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운드 마스킹이란?
(1) 사운드 마스킹의 정의
(2) 사운드 마스킹의 유래
(3) 사운드 마스킹의 진보
(4) 사운드 마스킹의 효과와 소리의 특성
2. 사운드 마스킹의 원리
3. 사운드 마스킹의 응용 사례
(1) 연주자, 연기자 대기실
(2) 도서관
(4) 대표적인 사운드 마스킹 응용사례 - 상명 대학교 도서관
(5) 대표적인 사운드 마스킹 사례 - 컨텍 센터
(1) 사운드 마스킹의 정의
(2) 사운드 마스킹의 유래
(3) 사운드 마스킹의 진보
(4) 사운드 마스킹의 효과와 소리의 특성
2. 사운드 마스킹의 원리
3. 사운드 마스킹의 응용 사례
(1) 연주자, 연기자 대기실
(2) 도서관
(4) 대표적인 사운드 마스킹 응용사례 - 상명 대학교 도서관
(5) 대표적인 사운드 마스킹 사례 - 컨텍 센터
본문내용
이다. 일반적으로 좋은 음환경을 만들고자 함은 “조용한 사무실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소리의 레벨을 가능한 한 낮추고자 한다. 즉 소리의 레벨이 ‘0’가 되는 것이 가장 좋은 단계라고 생각하는 하는데 이는 잘못된 가설이다. 빛, 습도, 온도와 같은 인간의 환경 공학 요소로써 소리의 볼륨에도 ‘0’이 아닌 편안한 레벨이 존재한다. 이를 암소음(Background Noise Level)이라고도 하고 Noise Floor라고도 한다. Noise Floor는 특정 시간에 공간에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소리의 레벨을 말한다. 이 Noise Floor가 낮으면 주변의 조그만 소리도 잘 들리게 되며 멀리 펴져 나가고 너무 높아도 불쾌하고 짜증이 난다. 사람이 업무 하기에 적합한 공간의 음환경은 대체로 42~48dBA정도가 적합하다. 이러한 Noise Floor는 통상적인 인테리어 공사로는 만들어 질 수가 없다. 실내의 온도가 물리적인 인테리어 공사로 완전히 제어되지 않아 냉난방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래서 인위적인 사운드마스킹 효과를 만들어 낮은 Noise Floor를 높여 주어 우리가 소음으로 듣게 되는 음의 진폭 차를 줄여 주면 편안한 음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사운드 마스킹은 전기적 장치에서 만들어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동시에 발생시켜 공간에 내보내어 진폭차를 줄여 줌으로써 소리가 퍼져 나가는 현상을 제어하는 최첨단 기술인 것이다. 소리가 들린다는 것은 소리의 진폭차가 크다는 것이고, 그 진폭차를 줄여 주면 들려오는 소리가 무뎌지거나 잘 안 들리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미 만들어진 컨택센터가 너무 시끄러우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사운드마스킹 시스템을 검토하기도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운드마스킹이 음압을 줄여 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사후의 솔루션으로 사운드마스킹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환경의 조사를 통하여 사전에 적합성을 판단하여 도입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컨택센터구축의 초기 단계에서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적극 고려하면서 사운드마스킹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바람직한 음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사운드마스킹을 도입한 한 기업의 컨택센터에서는 건당 Talk Time이 도입전 대비 70%정도로 떨어져 생산성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는 성공적인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음환경의 요인과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면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컨택센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음악] 컴퓨터 음악을 하기 위한 기본장비
[영화사] 아시아 영화사
[자연과학] 멀티미디어의 개념
멀티미디어의 모든것
유통 전문할인점들의 경영전략 분석과 고객만족, 고객중심 경영전략 분석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컨텐츠 발전방향
2009년 2학기 멀티미디어기획제작 기말시험 핵심체크
디지털 영화의 발달에 대해 설명
메탈음악의 종류와 특징
멀티미디어의 개념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의 개요와 모션그래픽 이용한 사례 분석
멀티미디어 디자인
★ 미디어와 테크놀로지 - 음향감독이란 누구인가
2017년 2학기 마케팅특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감성적 소비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