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민족문제와 체첸분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시아의 민족문제와 체첸분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소비에트 시기의 민족문제
 1.러시아 혁명에서의 “주권의 약속”
 2.비러시아인과의 민족계약(시기별 민족정책)
 3.소비에트 시기 민족정책의 문제점

Ⅱ.러시아 연방의 민족문제
 1.페레스트로이카의 유산
 2.러시아 민족정책의 특징
 3. 러시아연방의 민족정책의 문제점

Ⅲ.체첸분쟁
 1. 체첸분쟁의 전개과정
 2. 체첸분쟁의 의미와 전망

본문내용

※러시아의 민족문제와 체첸분쟁
목차
Ⅰ.소비에트 시기의 민족문제
1.러시아 혁명에서의 “주권의 약속”
2.비러시아인과의 민족계약(시기별 민족정책)
3.소비에트 시기 민족정책의 문제점
Ⅱ.러시아 연방의 민족문제
1.페레스트로이카의 유산
2.러시아 민족정책의 특징
3.러시아연방의 민족정책의 문제점
Ⅲ.체첸분쟁
1.체첸분쟁의 전개과정
2.체첸분쟁의 의미와 전망
Ⅰ.소비에트 시기의 민족문제
1.러시아 혁명에서의 “주권의 약속”
레닌 정부는 ‘러시아 민족들의 권리 선언’을 발표->‘러시아 민족들이 자발적으로 결집한 동맹정책’ 선언
4개원칙
①러시아의 모든 민족의 평등과 주권.
②분리와 독립국가의 결성을 포함하는 러시아 민족들의 자유로운 자결권.
③모든 민족적 그리고 민족 종교적 특권과 제한의 폐지.
④러시아 영토에 거주하는 소수민족과 민족집단의 자유로운 발전.
->모든 민족의 자결권은 승인하지만, 이것이 독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비러시아인과의 민족계약(시기별 민족정책)
1)레닌: 온건주의자, ‘소연방’ 주장
“…중요한 것을 우리는 ‘독립주의자’에 논거를 주어서도 안 되고, 그들의 독립을 파
괴해서도 안 되고, 평등한 권리를 갖는 공화국 연방이라는 또 다른 새로운 세계를 창
조해야 한다.”
2)스탈린: 강경주의자, ‘자치공화국’ 주장
‘각 공화국을 러시아 연방공화국의 자치공화국으로 변경하는 것’
-‘민족계약’의 내용: 새로운 ‘단일 연방국가’ 정치조직을 갖고, 소비에트 각 공화국의 ‘민족’이 ‘전원일치로’ 소연방의 형성을 결의했다는 스탈린의 허구적인 발표.
-레닌 사후, ‘민족계약’의 파기: “민족주의 분자를 숙청” (문화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1929년부터 34년까지,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에서 대학살
(스탈린의 공포정치)
-러시아화 정책&민족말살정책
1)비러시아계 언어 출판물 수가 급속도로 하락.
2)강제 이주: 소비에트 시민이지만 소비에트 국외에 본국이 있는 민족집단의 강제이주
1937년 우크라이나의 아르메니아인과 유럽지역의 라트비아인을 시작으로 하여, 1941년 약 6만 명의 쿠르드인이 카자흐스탄 당으로 추방되었다. 1937년 7월에는 체첸 잉구쉬 공화국에서 1만 4천명을 체포하여 일부 처형하고 남은 대부분을 강제 이주시켰다. 8월에는 전원 (약 8만 명, 전 인구의 3~4%)가 소집되어 체포되었다. 이후 강제 이주된 인구는 총 수백만 명에 이른다. 이것은 소위 스탈린의 ‘인민들의 민족발전 자유’였다. 보흐단 나할일로,빅토르 스보보다, 『러시아 민족문제의 역사』, 정옥경 역, (신아사, 2002), 119-120
3)후루시초프와 브레즈네프:
탈스탈린 노선을 빈족정책에 반영시켜 그 동안 지속되어 오던 러시아 중심주의를 비난하고 새로운 ‘소비에트 인간’형을 강조
4)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 운동
3. 소비에트 시기 민족정책의 문제점
①‘연방’개념의 불분명성:
23년 이후 국가명칭에 사용되는 ‘연방(soyuz)’은 과도기 헌법에서 사용한 ‘연방(federalizm)\'이 아니다. ’soyuz\'는 ‘연합으로 해석될 수 있고, 이것은 소비에트 연방이 느슨한 국가연합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김인성, “러시아의 현대정치와 민족문제,” 『민족연구』8(2000):81
②구성체간 위계질서가 강화된 한편 복잡함: Ibid.
각각의 자치공화국들이 상이한 권리를 보유한다. 예를 들어, 소비에트 공화국의 주권성이 공식적으로 보장된 반면, 민족 자치 공화국은 헌법 및 법률제정권을 보유하고 있다.
Ⅱ. 러시아 연방의 민족문제
1991년 옐친을 위시한 개혁세력은 보수파 세력의 쿠테타를 저지하고 그 여세를 몰아 소련으로부터 러시아를 독립시켰다. 그러나 옐친 집권 전후를 통해 나타났던 민족문제는 여전히 통제되지 않은 채로 러시아연방의 탄생 순간부터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3.1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