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조직과 노사관계 , 작업조직별 노사관계와 생산성과의 관련성 ( 대립에서 협력으로 , 각국의 대안적생산체제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산조직과 노사관계 , 작업조직별 노사관계와 생산성과의 관련성 ( 대립에서 협력으로 , 각국의 대안적생산체제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노사관계인식의 변화



2. 고능률 저비용 생산체제 & 저능률 고비용 생산체제



3. 각국의 대안적생산방식
1.일본식의 린(lean)생산방식
2.스웨덴의 사회기술적 생산시스템(sociotechnical production system)
3.이탈리아의 유연전문화(Italian flexible specialization)
4.독일의 다양한 품질의 생산방식(Geman diversified quality production)
5.미국 특유의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odel )



4.노동조합의 생산성 증대효과 (노조의 긍정적 효과)
1.집단표현효과
2.충격효과


5.노동조합과 사회적 비용 (노조의 부정적 효과)
1.비효율적 자원배분효과
2.기술적 비효율효과
3.파업에 의한 생산솔실 효과


6.한국적인 노사관계 생산조직의 현재모습과 방향성



7.느낀점

본문내용

그리고 작업성과의 차이를 강조한다. 기존의 대량샌상방식의 기본논리에 도전하기보다는 노동력 배치등에서 경영자에게 더 많은 신축성을 부여한다.
HR모형에서는 노사간의 마찰은 경영능력의 부족에 따라 발생되는 궤도이탈현상으로 간주하고, 마찰 및 갈등은 인간관계의 개선을 통해서 극복될수 있다고 본다.
현재 노사공동위원회, 품질관리조, 팀제, 성과배분제, 이윤배분제, 적극적 정보제공,
현장에서 종업원의참여등 넓은의미의 노사관계를 기업이 전략적 차원에서 활용하고 있다.
노사관계
성과개선의 원천
린생산(일본)
-기업노조가 대부분
-노사간의 협조적인관계
-QC를 포함한 TQM을 통해생산과정의
지속적 개선과 품질향상을 이룩함
-품질과 생산성의 지속적인 축적
-QC와 팀작업에 대한 근로자들의 참여가
지식과 노력을 제공하는 동기를 제공
-높은 수준의 설비활용도와 범위의경제
사회기술체계
(스웨덴)
-강력한 전국적 노조가
생산직 90%
사무직 80%를 조직
-고용주연합
-집권화된 임금 교섭
-노동조합관계의 원활화
-적극적 참가의식
-자율적 팀들이 근로자들의
지식과창의성발휘
-팀이 자체의 검사,보전 및 감독기능을 수행
(결함과 간접노동을 줄임)
-작업현장에서의 근로자 참여가
지식과 노력을 투여할 동기를 제공
-훈련과 기술에 관한 근로자들의 의사결정
능력을 증진시킴
유연전문화
(이탈리아)
-높은 노조조직률
전국적 교섭에 의한 최저임금:지역수준에서 지역임금과 노동기준이 협상이됨
-협조적,지역주의적,영역중심적
노사관계
-기준미달 제품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
-군락의 경제
-산업부문에 따른 전문화
다변화
고품질생산
(독일)
-강력한 산업별 노조가 있음
-노사관계가 대립적
(하지만 생산적인입장에 협조적
노동조합도 파업은 최후의 수단)
-근로자들이 고도의 숙련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기술 도입에 대한 협상이가능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
-종업원평의회를 통한 근로자 참여가
기술,훈련 등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능력을 개선시킴
인적자원관리(미국)
-노조가 약함 (반 노조적 경영진)
-경영진과 근로자들간에 이해갈등 요소가 없다는 일체주의적 시각
-근로자 제안조사를 통한 의사소통과 협의
-근로자 만족,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노동생산 성을 높일수 있다는 가정
<한국노동경제론 김장호 PP102~103>
<참고>기아차, 유연 생산체제 본격 가동
기아자동차(주)는2008년 12월12일,
대형 RV차량 카니발을 생산하던 경기도 광명시 소 하리 1공장에서 소형 승용차인 프라이드의 혼류생 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기아차는 생산 물량이 줄어든 카니발 라인에서 국내외 수요가 늘고 있는 소형차 프라이드를 생산하여 RV 수요는 감소하고 소형차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지난달 21일 카니발 생산 라인에서의 프라이드 혼류생산을 노사 합의한 기아차는 2주간의 설비공사와 시험생산을 거쳐 12일 프라이드 혼류생산 1호차를 생산한 것.
기아차는 이달 2,500대의 프라이드를 1공장 카니발 라인에서 혼류생산함으로써 2공장에서 생산하는 프라이드 1만3,200대에 18.9%가 더해진 월간 1만5,700대의 프라이드를 생산할 예정이며, 소하리 1공장을 RV-소형승용-대형승용 등 세 차종 혼류생산체제로 개편, 라인간 물량 균형을 맞추고 시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기아차는 지난 10일 그동안 협의를 진행해 왔던 포르테 혼류생산에 대해 노사간 기본 합의를 이뤄내고 쏘렌토와 모하비등 중대형 SUV를 생산하던 화성공장 1공장에 준중형 승용차인 포르테 혼류생산을 위한 설비공사도 곧 착수할 예정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프라이드의 혼류생산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 공동 노력의 결과\"라며, \"비슷한 차급끼리가 아닌 RV와 승용차의 혼류생산으로 시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는 혼류생산 외에도 신차의 품질확보 및 적기 공급 등 경제위기를 극복을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하고 있다.
기아차 노사는 지난 4일 소하리공장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 상생을 바탕으로 한 체질개혁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는 \'기아차 노사합의문\'을 발표한 바 있다.
\'기아차 노사합의문\'은 ▲자동차산업 위기극복 ▲평생일터 실현
▲투명한 노사관계 구축 ▲성공적 신차 확보 및 안정적 라인 운영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 등을 담고 있다.
<[Seoul, Korea] 박찬규 (朴燦奎, Justin Park), 2008.12.12.Fri.>
선진공업국의 생산성향상방안
*미국
-1980년대에 일본 및 독일의 자동차시장 침투와 경제적 진출에 대응하여 미국의 기업과 노조가 공동으로 전투적 투쟁을 포기하고 노사공동의 프로그램개발 및 작업장혁신 노력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기업을 살리고 노동조합원의 고용안정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독일
-독일의 크롭사는 과거의 고비용 저생산성 구조를 타파하고 노사가 공동으로 생산성향상 운동을 전개하여 노사간의 대화의 활성화를 통해 신뢰기반을 확고히 하고 고생산성.저효율 생산체제로 겨영위기를 극복하게 되었다.
- 메르세데스 벤츠사는 고임금.저효율 생산체제로 인해 경영위기에 직면하자 경영자는 생산구조를 혁신하고 “팀 작업제”등을 도입하고, 노동조합은 자신들의 세력악화를 무릅쓰고 회사방침을 전격 수용함으로써 생산구조 혁신,매출액 신장, 경영성과의 호전으로 기업경영이 정상화되었으며 “우리회사”라는 새로운 노동문화가 형성되었다.
-1990년대 폭스바겐사는 국내 경기침체와 국제 자동차 수요감소로 인해 경영위기에 처해 있을 때 회사가 위치한 “니드삭센”시민이 떨어진 회사주식을 구입하고 경영자들은 고효율.저비용 생산체제로 발빠르게 움직이며 노동자들은 일손나누기(Job Sharing)운동을 전개하여
임금은 동결되고 고용노동량은 유지함으로써 대량해고를 예방하게 됐는데 “참다운 시민 자본주의 운동”과 노동운동은 본받아야 사례이다.
*일본
-일본 도요타 구로다 공장은 공장구조조정과 생산방식을 개선할 때 “로보트”시설의 도입에 있어 찬반 의견을 수렴하고, 경영자는 해고노동자의 전직을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3.19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