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글로벌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차,글로벌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글로벌 전략
1) 브랜드가치 향상
2) 디자인 경영
3) 현지화전략
4) 지속가능 경영 체제 구축

미국 시장 점유율

미국 진출을 외부환경 분석
1) 미국 자동차 시장상황 분석
SUV란?
2) 시장의 변화
3)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경쟁업체 분석
4) 소비자 욕구 파악

STRENGTH
1.가격대비 높은 품질 경쟁력
2.건실한 재무구조와 이익창출력
3.자동차 부품 인프라
4. 내수시장 독과점
5. 임금대비 우수한 인력
WEAKNESS
1. 통제 못하는 강성노조
2. 선두업체와 기술격차
3. 저렴한 차의 이미지

제품개발
1) 표적 시장과 포지셔닝 설정
2) 제품 개발 방향
3) 디자인 개발
4) 실재 인테리아 및 공간 구성

미국내 성과

미국 투자 입지동기
미국 직접투자 동기

<피피티에 안들어가는 내용>

브랜딩 전략 성공요인
1) 생산/기술 측면
2) 제품 측면
3) 마케팅 측면
4) 소비자 행동 대응 측면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글로벌 경쟁력의 강화
- 상생의 노조
- 안정된 전 세계 생산 판매망 구축
- 하청업계의 기술개발과 투자
- 현지화전략의 강화
현지화 전략위한 구체적 방안

결론

본문내용

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SUV의 승차감과 소음 때문에 구매를 주저하고 있었다.
현대자동차의 내부역량 분석
지금까지 외부 환경이었고 이번에는 현대차의 내부역량을 강점,약점을 통해 알아 보겠다.
STRENGTH
1.가격대비 높은 품질 경쟁력
미국시장에서 현대자동차는 ‘가격 대비 품질우수 (Value for Money)\' 평을 받고 있음
ex) 미국시장의 소나타는 에어백, 에어콘, CD플레이어등 많은 사양을 달고도 경쟁차종인 도요타 캠리가 1만 8970달러, 포드 토러스 LX가 1만 9340달러에 팔리는 데 비해, 소나타는 1만 5499달러이다.
2.건실한 재무구조와 이익창출력
수출호조로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는 동시에 마진율도 상한가이다.
현재 현대자동차의 영업이익은 9%대로 이는 세계자동차 업체 중 최고 수준이다.
반면 현대와 경쟁하는 미국과 유럽자 메이커들의 영업마진률은 3%미만이다.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업체들도 8%수준.
3.자동차 부품 인프라
현대자동차의 우수한 부품인프라는 현대자동차의 대표적 해외시장에서의 강점으로 꼽힘
부품 인프라 강점의 귀인 - 현대를 비롯한 하국재벌의 ‘선단식’ 경영. 국내 부품업체들이 현대차 밑에서 철저하게 생존해 오는 동안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게됨.
우수한 부품인프라를 통한 차별화한 현지화 전략
일본등 대형 업체들은 유기적인 부품 인프라 구축이 힘들어 현지 조립 생산방식을 택하게 되고 자연 가격 경쟁력도 떨어진다.
반면 현대는 경쟁력 있는 핵심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동반진출을 통해 우수한 부품인프라를 구축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됨.
4. 내수시장 독과점
현대 기아차가 국내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 점은 큰 강점
미국 수출이 위축돼도 국내 시장의 뒷받침이 있다. 현대차의 수출 호조는 안정적인 국내 시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
5. 임금대비 우수한 인력
현대차 근로자의 생산기술력은 타 업계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선진국 업체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아 원가 경쟁력에 크게 일조 : 생산성을 제외하고 시간당 임금만 놓고 보면 경쟁업체에 비해 낮은 수준
WEAKNESS
1. 통제 못하는 강성노조
다른 글로벌 엄체들이 추진력있게 밀고 나갈 때, 현대차의 노사문제는 해외 시장에서 치명적인 아킬레스 건이 될 수 있음
2. 선두업체와 기술격차
디젤엔진차와 미래 자동차시장을 이끌어갈 하이브리드(전기 휘발유 혼용엔진)차나 수소 연료전지차 개발은 꽤 뒤쳐졌었다. 더 큰 문제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 자동차업계는 하이브리드카나 수소차가 가까운 미래에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는데 한 목소리를 냄.
3. 저렴한 차의 이미지
미국에서의 브랜드별 자동차 품질 및 디자인 만족도 조사를 보면 37개 브랜드 가운데 현대차는 21위, 기아차는 35위에 머무름.
현대차는 미국 시장에서 도요타, 혼다의 같은 급차량에 비해 200만~300만원이 더 쌈
브랜드가치가 떨어지는 대신 가격경쟁력으로 버티고 있다는 지적
제품개발
위의 내외부 분석을 토대로 전략적 측면에서 싼타페의 제품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알아보겠다.
1) 표적 시장과 포지셔닝 설정
싼타페의 1차 표적시장으로 자영업 또는 전문, 사무직 종사하는 중산층의 28~39세의 남성을 선정 하였다. 2차 타깃층은 40~45세의 자영업자 또는 전문,사무직 종사자로 좀더 소득수준이 있는 집단들이다. 또한 미국소비자들은 가족구성원에 따라 선호하는 차종이 확연히 다르다는것을 인식하고 1,2차집단 모두가 대략 2~3명의 자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했다.
이들 중 승용차 보유자는 안정성을 요구하고, RV보유자는 승차감과 엔진의 정숙성을 요구했다. 이런 표적 시장의 소비자들은 4륜구동의 SUV를 원했고 레져에 이어 출퇴근에도 어울리는 디자인을 찾았다.
여기에 현대차는 앞에서 말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승용차와RV의 장점을 결합한Cross over 차량인 싼타페를 만들었다. 실제 JD파워의 자동차 메이커별 평균 구매 연령 조사를 보면 2003년부터2004년 3월까지 현대차를 구매한 평균연령은 42세 였고, 그중 싼타페 구매 연령이43세로 타깃층과 실제 소비자층이 어느 정도 일치함을 보여줬다.
2) 제품 개발 방향
소비자 욕구와 트렌드를 분석하여 승용차, sUV, 다목적 차량이 결합된 CRoss-over형 차량을 개발하기로 했고 다음이 주요한 개발 방향이다.
첫째, 험로에서 주파성을 높이고 승차감을 개선해 안정성을 추구
둘째, 승용차 디젤엔진사용해서 정숙성과 연비개선을 통해 경제성 추구
셋째, 최적의 패키지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출퇴근과 레져용의 다목적성을 보유한다.
이를 위해 디젤 2.0엔진을 도입해 출력과 연비를 높였다. 이 엔진은 기존 동급엔진보다 연비를 15%높였고, 소음및 진동, 배기가스 절감 효과를 가져다 줬다.
3) 디자인 개발
디자인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미국소비자의 철저한 의식조사를 통해 맵나는(Sleek), 견고한(Solid), 그리고 세련된(Refined) 으로 잡고,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Cal-tech 디자인 연구소에 디자인을 의뢰하여 디자인의 현지화를 추구했다. 얼핏 디자인이 비슷해 보이는SUV차량속에서 차별화를 만들기 위해 전체적인 실루엣보다 부분적인 디자인에 신경을 썼다.
전체적인 외관을 살펴보면 스포츠카 타입의 볼륨감 있는 차체에 대형 안개 등을 앞 범퍼에 적용해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했다. 거기에 프론트 범퍼의 안개등의 디자인과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을 크롭도금 하는 등의 부분적인 파격을 시도했다. 개발비로 27개월간 2천 900억을 투입한 싼타페는 현지화 된 디자인과 부분적 차별성을 갖춘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확보햇다.
4) 실재 인테리아 및 공간 구성
실내디자인은 운전자 중심의 럭셔리 스포티 이미지를 추구했다. 또한 넓은 실내공간으로 싼타페 보유자의 차 크기에 대한 만족도는 50%이상으로높은편이었다. 또한 7인승 기본인 싼타페는 레져용 차로서의 활용성을 높이기위해 미니밴을 능가하는 다양한 좌석배치변환으로 실내 공간을 다용도로 활용했다.
편의 사양으로는 TV비디오CD기능을 한데 모은 AV시스템 비양에 따라 조절되는 윈도우 와이퍼, 전동식 선루푸, 조수식 밑 서랍식 수납공간 등이 마련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4.03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