[러시아][러시아 정치제도][러시아 산업재산권제도][러시아 교육제도][러시아 상표제도][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