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 본 론 】
학교사회의 권위적 문화 [한겨레 2005-06-10 17:12]
《꿈찾기》 -해웃음-
【 결 론 】
교직, 치솟는 인기 그러나 쌓이는 불신 [업코리아 2005-11-08 14:08]
◎ 참고 자료
【 본 론 】
학교사회의 권위적 문화 [한겨레 2005-06-10 17:12]
《꿈찾기》 -해웃음-
【 결 론 】
교직, 치솟는 인기 그러나 쌓이는 불신 [업코리아 2005-11-08 14:08]
◎ 참고 자료
본문내용
반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 마포구 소재 G 학원의 부원장 A씨는 <업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학교 수업은 거의 천편일률적인 반면 학원은 더 세세하게 맞춤식 교육을 해 수요자인 학생들의 마음을 더 끄는 것 같다"며 "학교 선생은 안정된 직장으로 정년이 보장되지만 학원 강사는 철저하게 자기능력에 의해 평가받는 자본주의 원칙에 의해 강사를 하기 때문에 더 열심히 수업준비를 하고 항상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A 씨는 이어 "학교는 한 번 배정되면 그 선생과 학교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학원은 얼마든지 더 능력 있고 잘 가르치는 학원이나 강사로 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이유로 최근 일선 교사들의 자질 시비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광효 기자[중도와 균형을 표방하는 신문-업코리아(upkorea.net)] -Copyrights ⓒ 2005 업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들은 학교 안에서 만들어진다. 아이들을 만드는 것은 교육이고 그 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다음 세대의 리더를 길러내는 사람으로서 이 사회 누구보다도 존경받아야 하며 믿을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교사는 직업이라기보다는 정말 ‘천직’이라는 말이 훨씬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위의 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요즘 시대는 교사의 사명감보다는 직업에 대한 안정성 때문에 더 많이 찾게 되는 것 같다. 대학생이 된 지금 미래의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내 주변의 많은 친구들도 정말 교사가 되고 싶어서 준비한다기보다는 안정된 직장, 적당한 보수를 위해서 교편을 잡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 IMF 이후 불안한 사회 현실이 그것을 더 조장하고 있는 이유도 있지만, 교직만은 그 바람에 흔들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말로만 “내일을 향한 참된 지성인을 키워내는 학교”가 아니라, 진정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학교, 그 학교 교육(단순한 지식의 축적만이 아니라 한 사회를 배울 수 있는)을 받고 나와 사회에서 환영받는 아이를 길러내기 위해서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각자가 교육에 대해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나아갈 때에 우리 교육은 반드시 더 발전할 수 있을거라 확신한다.
◎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iam0572/40012928063
한겨레(http://www.hani.co.kr)
업코리아(upkorea.net)
민중가요 [꿈찾기]
이에 대해 서울 마포구 소재 G 학원의 부원장 A씨는 <업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학교 수업은 거의 천편일률적인 반면 학원은 더 세세하게 맞춤식 교육을 해 수요자인 학생들의 마음을 더 끄는 것 같다"며 "학교 선생은 안정된 직장으로 정년이 보장되지만 학원 강사는 철저하게 자기능력에 의해 평가받는 자본주의 원칙에 의해 강사를 하기 때문에 더 열심히 수업준비를 하고 항상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A 씨는 이어 "학교는 한 번 배정되면 그 선생과 학교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학원은 얼마든지 더 능력 있고 잘 가르치는 학원이나 강사로 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이유로 최근 일선 교사들의 자질 시비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광효 기자[중도와 균형을 표방하는 신문-업코리아(upkorea.net)] -Copyrights ⓒ 2005 업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들은 학교 안에서 만들어진다. 아이들을 만드는 것은 교육이고 그 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다음 세대의 리더를 길러내는 사람으로서 이 사회 누구보다도 존경받아야 하며 믿을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교사는 직업이라기보다는 정말 ‘천직’이라는 말이 훨씬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위의 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요즘 시대는 교사의 사명감보다는 직업에 대한 안정성 때문에 더 많이 찾게 되는 것 같다. 대학생이 된 지금 미래의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내 주변의 많은 친구들도 정말 교사가 되고 싶어서 준비한다기보다는 안정된 직장, 적당한 보수를 위해서 교편을 잡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 IMF 이후 불안한 사회 현실이 그것을 더 조장하고 있는 이유도 있지만, 교직만은 그 바람에 흔들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말로만 “내일을 향한 참된 지성인을 키워내는 학교”가 아니라, 진정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학교, 그 학교 교육(단순한 지식의 축적만이 아니라 한 사회를 배울 수 있는)을 받고 나와 사회에서 환영받는 아이를 길러내기 위해서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각자가 교육에 대해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나아갈 때에 우리 교육은 반드시 더 발전할 수 있을거라 확신한다.
◎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iam0572/40012928063
한겨레(http://www.hani.co.kr)
업코리아(upkorea.net)
민중가요 [꿈찾기]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문열(독후감)
신명과 배움이 함께 하는 학급경영사례
도사견에 물려 죽은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안
인터넷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바람직한 해결방안 (청소년 대상 인터넷 활용에 대한 설...
[우수 독후감] 여성사
우리들의 교실에는 절망이 없다
텔레비젼(TV)프로그램 선택과 이용
청소년 왕따에 대한 학교에서의 대책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청소년과 청소년문화,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 인터넷중독의 문제, 인터넷중독의 진단기준...
이혼, 실직, 아동학대, 소년소녀가정 가정문제와 생활지도, 학생상담
청소년 성문제
개별사례보고 (사회복지현장실습, 개별상담, 취업거부대상자 3회기 상담일지, 상담, 사례)
자기충족적 예언(자성예언), 사회적 학습(사회적학습이론, 사회적 학습모형), 언어학습모형이...
홈스쿨링의 유래와 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홈스쿨링 교육 대책과 전망에 관하여 고찰해 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