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러시아 태도변화][일본]러일전쟁의 개요, 러일전쟁의 개념, 러일전쟁의 원인, 러일전쟁의 배경, 러일전쟁의 전개,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태도변화,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상황, 러일전쟁과 일본의 상관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일전쟁][러시아 태도변화][일본]러일전쟁의 개요, 러일전쟁의 개념, 러일전쟁의 원인, 러일전쟁의 배경, 러일전쟁의 전개,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태도변화,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상황, 러일전쟁과 일본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러일전쟁의 개요
1. 1904년 1월 27일 여 순항(Артур) 의 러시아 함대 공격
2. 1904년 1월 28일 조선의 제물포함의 러시아 배 공격
3. 1904년 3월 러시아 기함 빼뜨로빠블로로프스끄 침몰
4. 1904년 5월 여 순항 포위
5. 1905년 5월 동해에서 발틱함대 대패

Ⅱ. 러일전쟁의 개념

Ⅲ. 러일전쟁의 원인

Ⅳ. 러일전쟁의 배경

Ⅴ. 러일전쟁의 전개

Ⅵ.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태도변화

Ⅶ. 러일전쟁과 러시아의 상황

Ⅷ. 러일전쟁과 일본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동지역을 동아시아 총독구로 하는 이른바 동아시아 총독부의 설립을 발표
- 1903년 4월 압록강 하류 용암포를 점령하고 군사기지를 설치하여 조차를 요구
- 일본은 만한교환(滿韓交換)의 원칙으로 수차례 교섭을 시도했으나, 더 이상 협상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전쟁을 결의
- 일본은 1904년 2월 4일 대(對)러 교섭 단절과 아울러 개전을 결정
- 2월 8일 뤼순항을 기습 공격하여 전함 2척과 순양함 1척을 파괴하고, 9일 인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함대를 격침시킨 다음 10일 선전포고
Ⅷ. 러일전쟁과 일본의 상관관계
러·일전쟁의 결과는 포츠머스 강화회담과 을사조약으로 이어져 한국은 주권을 일본에 거의 빼앗기고 망국의 운명을 맞게 되었다. 한국정부는 러·일 간의 급박한 사태를 감안, 1904년 1월 23일 ‘국외중립(局外中立)’을 선언하였으나, 일본은 이를 무시한 채 군대를 서울에 투입하고 2월 9일에는 인천 앞바다에서 러시아 함정 2척을 격파하였다. 또한 2월 23일에는 한국정부를 강압하여 공수동맹(攻守同盟)을 전제로 한 ‘한일의정서’를 체결하였다. 일본은 이 의정서에 따라 광대한 토지를 군용지로 점령하고 통신망을 접수하였으며, 경부선 ·경의선의 부설권, 연해의 어업권, 전국의 개간 권까지 획득하였다.
한국정부는 전쟁이 일본의 승세로 기울자 같은 해 5월 18일자로 러시아와 체결하였던 일체의 조약 ·협정의 폐기를 선언하였다. 이에 일본은 8월 22일 ‘외국인용빙협정(外國人傭聘協定)’을 한국과 체결, 한국의 외교권을 거의 박탈하는 ‘고문정치(顧問政治)’를 성립시켰다. 전승국이 된 일본은 1905년 7월과 8월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각각 한국에 대한 독점적 지배권을 확인받았다. 이어 9월의 포츠머스조약에 따라 러시아로부터 한국의 독점적 지배를 확인받음으로써 한국의 일본 식민지화는 사실로 굳어졌다.
참고문헌
○ 니꼴라이 V. 랴자노프스끼 저, 김현택 역, 러시아의 역사 1801~1976, 까치글방
○ 박희성(2012), 러일전쟁 기간 국제관계와 한국,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손순옥(2010), 메이지 시대의 반전시 연구 : 러일 전쟁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 이성환(2010), 고종의 외교정책과 러일전쟁, 동아시아일본학회
○ 차경애(2010), 러일전쟁 당시의 전쟁견문록을 통해서 본 전쟁지역 민중의 삶, 중국근현대사학회
○ 최문형(2004),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 병합, 지식산업사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