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도덕 교육
1)도덕 교육의 목표
2)도덕성의 구성 요소
2. 인격교육에서의 가치교육의 문제
1) 통합적인 접근법으로서 가치교육
2) 통합적 방법으로서 가치관의 지도모형
3) 가치관의 수업모형
3. 인격교육과 정의적 영역의 지도 방법
4. 사회성의 교육 방법을 통한 인격교육
5. 통합적인 인격교육의 방법
Ⅲ. 결론
Ⅱ. 본론
1. 도덕 교육
1)도덕 교육의 목표
2)도덕성의 구성 요소
2. 인격교육에서의 가치교육의 문제
1) 통합적인 접근법으로서 가치교육
2) 통합적 방법으로서 가치관의 지도모형
3) 가치관의 수업모형
3. 인격교육과 정의적 영역의 지도 방법
4. 사회성의 교육 방법을 통한 인격교육
5. 통합적인 인격교육의 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개념이다. 정세구 외, p.315.
그리고 필자가 이름 붙인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하는 개념이 된다. 각 영역의 핵심 내용과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영 역
핵 심 내 용
접 근 방 법
인지적 영역
다양한 갈등 상황의 해결
가치 갈등, 규범의 내면화, 개념 분석, 집단 탐구, 가치 명료화 등
정의적 영역
정의적 느낌, 감정 이입
대화, 그림, 감동적인 이야기, 시 등
행동적 영역
습관화
역할극, 다양한 놀이, 직접 실천하기
(2) 통합 내용
가. 내용과 형식의 통합
나. 정의적 영역의 강조
다. 知行合一의 도덕교육 : 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행동적 영역
행동 영역은 덕목 교육(내용) 속에, 인지 영역(형식) 속에, 정의 영역(동기) 속에 모두 다 들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K.Ryan은 인격의 핵심은 도덕적 행동이라고 보고 있다. 또, E.A.Wynne와 H.W.Walberg은 인격은 도덕적으로 적절한 말과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세구 외, p.315.
(3) 통합적 접근법의 수업모형 1. <문제해결식 수업모형> 남궁달화, pp.295~297 참조.
도적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문제사태의 제시
문제사태의 인식
문제사태의 직면
도덕적 판단
도덕적 의지
도덕적 행동
이 수업 모형은 외면적으로는 형식적 구조의 틀을 보여주지만 내면적으로는 ‘형식’은 물론, ‘내용’과 ‘동기’의 도덕교육이 함께 그리고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수업 모형은 생활사태 속에서 학생들이 (1) 도덕적 문제사태를 ‘가지게 될 때’, (2) 그것이 도덕적 문제사태임을 인식하여, (3) 인식된 문제를 간과 또는 회피하지 않고 직면함으로써, (4) 도덕적으로 사고하여 판단을 내리고, (5) 이에 그치지 않고 판단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도덕적 의지를 형성하여, (6) 도덕적 행동을 하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을 도덕수업의 전개과정에서 교사가 직접 적용운용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모형이다.
도덕교육은 ‘내용’과 ‘형식’과 ‘동기’가 동시에 그리고 함께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은 이들 세 요소가 동시에 그리고 함께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통합적 접근법의 수업모형 Ⅱ J.Wilson, Practice of Morality, 1973.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언어와 의사소통(토의하기)
계약 및 규칙 정하기
가정 모형 적용하기
(5)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
이상에서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안해 보았다.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
①도덕적 상황제시
②관련된 도덕적 감정 공유
③관련된 규범 찾기
④ 실천 또는
실천동기부여
②-1.도덕적 감정 표현
②-2.도덕적 정서 공유
1)「① 도덕적 상황 제시」: 이 단계는 도입단계로써 인지적 영역일 수도 있고 정의적 영역일 수도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양자가 混在하는 영역이다. 도덕적 상황이 갈등사태로 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감동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② 관련된 도덕적 감정 공유」: 이 단계는 정의적 영역으로서 각 개인간의 도덕적 감정이 진솔하게 표현되고, 그 개개의 감정들 중에서 정서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3)「③ 관련된 규범 찾기」: 이 단계는 인지적 영역이다. 이 단계에서는 ②의 감정이 어떻게 해서 유발되었는가? 그 감정의 유발이 타당한가? 그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나 규범은 무엇인가? 등을 분석하고 탐구하며 명료화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②와 ③의 단계가 반드시 고정된 것은 아니다. 순서는 교재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③이 ②보다 먼저 온다면, 제시된 문제 사태와 관련된 규범을 발견하고 분석하며 명료화하는 단계가 되어 뒤에 올 도덕적 감정 유발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4)「④ 실천 또는 실천동기 부여」: 이 단계는 감정적으로 내면화된 올바른 규범이나 가치를 실천하고 습관화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한 것처럼, 만약 실천을 두 번째 단계에 둔다해도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예를 들어, 역할놀이를 통하여 가상 체험이나 가상 실천을 먼저 한 후, 그것과 관련된 감정을 공유하고 그에 따른 가치나 규범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은 도덕적 감정, 즉 정의적 차원을 강조한 모형이다. 어떤 도덕적 사태에 대한 ‘옳고 그름’과 ‘좋고 나쁨’의 감정을 표현하고 그 도덕적 감정을 공유하는 부분에서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가 계발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의적 차원을 강조하다 보면 덕목주의로 흐르기 쉽고, 덕목주입 교육은 ‘Heinz 딜레마’ 나 ‘Helga의 고민’같은 가치 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결코 줄 수 없다. 그러나, 이 모형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제 영역을 단위 시간에 통합하여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에, 인격교육이 자칫 덕목주의로 빠질 수 있는 위험성도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6)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의 의의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에서는 각 차시의 수업이 학습 자료나 세부적인 접근 방법이 달라질 뿐 知情行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목표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목표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과 자료를 적용한 3번에 걸친 연속적인 교수학습을 수행함으로써 도덕과에서 가장 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도덕적 행동의 실천적인 차원이 보완되고 인지적정의적 차원은 심화되어 나간다.
Ⅲ. 결론
(1) 도덕 교육의 새로운 과제
도덕교육은 인류 역사를 통해서 지구상의 모든 곳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오는 전래된 사회적 과정이다. 지금의 현대 사회는 복잡ㄹ한 사회 문제와 도덕적 문제들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도덕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학교에서 아동의 도덕적 성장을 돕는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도덕적 성장을 돕는 일이 학교만의 일은 아니다.
더구나 도덕교육을 한다고 할
그리고 필자가 이름 붙인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하는 개념이 된다. 각 영역의 핵심 내용과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영 역
핵 심 내 용
접 근 방 법
인지적 영역
다양한 갈등 상황의 해결
가치 갈등, 규범의 내면화, 개념 분석, 집단 탐구, 가치 명료화 등
정의적 영역
정의적 느낌, 감정 이입
대화, 그림, 감동적인 이야기, 시 등
행동적 영역
습관화
역할극, 다양한 놀이, 직접 실천하기
(2) 통합 내용
가. 내용과 형식의 통합
나. 정의적 영역의 강조
다. 知行合一의 도덕교육 : 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행동적 영역
행동 영역은 덕목 교육(내용) 속에, 인지 영역(형식) 속에, 정의 영역(동기) 속에 모두 다 들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K.Ryan은 인격의 핵심은 도덕적 행동이라고 보고 있다. 또, E.A.Wynne와 H.W.Walberg은 인격은 도덕적으로 적절한 말과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세구 외, p.315.
(3) 통합적 접근법의 수업모형 1. <문제해결식 수업모형> 남궁달화, pp.295~297 참조.
도적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문제사태의 제시
문제사태의 인식
문제사태의 직면
도덕적 판단
도덕적 의지
도덕적 행동
이 수업 모형은 외면적으로는 형식적 구조의 틀을 보여주지만 내면적으로는 ‘형식’은 물론, ‘내용’과 ‘동기’의 도덕교육이 함께 그리고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수업 모형은 생활사태 속에서 학생들이 (1) 도덕적 문제사태를 ‘가지게 될 때’, (2) 그것이 도덕적 문제사태임을 인식하여, (3) 인식된 문제를 간과 또는 회피하지 않고 직면함으로써, (4) 도덕적으로 사고하여 판단을 내리고, (5) 이에 그치지 않고 판단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도덕적 의지를 형성하여, (6) 도덕적 행동을 하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을 도덕수업의 전개과정에서 교사가 직접 적용운용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모형이다.
도덕교육은 ‘내용’과 ‘형식’과 ‘동기’가 동시에 그리고 함께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도덕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은 이들 세 요소가 동시에 그리고 함께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통합적 접근법의 수업모형 Ⅱ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언어와 의사소통(토의하기)
계약 및 규칙 정하기
가정 모형 적용하기
(5)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
이상에서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안해 보았다.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
①도덕적 상황제시
②관련된 도덕적 감정 공유
③관련된 규범 찾기
④ 실천 또는
실천동기부여
②-1.도덕적 감정 표현
②-2.도덕적 정서 공유
1)「① 도덕적 상황 제시」: 이 단계는 도입단계로써 인지적 영역일 수도 있고 정의적 영역일 수도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양자가 混在하는 영역이다. 도덕적 상황이 갈등사태로 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감동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② 관련된 도덕적 감정 공유」: 이 단계는 정의적 영역으로서 각 개인간의 도덕적 감정이 진솔하게 표현되고, 그 개개의 감정들 중에서 정서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3)「③ 관련된 규범 찾기」: 이 단계는 인지적 영역이다. 이 단계에서는 ②의 감정이 어떻게 해서 유발되었는가? 그 감정의 유발이 타당한가? 그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나 규범은 무엇인가? 등을 분석하고 탐구하며 명료화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②와 ③의 단계가 반드시 고정된 것은 아니다. 순서는 교재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③이 ②보다 먼저 온다면, 제시된 문제 사태와 관련된 규범을 발견하고 분석하며 명료화하는 단계가 되어 뒤에 올 도덕적 감정 유발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4)「④ 실천 또는 실천동기 부여」: 이 단계는 감정적으로 내면화된 올바른 규범이나 가치를 실천하고 습관화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한 것처럼, 만약 실천을 두 번째 단계에 둔다해도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예를 들어, 역할놀이를 통하여 가상 체험이나 가상 실천을 먼저 한 후, 그것과 관련된 감정을 공유하고 그에 따른 가치나 규범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은 도덕적 감정, 즉 정의적 차원을 강조한 모형이다. 어떤 도덕적 사태에 대한 ‘옳고 그름’과 ‘좋고 나쁨’의 감정을 표현하고 그 도덕적 감정을 공유하는 부분에서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동기가 계발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의적 차원을 강조하다 보면 덕목주의로 흐르기 쉽고, 덕목주입 교육은 ‘Heinz 딜레마’ 나 ‘Helga의 고민’같은 가치 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결코 줄 수 없다. 그러나, 이 모형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제 영역을 단위 시간에 통합하여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에, 인격교육이 자칫 덕목주의로 빠질 수 있는 위험성도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6)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의 의의
통합적 인격 수업 모형에서는 각 차시의 수업이 학습 자료나 세부적인 접근 방법이 달라질 뿐 知情行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목표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목표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과 자료를 적용한 3번에 걸친 연속적인 교수학습을 수행함으로써 도덕과에서 가장 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도덕적 행동의 실천적인 차원이 보완되고 인지적정의적 차원은 심화되어 나간다.
Ⅲ. 결론
(1) 도덕 교육의 새로운 과제
도덕교육은 인류 역사를 통해서 지구상의 모든 곳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오는 전래된 사회적 과정이다. 지금의 현대 사회는 복잡ㄹ한 사회 문제와 도덕적 문제들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도덕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학교에서 아동의 도덕적 성장을 돕는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도덕적 성장을 돕는 일이 학교만의 일은 아니다.
더구나 도덕교육을 한다고 할
키워드
추천자료
에밀 뒤르켐의 생애와 사상, 교육, 도덕교육 및 비판
행동주의 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교육
Richard S.Peters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유아기의도덕교육
도덕교육의 이해_요약
도덕교육론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기본원리와 특징,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중요성, 콜버그 도덕성...
[교수학습이론][교수학습원리][교수학습과정][도덕][즐거운생활]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원리,...
인성교육(인성지도)의 성격, 인성교육(인성지도)의 필요성, 인성교육(인성지도)의 방법, 인성...
현장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구의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
도덕교육과 도덕과 교육에 대하여
대승기신론을 통한 도덕교육
블라지(Blasi)의 도덕적 정체성과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및 지도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