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목차
●서 론 … … … … … … … … … … … 3p~24p
1. 회사&제품 회사소개 및 선정동기
- 아모레 퍼시픽 ---------------------------------- 3p~14p
- 로레알 코리아 ------------------------------------ 15p~24p
●본 론 … … … … … … … … … … 25p~59p
1. 아모레 퍼시픽
(1) 도⦁소매상 형태의 단계와 유통전략 ------------------- 25p~27p
(2) 유통경로 형태와 경로상의 갈등유형 -------------------- 28p~36p
2. 로레알 코리아
(1) 도. 소매상 형태의 단계와 유통전략 ------------------ 37p~44p
(2) 유통경로 형태와 경로상의 갈등유형 --------------------- 45p~59p
●결 론 … … … … … … … … … … 60p~61p
로레알 코리아 & 아모레 퍼시픽 비교 분석 ------------------ 60p~64p
과제를 마치며 … … … … … … … 62p~65p
1. 과제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 ------------------------------ 65p~66p
2. 참고자료(출처) ---------------------------------------- 67p~68p
1. 회사&제품 회사소개 및 선정동기
- 아모레 퍼시픽 ---------------------------------- 3p~14p
- 로레알 코리아 ------------------------------------ 15p~24p
●본 론 … … … … … … … … … … 25p~59p
1. 아모레 퍼시픽
(1) 도⦁소매상 형태의 단계와 유통전략 ------------------- 25p~27p
(2) 유통경로 형태와 경로상의 갈등유형 -------------------- 28p~36p
2. 로레알 코리아
(1) 도. 소매상 형태의 단계와 유통전략 ------------------ 37p~44p
(2) 유통경로 형태와 경로상의 갈등유형 --------------------- 45p~59p
●결 론 … … … … … … … … … … 60p~61p
로레알 코리아 & 아모레 퍼시픽 비교 분석 ------------------ 60p~64p
과제를 마치며 … … … … … … … 62p~65p
1. 과제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 ------------------------------ 65p~66p
2. 참고자료(출처) ---------------------------------------- 67p~68p
본문내용
하여 조명을 전부 자연광에 가까운 Bio-Lamp나 할로겐 등으로 교체하거나 조명의 색감을 태양광의 색감으로 바꾸어 고객이 매장에서 자연의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 매장 색감과 재질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매장의 모든 진열대나 가구들은 나무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압구정동 키엘 매장에서는 모든 매장의 진열대를 나무로 제작된 것으로 들여놓았다. 여기에 덧붙여서 들여놓는 가구의 광택은 많이 죽이는 것이 좋다. 지나친 광택은 오히려 천박함과 인공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매장 전체의 컨셉 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진열대의 형태나 장식은 단순하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가진 것이 좋다. 장식이나 기교가 많은 진열대는 매장 내에서 지나치게 화려한 이미지로 튀어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매장의 컨셉을 완전히 무너뜨릴 염려가 있다. 진열대에 나무 잎사귀나 사과, 포도 등 신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나 과일들을 화장품 사이사이에 코디하는 것은 매장 분위기를 한껏 자연 친화적으로 만드는데 일조를 한다. 한편 매장의 색감은 나무 색에 가까운 갈색과 신선한 자연을 상징하는 그린 계통의 컬러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그린 계열의 컬러는 사람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편안한 자연의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매장에 적절한 비율의 그린 컬러를 사용함으로써 고객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차분히 제품을 둘러볼 수 있는 심리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 매장 음향
매장 진열대에 작은 스피커를 설치하여 은은하게 자연의 소리가 들리게 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된다. 시각과 동시에 청각적 요소를 쓰면 고객에게 매장의 컨셉, 키엘의 컨셉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고객의 뇌리에 깊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는 주로 계곡의 물소리를 쓰는 것이 좋다. 물소리는 사람에게 특히 신선하고 개끗한 이미지를 음향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다른 소리에 비해 훨씬 효과적인 음향이라 할 수 있겠다.
e. 종업원의 옷 디자인 개선
종업원은 고객과 직접적으로 마주치는 사람이다. 따라서 종업원의 분위기, 다시 말해 종업원의 코디는 고객들에게 제품 구매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현재 키엘 매장의 종업원들의 의상을 보면 약국이나 병원에서 약사나 의사들이 입는 흰 가운의 형태로 된 것인데 이는 키엘 제품이 의약품 만큼 피부 관리에 있어서 전문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잘못하면 매장의 분위기와 제품을 약국의 컨셉으로 끌어갈 염려가 있고 고객들은 그러한 복장에서 실험실 연구자나 의사의 이미지를 받게 되어 종업원들과의 상담을 어렵고 딱딱하게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상담이나 제품에 대한 안내를 받는 것 자체를 기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장 다자인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1차적으로 전문성과 기능성을 전달해야 하겠지만 좀더 고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매장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바꿔야 하는데 예를 들어 푸른 색이 섞이지 않은 순백색의 천을 쓴다든지, 복장의 칼라 부분을 작고 심플하게 하고 가슴 앞주머니를 뗀다든지 하는 식으로 바꿀 수가 있다.
f. label 제도 도입
라벨 제도는 제품 용기에 제품의 이름과 사용 시간, 횟수, 해당 부위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적은 라벨을 붙여서 출시하는 것을 말한다. 제품에 이러한 라벨이 붙어 있으면 소비자들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사용하다 보면 바르는 시기와 부위에 대해 가끔 혼동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라벨을 부착함으로써 그러한 혼돈을 방지할 수가 있고 소비자가 용기의 라벨만 보아도 사용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제품의 경우 제품의 특성을 제대로 알고 사용 시간대와 사용량을 정확하게 맞춰 사용해야 부작용이 줄어들고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는데 제품 자체에 이러한 라벨을 붙이면 소비자가 제품을 쓸 때 일일이 복잡한 책자를 보지 않아도 라벨을 통해 기본적인 제품의 특성과 사용 방법에 대해 파악하고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품을 고르는 과정에서 라벨을 참조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타입의 화장품을 라벨에 쓰여진 간단한 내용을 통해서 보다 쉽게 고를 수 있다. 라벨 제도는 2장에서 분석했던 sisley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고객들로부터 실제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었다.
g. package 구성
패키지란 몇 개의 제품을 하나의 컨셉으로 묶어서 판매를 하는 것이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엘의 경우 이러한 패키지된 제품의 판매는 제품을 기능성에 상관없이 단순히 패키지로 묶어 놓아 그러한 서비스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데 팩키지 상품은 오히려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키엘에서의 패키지는 단순히 비슷한 종류의 제품을 묶어놓는 개념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피부에 트러블이 있는 경우 트러블은 단순히 그것을 제거한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여드름이 있는 사람의 경우 여드름을 제거하는 화장품만 쓴다고 해서 여드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모공을 보다 탄력있게 좁혀주는 화장품도 필요하고 피부에서의 피지 분비를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제품도 필요하다. 또한 화장품을 쓰기에 앞서서 화장품이 제대로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도와주는 세안제 류의 제품도 필요하게 된다. 키엘의 패키지는 바로 이런 식으로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제품들을 패키지로 만드는 것이다. 패키지 내부의 제품군은 비록 기능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여드름 제거라는 목적에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맞춤 서비스에 배치되거나 하는 내용이 전혀 없고 오히려 맞춤 서비스를 통해 구입을 한 화장품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그리고 패키지 전에 맞춤 서비스를 받아야 고객의 피부에 맞는 제품이 결정이 되고 그 제품과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패키지 들이 결정되는 것이다. 일단 키엘이 주요 고객 층들로 분류하는 틈새 시장의 고객들을 위해서는
- 매장 색감과 재질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매장의 모든 진열대나 가구들은 나무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압구정동 키엘 매장에서는 모든 매장의 진열대를 나무로 제작된 것으로 들여놓았다. 여기에 덧붙여서 들여놓는 가구의 광택은 많이 죽이는 것이 좋다. 지나친 광택은 오히려 천박함과 인공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매장 전체의 컨셉 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진열대의 형태나 장식은 단순하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가진 것이 좋다. 장식이나 기교가 많은 진열대는 매장 내에서 지나치게 화려한 이미지로 튀어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매장의 컨셉을 완전히 무너뜨릴 염려가 있다. 진열대에 나무 잎사귀나 사과, 포도 등 신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나 과일들을 화장품 사이사이에 코디하는 것은 매장 분위기를 한껏 자연 친화적으로 만드는데 일조를 한다. 한편 매장의 색감은 나무 색에 가까운 갈색과 신선한 자연을 상징하는 그린 계통의 컬러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그린 계열의 컬러는 사람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편안한 자연의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매장에 적절한 비율의 그린 컬러를 사용함으로써 고객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차분히 제품을 둘러볼 수 있는 심리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 매장 음향
매장 진열대에 작은 스피커를 설치하여 은은하게 자연의 소리가 들리게 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된다. 시각과 동시에 청각적 요소를 쓰면 고객에게 매장의 컨셉, 키엘의 컨셉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고객의 뇌리에 깊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는 주로 계곡의 물소리를 쓰는 것이 좋다. 물소리는 사람에게 특히 신선하고 개끗한 이미지를 음향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다른 소리에 비해 훨씬 효과적인 음향이라 할 수 있겠다.
e. 종업원의 옷 디자인 개선
종업원은 고객과 직접적으로 마주치는 사람이다. 따라서 종업원의 분위기, 다시 말해 종업원의 코디는 고객들에게 제품 구매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현재 키엘 매장의 종업원들의 의상을 보면 약국이나 병원에서 약사나 의사들이 입는 흰 가운의 형태로 된 것인데 이는 키엘 제품이 의약품 만큼 피부 관리에 있어서 전문성과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잘못하면 매장의 분위기와 제품을 약국의 컨셉으로 끌어갈 염려가 있고 고객들은 그러한 복장에서 실험실 연구자나 의사의 이미지를 받게 되어 종업원들과의 상담을 어렵고 딱딱하게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상담이나 제품에 대한 안내를 받는 것 자체를 기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장 다자인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1차적으로 전문성과 기능성을 전달해야 하겠지만 좀더 고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매장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바꿔야 하는데 예를 들어 푸른 색이 섞이지 않은 순백색의 천을 쓴다든지, 복장의 칼라 부분을 작고 심플하게 하고 가슴 앞주머니를 뗀다든지 하는 식으로 바꿀 수가 있다.
f. label 제도 도입
라벨 제도는 제품 용기에 제품의 이름과 사용 시간, 횟수, 해당 부위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적은 라벨을 붙여서 출시하는 것을 말한다. 제품에 이러한 라벨이 붙어 있으면 소비자들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들을 사용하다 보면 바르는 시기와 부위에 대해 가끔 혼동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라벨을 부착함으로써 그러한 혼돈을 방지할 수가 있고 소비자가 용기의 라벨만 보아도 사용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능성 제품의 경우 제품의 특성을 제대로 알고 사용 시간대와 사용량을 정확하게 맞춰 사용해야 부작용이 줄어들고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는데 제품 자체에 이러한 라벨을 붙이면 소비자가 제품을 쓸 때 일일이 복잡한 책자를 보지 않아도 라벨을 통해 기본적인 제품의 특성과 사용 방법에 대해 파악하고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품을 고르는 과정에서 라벨을 참조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타입의 화장품을 라벨에 쓰여진 간단한 내용을 통해서 보다 쉽게 고를 수 있다. 라벨 제도는 2장에서 분석했던 sisley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고객들로부터 실제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었다.
g. package 구성
패키지란 몇 개의 제품을 하나의 컨셉으로 묶어서 판매를 하는 것이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엘의 경우 이러한 패키지된 제품의 판매는 제품을 기능성에 상관없이 단순히 패키지로 묶어 놓아 그러한 서비스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데 팩키지 상품은 오히려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키엘에서의 패키지는 단순히 비슷한 종류의 제품을 묶어놓는 개념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피부에 트러블이 있는 경우 트러블은 단순히 그것을 제거한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여드름이 있는 사람의 경우 여드름을 제거하는 화장품만 쓴다고 해서 여드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모공을 보다 탄력있게 좁혀주는 화장품도 필요하고 피부에서의 피지 분비를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제품도 필요하다. 또한 화장품을 쓰기에 앞서서 화장품이 제대로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도와주는 세안제 류의 제품도 필요하게 된다. 키엘의 패키지는 바로 이런 식으로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제품들을 패키지로 만드는 것이다. 패키지 내부의 제품군은 비록 기능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여드름 제거라는 목적에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맞춤 서비스에 배치되거나 하는 내용이 전혀 없고 오히려 맞춤 서비스를 통해 구입을 한 화장품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그리고 패키지 전에 맞춤 서비스를 받아야 고객의 피부에 맞는 제품이 결정이 되고 그 제품과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패키지 들이 결정되는 것이다. 일단 키엘이 주요 고객 층들로 분류하는 틈새 시장의 고객들을 위해서는
키워드
추천자료
교보문고의 마케팅전략 분석(PPT)
광동제약 비타500 마케팅전략 분석
신라호텔의 소개와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분석
우리나라 골프산업 분석과 마케팅전략
싸이월드(CYWORLD)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분석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The Face Shop 마케팅전략 분석
김치냉장고 위니아 딤채 마케팅전략 분석 보고서 A++
이니스프리 환경분석과 마케팅전략제안
락앤락 마케팅전략 및 기업분석
금융 마케팅전략의 이해 및 사례 분석
박카스 마케팅전략 및 광고분석
OUTBACK STEAKHOUSE - 아웃백스테이크, 아웃백마케팅전략, 아웃백기업분석
케이블 TV마케팅전략,공중파TV,미디어와사회,공중파와 케이블의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