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전산지반 레포트 모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남대 전산지반 레포트 모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061117 김호찬 전산지반 과제 모음
SlopeW를 이용한 사면 파괴에 대한 안전율 검토
(1)단면 작성및 물성치 입력과정
1.page, scale, grid 간격을 알 맞게 설정한다.
-여기서 스케일의 경우 물의단위중량을 1로 하고 그리드의 경우 스케치시 주어진값에 맞게 0.1단위로 한다.
2.문제에 주어진 값과 같이 스케치를 시작한다.
3.해석방법및 옵션을 입력.
- 아래 점선표시와같이 해석방법은 only Bishop,Ordinary and Janbu를 설정하고, 컨트롤탭에서 예제와 다른 모멘트 방향이므로 Right to Left를 선택하여 준다.
4. 흙의 특성을 입력하고 영역을 작도한다.
- 주어진 값은 1 풍화토층의 단위중량은 1.7t/㎥, 2 풍화암층의 단위중량은 1.9t/㎥로 선정 이 두층 모두 c=1.0t/㎥ , Φ=35˚로 동일하다. 3 은 Badrock부분이다.
-흙의 특성을 입력후 각 영역을 아래그림과 같이 작도한다.
(여기서 얇은선은 Line#1(풍화토층)을 점선은 Line#2(풍화암층)를 굵은선은 Line#3(Badrock)을 나타낸다.)
(2)지하수위의 유무와 포화상태에 따라
지하수위가 없는 사면의 상태를 1경우
지하수위가 사면안에 존재할때의 사면을 2경우
지하수위가 완전 포화상태의 사면을 3경우 라고 가정한다.
1.지하수위가 없는 사면상태일 경우 바로 Slip Surface Radius의 작도와 회전 중심 그리드를 작도한다.
2.지하수위가 사면안에 존재할때의 경우 지하수위를 아래그림과 같이 작도한후 1상태와같이 Slip Surface Radius의 작도와 회전 중심 그리드를 작도한다.(파란점선=지하수위)
지하수위가 풍화토층과 풍화암층에 걸쳐 사면내에 존재할때의 경우이다.
3.지하수위가 완전 포화상태의 사면의 경우 지하수위를 아래그림과 같이 작도한후 1상태와같이 Slip Surface Radius의 작도와 회전 중심 그리드를 작도한다.(파란점선=지하수위)
사면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지하수위가 사면외각과 같다.
(3)3가지경우때의 안전율과 허용안전율과의 비교.
1. 지하수위가 존재하지않을때.
2.지하수위가 사면안에 존재할 때.
3.지하수위가 완전 포화상태일때.
4.건기 우기시 허용안전율과 계산안전율과의 비교.
- 건조시 허용안전율 1.5 , 우기시 허용안전율 1.3 .
- 위의 표에서 보시다 시피 영덕 사면의 경우 건기시나 우기시 사면에 어느정도의 지하수위가 존재할때는 허용안전율보다 높은 안전율이 나오나 사면이 완전포화상태일때 안전율이 허용안전율보다 낮게 나오므로 안전하지 않다고 볼수있다. 영덕 사면의 경우 풍화암 으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환경적인 영향을 받기에 사면 보강공법을 실시하여 지속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사면보강 공법에는 억제공과 억지공이 있다.
억제공은 사면의 파괴를 사전에 미리방지하는 공법으로 사면전체에 콘크리트를 바르는식의 숏크리트 공법이있다.
억지공은 사면에 말뚝과 앵커등을 박아 사면을 보강하는 공법으로 공사비가 많이들어가는 단점이있다.
5.파괴면 slice #의 간극수압.
- 포화시 슬라이스의 간극 수압이 가장 높게 나왔고 건조시 가장 낮은 값을 가진다. 간극수압이 높으면 그만큼 그사면이 불안전하단것을 알수있다.
6.파괴면 slice #의 강도.
- 건조시 슬라이스의 강도가 가장높게 나왔고 지하수위가 존재할 때 강도는 점차 낮아졌고 사면전체가 포화되었을때 강도는 가장 낮게 나왔다. 이로 보아 사면안전에서 지하수위의 여부에따라 사면 안정에 대해 지하수위가 점점 높아 질수록 사면은 불안전해짐을 알수있다.
<문제>
1. 지하수위에 따른 최소 안전율 및 파괴면의 형상
(1) 건조사면 해석
안전율 :
그림 1. 건조사면
(2) 지하수위가 낮을시 사면해석 <지하수위1>
안전율 :
그림 2. 지하수위1 사면
(3) 지하수위가 높을시 사면해석 <지하수위2>
안전율 :
그림 3. 지하수위2 사면
(4) 포화상태 사면해석
안전율 :
그림 4. 포화상태 사면
2. 파괴면 Slice # 당 강도와 간극수압의 변화
(1) 수위에 따른 강도의 변화
그림 5. 수위에 따른 강도의 변화
(2) 수위에 따른 간극수압의 변화
그림 6. 수위에 따른 간극수압의 변화
3. 결론 및 평가
(1) 위의 사면에서는 수위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는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나타난
다. 지하수위가 사면과 가까워질수록 안전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최초 문제에서 건조시의 안전율이 1.5 이상, 습윤시 안전율이 1.3이상이 되도
록 구배를 조정 하였다고 했는데 해석결과 건조시 2.11, 습윤시 1.52~1.71로
최초의 조건을 만족 하였다.
(2) 파괴사면의 강도변화에서 점착력은 10로 변화가 없으며 마찰력의
경우 건조 상태에서 가장 크고 포화상태에서 가장 작으며 지하수위가 사면과
가까워질수록 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3) 파괴 사면의 간극수압의 변화는 건조 상태에서 0로 일정하고 포화상
태의 간극수압이 가장 크며 지하수위가 사면과 가까워질수록 간극수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4) 위의 사면은 최초의 조건을 만족하고 포화시 안전율이 1을 초과하여 안정적이
라 판단 할 수 있지만 풍화암이라는 암질과 지속적인 환경적인 영향을 받기에
사면 보강공법을 실시하여 지속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SlopeW를 이용한 사면 파괴에 대한 안전율 검토
(1)단면 작성및 물성치 입력과정
1.page, scale, grid 간격을 알 맞게 설정한다.
-여기서 스케일의 경우 물의단위중량을 1로 하고 그리드의 경우 스케치시 주어진값에 맞게 0.1단위로 한다.
2.문제에 주어진 값과 같이 스케치를 시작한다.
3.해석방법및 옵션을 입력.
- 해석방법은 only Bishop,Ordinary and Janbu를 설정하고, 컨트롤탭에서 예제와 다른 모멘트 방향이므로 Right to Left를 선택하여 준다.
SWWP/W를 이용하여 문제를 푼다.
1. 프로그램 실행후 아래 그림과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