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방법
3. 본론
1) 충남 시,군별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2) 서산시 읍면동별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3) 서산시 자연부락과 공동주택의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4) 역대선거에서 나타난 주거형태별 투표성향 추이
5) 거주형태별 투표성향의 특징과 의미
6) 거주형태별 투표성향 차이의 사회학적 규명
4. 결론
2. 연구방법
3. 본론
1) 충남 시,군별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2) 서산시 읍면동별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3) 서산시 자연부락과 공동주택의 야당후보 득표율 비교
4) 역대선거에서 나타난 주거형태별 투표성향 추이
5) 거주형태별 투표성향의 특징과 의미
6) 거주형태별 투표성향 차이의 사회학적 규명
4. 결론
본문내용
타운을 형성하고 있는 근교의 공동주택 주거지의 경우 표7에서와 같이 9% 이상의 투표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표7] 서산 공동주택주거지의 투표현황(읍면지역)
지역
박근혜
문재인
주요 공동주택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대산읍제3투
506
46.8
566
52.3
명지원룸, 호남석유화학사택
대산읍제4투
688
40.9
984
58.5
엘지사원아파트,쌍둥이원룸,현대스틸산업㈜기숙사
대산읍제6투
693
51.1
649
47.9
KCC대죽공장사원아파트,큰들원룸,현대오일뱅크사택
인지면제1투
1,619
56.1
1,242
43.1
서경아,송림아,아진아파트, 서산청구제네스아파트,산호옥마을아파트
지곡면제2투
1,032
44.7
1,254
54.3
늘푸른오스카빌아파트
음암면제3투
657
47.1
726
52.0
음암마을아파트, 한성아파트
고북면제2투
889
51.6
819
47.5
공군아파트,공군아파트연립
계
6,084
48.3
6,240
50.8
서산시 평균
53,072
57.3
38,595
41.6
비교차
-9.0
+9.2
위와 같은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시내권(동지역)의 아파트밀집지역은 야당후보에 대해 지역 평균득표율보다 4.7% 높은 득표를 보였고, 읍면지역의 아파트밀집지역은 지역평균 득표율보다 9.2% 높은 득표를 보여 시내,외권을 막론하고 주거형태가 공동주택형 밀집주거지역이 이번 선거에서 확연하게 높은 문재인후보 지지성향을 나타냈다.
4) 역대선거에서 나타난 주거형태별 투표성향 추이
주거형태별 투표성향의 차이는 18대 대선뿐만 아니라 이전에 치루어진 19대 총선(4.11)에서도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4.11 총선에서 전국적으로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의 압승이란 결과가 나왔지만 서산지역의 경우 주거형태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표8] 4.11총선(19대) 서산시 시내,외권 후보자별 득표율
정당
후보자
서산시
평균득표율
읍면지역 득표율
동지역 득표율
읍면지역대비 동지역 득표차
새누리당
유상곤
27.0
28.3
25.8
-2.5
민주통합당
조한기
28.6
24.1
30.8
6.7
자유선진당
성완종
43.4
46.3
42.7
-3.6
즉 표8]에서와 같이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 후보는 서산시내권 동지역보다 읍면지역에서 각각 더 높은 득표를 하였다.
이같은 투표경향은 18대 대선(12.19)까지 계속 이어져 도농복합도시에서 여촌야도현상의 지역축소판인 시내외권 거주지별 개혁성향의 투표형태가 나타났다.
표9] 총선과 대선에서의 서산시 동지역과 읍면지역 후보득표율(새누리당과 선진당은 통합)
새누리당 후보지지율
민주당 후보지지율
비고
19총선(4.11)
18대선(12.19)
19총선(4.11)
18대선(12.19)
서산시 평균
70.4
57.3
28.6
41.6
시내권 동지역
68.5
56.6
30.8
42.7
시외권 읍면지역
74.6
61.1
24.1
37.4
또한 이러한 주거형태의 밀집성에 따른 투표성향의 차이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대단위아파트 주거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의 민주당후보에 대한 지지율이다.
그림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난 4.11총선에서 보수정당후보보다 상대적으로 개혁을 내세웠던 민주당후보에그림6]
대해 높은 지지를 보였던 아파트 밀집지역의 투표구는 이번 대선에 있어서도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지지율을 나타내어 유권자들의 정치성량이 상대적으로 개혁적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후보(조한기)는 전체득표율에서 두 보수정당후보에 밀려 3위를 하였지만, 아파트밀집지역에서 보수정당후보들인 새누리당후보(유상곤)은 21.3%, 자유선진당후보(성완종)은 36%의 지지를 얻은 반면 민주당후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42%의 지지를 얻어 무려 13%의 차이를 보였다.
표10] 총선과 대선에서 아파트밀집주거지 유권자의 투표
투표구명
새누리당+자유선진당
민주통합당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19대 총선
(4. 11)
대산읍 제3투
436
59.1
290
39.3
대산읍 제4투
592
51.3
561
48.6
지곡면 제2투
692
52.4
627
47.4
음암면 제3투
594
63.7
331
35.5
부춘동 제4투
890
59.2
605
40.2
동문1동 제3투
1,126
58.5
792
41.1
아파트지역 평균
57.3
42.0
서산시 평균
70.4
28.6
18대 대선
(12.19)
대산읍 제3투
506
46.8
566
52.3
대산읍 제4투
688
40.9
984
58.5
지곡면 제2투
1,032
44.7
1,254
54.3
음암면 제3투
657
47.1
726
52
부춘동 제4투
1,016
44.3
1,270
55.3
동문1동 제3투
1,378
49.3
1,402
50.2
아파트지역 평균
45.52
53.77
서산시 평균
57.3
41.6
5) 거주형태별 투표성향의 특징과 의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치선거에서 나타나는 여촌야도현상은 이번 18대 대선에서도 여지없이 나타났다.
서산시의 사례에서와 같이 유권자가 밀집된 시내권지역은 시외권지역에 비해 문재인후보 득표율이 평균 5%(득표수 4,630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내권지역에서도 대단위 아파트중심 선거구의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46.3%)은 시내권투표구 평균득표율(43.3%)보다 3%이상 높게 나타났고, 읍면지역의 대단위 아파트중심 선거구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50.8%)은 읍면지역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39.1%)에 비해 11.7%이상 높게 나타나 유권자 주거형태가 도시형 밀집주거형태와 후보지지 성향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의적 개념에서 서산시의 시내권,시외권을 막론하고 대단위 아파트주거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성향이 농촌 분산형 주거지역의 유권자들에 비해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 정치개혁, 보편복지, 경제민주화, 부자증세’를 추구한 개혁적 성향 뚜렷하게 높다고 의미할 수 있다.
6) 거주형태별 투표성향 차이의 사회학적 규명
여촌야도현상의 축소형태로서 동일지역내 주거형태별로 유권자의 투표성향의 차이를 보이고, 밀집주거형 거주지 유권자들이 상대적으로 개혁성,야당성을 보이고 있는 원인은
표7] 서산 공동주택주거지의 투표현황(읍면지역)
지역
박근혜
문재인
주요 공동주택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대산읍제3투
506
46.8
566
52.3
명지원룸, 호남석유화학사택
대산읍제4투
688
40.9
984
58.5
엘지사원아파트,쌍둥이원룸,현대스틸산업㈜기숙사
대산읍제6투
693
51.1
649
47.9
KCC대죽공장사원아파트,큰들원룸,현대오일뱅크사택
인지면제1투
1,619
56.1
1,242
43.1
서경아,송림아,아진아파트, 서산청구제네스아파트,산호옥마을아파트
지곡면제2투
1,032
44.7
1,254
54.3
늘푸른오스카빌아파트
음암면제3투
657
47.1
726
52.0
음암마을아파트, 한성아파트
고북면제2투
889
51.6
819
47.5
공군아파트,공군아파트연립
계
6,084
48.3
6,240
50.8
서산시 평균
53,072
57.3
38,595
41.6
비교차
-9.0
+9.2
위와 같은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시내권(동지역)의 아파트밀집지역은 야당후보에 대해 지역 평균득표율보다 4.7% 높은 득표를 보였고, 읍면지역의 아파트밀집지역은 지역평균 득표율보다 9.2% 높은 득표를 보여 시내,외권을 막론하고 주거형태가 공동주택형 밀집주거지역이 이번 선거에서 확연하게 높은 문재인후보 지지성향을 나타냈다.
4) 역대선거에서 나타난 주거형태별 투표성향 추이
주거형태별 투표성향의 차이는 18대 대선뿐만 아니라 이전에 치루어진 19대 총선(4.11)에서도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4.11 총선에서 전국적으로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의 압승이란 결과가 나왔지만 서산지역의 경우 주거형태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표8] 4.11총선(19대) 서산시 시내,외권 후보자별 득표율
정당
후보자
서산시
평균득표율
읍면지역 득표율
동지역 득표율
읍면지역대비 동지역 득표차
새누리당
유상곤
27.0
28.3
25.8
-2.5
민주통합당
조한기
28.6
24.1
30.8
6.7
자유선진당
성완종
43.4
46.3
42.7
-3.6
즉 표8]에서와 같이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 후보는 서산시내권 동지역보다 읍면지역에서 각각 더 높은 득표를 하였다.
이같은 투표경향은 18대 대선(12.19)까지 계속 이어져 도농복합도시에서 여촌야도현상의 지역축소판인 시내외권 거주지별 개혁성향의 투표형태가 나타났다.
표9] 총선과 대선에서의 서산시 동지역과 읍면지역 후보득표율(새누리당과 선진당은 통합)
새누리당 후보지지율
민주당 후보지지율
비고
19총선(4.11)
18대선(12.19)
19총선(4.11)
18대선(12.19)
서산시 평균
70.4
57.3
28.6
41.6
시내권 동지역
68.5
56.6
30.8
42.7
시외권 읍면지역
74.6
61.1
24.1
37.4
또한 이러한 주거형태의 밀집성에 따른 투표성향의 차이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대단위아파트 주거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의 민주당후보에 대한 지지율이다.
그림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난 4.11총선에서 보수정당후보보다 상대적으로 개혁을 내세웠던 민주당후보에그림6]
대해 높은 지지를 보였던 아파트 밀집지역의 투표구는 이번 대선에 있어서도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지지율을 나타내어 유권자들의 정치성량이 상대적으로 개혁적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후보(조한기)는 전체득표율에서 두 보수정당후보에 밀려 3위를 하였지만, 아파트밀집지역에서 보수정당후보들인 새누리당후보(유상곤)은 21.3%, 자유선진당후보(성완종)은 36%의 지지를 얻은 반면 민주당후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42%의 지지를 얻어 무려 13%의 차이를 보였다.
표10] 총선과 대선에서 아파트밀집주거지 유권자의 투표
투표구명
새누리당+자유선진당
민주통합당
득표수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19대 총선
(4. 11)
대산읍 제3투
436
59.1
290
39.3
대산읍 제4투
592
51.3
561
48.6
지곡면 제2투
692
52.4
627
47.4
음암면 제3투
594
63.7
331
35.5
부춘동 제4투
890
59.2
605
40.2
동문1동 제3투
1,126
58.5
792
41.1
아파트지역 평균
57.3
42.0
서산시 평균
70.4
28.6
18대 대선
(12.19)
대산읍 제3투
506
46.8
566
52.3
대산읍 제4투
688
40.9
984
58.5
지곡면 제2투
1,032
44.7
1,254
54.3
음암면 제3투
657
47.1
726
52
부춘동 제4투
1,016
44.3
1,270
55.3
동문1동 제3투
1,378
49.3
1,402
50.2
아파트지역 평균
45.52
53.77
서산시 평균
57.3
41.6
5) 거주형태별 투표성향의 특징과 의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치선거에서 나타나는 여촌야도현상은 이번 18대 대선에서도 여지없이 나타났다.
서산시의 사례에서와 같이 유권자가 밀집된 시내권지역은 시외권지역에 비해 문재인후보 득표율이 평균 5%(득표수 4,630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내권지역에서도 대단위 아파트중심 선거구의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46.3%)은 시내권투표구 평균득표율(43.3%)보다 3%이상 높게 나타났고, 읍면지역의 대단위 아파트중심 선거구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50.8%)은 읍면지역 문재인후보 평균득표율(39.1%)에 비해 11.7%이상 높게 나타나 유권자 주거형태가 도시형 밀집주거형태와 후보지지 성향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의적 개념에서 서산시의 시내권,시외권을 막론하고 대단위 아파트주거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성향이 농촌 분산형 주거지역의 유권자들에 비해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 정치개혁, 보편복지, 경제민주화, 부자증세’를 추구한 개혁적 성향 뚜렷하게 높다고 의미할 수 있다.
6) 거주형태별 투표성향 차이의 사회학적 규명
여촌야도현상의 축소형태로서 동일지역내 주거형태별로 유권자의 투표성향의 차이를 보이고, 밀집주거형 거주지 유권자들이 상대적으로 개혁성,야당성을 보이고 있는 원인은
추천자료
국민 대표제(대의제), 권력분립, 현행헌법의 정부형태
[행정보건학과]아파트 주거지역의 생활쓰레기 배출량 분석 및 재활용에 대한 인식도
[한옥][온돌][전통가옥][현대가옥][한옥의 우수성]한옥의 형성, 한옥의 특성, 한옥의 구성, ...
[랜(LAN) 표준화][무선랜(LAN)][무선랜(LAN) 서비스][무선랜(LAN) 현황][무선랜(LAN) 과제]랜...
[정치광고][정치광고와 미디어][정치광고의 문제점과 대안][정치광고의 개선 과제]정치광고의...
[노부모와 성인자녀] 노부모 부양과 부모자녀관계 및 부양 형태, 문화
[성폭행][강간][성폭력][성관계][성폭행 치료방법]성폭행(강간)의 의미, 성폭행(강간)의 형태...
[주택계획][주택공급]주택계획의 목표, 주택계획의 기본방향, 주택계획의 수립방향, 주택공급...
정보사회의 정의, 정보 기술의 민주주의적, 이용가능성, 낙관적 전망, 비관적 전망, 사이버 ...
무상급식, 무상보육의 효과성에 대해 측정하려고 한다. 자신이라면 어떠한 사회조사의 형태 ...
[이탈리아정부(이태리정부), 헌법, 주요정책, 항공기산업]이탈리아정부(이태리정부)의 형태, ...
(생활과 원예)우리 아파트 공간인 발코니의 실내정원 만들기
투표율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
도시개발 워크샵(워크숍 Workshop) {도시개발의 기본적 절차와 사회적 갈등의 형태와 해결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