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드라마, 블로그를 만나다
1. 서론 - 드라마, 세계를 만나다
2. 연구대상 선정 및 방법 설정
2.1 연구 대상
2. 2 연구 방법
3. 본론
3.1 일본드라마의 유입경로
3.1.1 수용자, 인터넷을 만나다
3.2 ‘차이’로서의 일본드라마 수용3.2.1 소재의 다양성이 전달하는 신선함
3.2.2 만화적 구조의 차용
3.2.3 리얼리티의 묘미
3.2.4 우정과 교훈이 담겨있는 청춘물
3.3 팬덤 문화의 확장, 새로운 공동체 문화로
3.3.1 개방형 공동체
3.3.2 맥락적이고 분석적인 해독
3.3.3 관련장르와의 연계성 용이
3.3.4 반일감정이 낳은 자기검열
4. 결론
1. 서론 - 드라마, 세계를 만나다
2. 연구대상 선정 및 방법 설정
2.1 연구 대상
2. 2 연구 방법
3. 본론
3.1 일본드라마의 유입경로
3.1.1 수용자, 인터넷을 만나다
3.2 ‘차이’로서의 일본드라마 수용3.2.1 소재의 다양성이 전달하는 신선함
3.2.2 만화적 구조의 차용
3.2.3 리얼리티의 묘미
3.2.4 우정과 교훈이 담겨있는 청춘물
3.3 팬덤 문화의 확장, 새로운 공동체 문화로
3.3.1 개방형 공동체
3.3.2 맥락적이고 분석적인 해독
3.3.3 관련장르와의 연계성 용이
3.3.4 반일감정이 낳은 자기검열
4. 결론
본문내용
양은 제한되어 있지만 인터넷 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본드라마의 유통구조는 국가적인 검열 속에서도 시청자들의 적극적인 수용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터넷을 통해 유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3.1.1. 수용자, 인터넷을 만나다.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에게 인터넷은 일본 대중문화 텍스트를 수용하는 매체이면서, 일본 대중문화 팬으로서의 정체성을 정교화하고 유지하며 팬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매체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앞 논문 P 23
일본드라마는 일본에서 방송한지 1~2일만 지나면 동영상 검색사이트, 파일 공유 사이트, 커뮤니티 등에 한국어 자막까지 갖춰 올라온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tv(http://www.afreeca.com)나 KeyHoleTV(http://www.keyholetv.jp)에서는 실시간으로 일본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다. 때문에 수용자들은 정해진 시간대에 방송하는 케이블이나 위성TV에 맞춰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보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처럼 인터넷은 일본드라마를 수용하기에 가장 신속하고 간편한 매체이며 이는 각종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연계하여 그 방법을 보다 다양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수용자들은 정부의 문화 개방 정책과는 별도로 일본문화를 접하면서 일본드라마에 대한 평가와 여론을 주도해 왔고 각종 포털 사이트 동호회를 거쳐 최근에는 블로그로 활동무대를 넓혀 자료와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그들은 본래 영상에 직접 한국어 자막을 만들어 하나의 완전한 드라마를 완성하고 유통구조로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영상뿐 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공유한다. 이는 자기 스스로를 흔히 일드족(일본드라마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일드 폐인(일본드라마에 빠져 하루 종일 드라마만 보는 사람들) 이라고 칭하는 일본문화 마니아층이 등장하게 되면서 동일한 성향을 가지는 사람들끼리 서로 결집하고자 하는 욕구가 실현된 것이다. 여기서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은 생산과 유통의 기반을 자체적으로 설립하여 그들의 손을 거친 새로운 의미를 가진 드라마를 만들어낸다. 더불어 이처럼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은 텍스트의 전유와 되쓰기를 통해 생산구조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생산자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존 피스크, 팬덤의 문화경제학, 박명진 외 편역, 『문화, 일상, 대중』, 한나래, 1996, p192
. 즉, 그들은 인터넷을 통한 드라마 소비와 동시에 새로운 문화 창조자로서 프로슈머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일본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장르를 분석하고 평가함은 물론이고 나아가 생산자로서의 수용자, 새로운 문화적 창작물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영역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3. 2 \'차이\'로서의 일본드라마 수용
국가적으로 일본은 과거 식민관계에서 비롯한 역사, 문화적인 동질성, 지리적인 근접성, 활발한 무역교류 등 여러 부분에서 우리와 매우 가까운 나라이다. 이는 일본드라마의 국내 유통을 논의 하는데 \'문화적 근접성\'이 거론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디어 연구에서 지역적으로 형성되는 문화 공감대는 시청자가 문화적으로 ‘가깝다’고 느끼는 나라나 지역의 미디어 상품을 선호한다는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으로 설명된다. 이와부치 고이치(岩 功一),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 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히라타 유키에(平田
由紀江)ㆍ전오경 역, 또 하나의 문화, 2004, p.181
한 국가의 구성원들은 다른 국가의 미디어상품을 수용할 때 다른 요소가 동일할 경우 문화적으로 친근하고 공감하기 쉬운 영상물을 선호한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일본드라마의 문화적인 친근감을 인정하되, 한국드라마와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해석하고자 한다. 언어의 이질성에서 비롯된 가치관, 국민정서, 사회규칙의 차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은 엄연히 다른 국가로 구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일본드라마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그것이 주는 참신함, 일탈감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즉, 한국의 기성문화시스템에서는 충족할 수 없었던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바람에 부응할 수 있는 일본 서브 컬처가 국경을 넘어서 서로 공유된 것이 ‘일류’ 이원범,「대항문화로서의 ‘한류’와 ‘일류’」, 2009, p.48
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를 통해 수용자들이 일본드라마를 시청함으로써 충족할 수 있는 문화적인 욕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에는 소재의 다양성이 가져오는 신선함, 만화적 구조의 차용, 리얼리티의 묘미, 우정과 교훈이 담겨있는 청춘담이 포함되어 있다.
3.2.1. 소재의 다양성이 전달하는 신선함
일드팬들이 꼽는 가장 큰 매력이라 하면 역시 \'소재의 다양성과 참신성\'을 들을 수가 있을 것이다.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문화가 오래전부터 정착되어 있는 일본의 특성에 맞게 드라마에서도 개성넘치는 작품들을 많이 찾아 볼 수가 있는데 삼각 관계, 혈연의 비밀, 재벌집 아들 등에 지칠대로 지쳐있는 국내 팬들에게는 신선한 재미로 다가올 수 있었으리라 본다.
- 한길 : 느리게 걷기, 남, 30대
일본드라마와 관련된 논의를 할 때 빠지지 않고 항상 등장하는 것이 바로 \'장르의 폭이 넓다\'는 내용이다. 그만큼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보고 싶은 종류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러브스토리를 담은 로맨스, 사회적 특정계층들의 삶을 다룬 이야기, 권선징악에 따른 주인공과 악역의 갈등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꿈을 향해 달려가는 성장담, 각계각층의 직업군과 관련된 전문화 된 이야기, 초능력/인간로봇 등과 같은 공상과학까지 이색적이고 참신한 소재가 많다는 의미이다.
일본드라마의 참신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꼭 이와 비교하여 제시되는 내용은 한국드라마의 뻔하고 천편일륜적인 구조이다. 한국 드라마에서 러브스토리는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어떤 소재를 중심축으로 잡았으며, 남녀 주인공이 어떤 관계든, 그것이 도덕적으로 옳든 그르든, 둘 사이에는 사랑이 싹트기 시작한다. 더불어 최근에는 혈연관계가 얽히고
3.1.1. 수용자, 인터넷을 만나다.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에게 인터넷은 일본 대중문화 텍스트를 수용하는 매체이면서, 일본 대중문화 팬으로서의 정체성을 정교화하고 유지하며 팬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매체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앞 논문 P 23
일본드라마는 일본에서 방송한지 1~2일만 지나면 동영상 검색사이트, 파일 공유 사이트, 커뮤니티 등에 한국어 자막까지 갖춰 올라온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tv(http://www.afreeca.com)나 KeyHoleTV(http://www.keyholetv.jp)에서는 실시간으로 일본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다. 때문에 수용자들은 정해진 시간대에 방송하는 케이블이나 위성TV에 맞춰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보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처럼 인터넷은 일본드라마를 수용하기에 가장 신속하고 간편한 매체이며 이는 각종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연계하여 그 방법을 보다 다양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수용자들은 정부의 문화 개방 정책과는 별도로 일본문화를 접하면서 일본드라마에 대한 평가와 여론을 주도해 왔고 각종 포털 사이트 동호회를 거쳐 최근에는 블로그로 활동무대를 넓혀 자료와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그들은 본래 영상에 직접 한국어 자막을 만들어 하나의 완전한 드라마를 완성하고 유통구조로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영상뿐 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공유한다. 이는 자기 스스로를 흔히 일드족(일본드라마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일드 폐인(일본드라마에 빠져 하루 종일 드라마만 보는 사람들) 이라고 칭하는 일본문화 마니아층이 등장하게 되면서 동일한 성향을 가지는 사람들끼리 서로 결집하고자 하는 욕구가 실현된 것이다. 여기서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은 생산과 유통의 기반을 자체적으로 설립하여 그들의 손을 거친 새로운 의미를 가진 드라마를 만들어낸다. 더불어 이처럼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은 텍스트의 전유와 되쓰기를 통해 생산구조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생산자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존 피스크, 팬덤의 문화경제학, 박명진 외 편역, 『문화, 일상, 대중』, 한나래, 1996, p192
. 즉, 그들은 인터넷을 통한 드라마 소비와 동시에 새로운 문화 창조자로서 프로슈머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일본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장르를 분석하고 평가함은 물론이고 나아가 생산자로서의 수용자, 새로운 문화적 창작물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영역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3. 2 \'차이\'로서의 일본드라마 수용
국가적으로 일본은 과거 식민관계에서 비롯한 역사, 문화적인 동질성, 지리적인 근접성, 활발한 무역교류 등 여러 부분에서 우리와 매우 가까운 나라이다. 이는 일본드라마의 국내 유통을 논의 하는데 \'문화적 근접성\'이 거론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디어 연구에서 지역적으로 형성되는 문화 공감대는 시청자가 문화적으로 ‘가깝다’고 느끼는 나라나 지역의 미디어 상품을 선호한다는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으로 설명된다. 이와부치 고이치(岩 功一),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 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히라타 유키에(平田
由紀江)ㆍ전오경 역, 또 하나의 문화, 2004, p.181
한 국가의 구성원들은 다른 국가의 미디어상품을 수용할 때 다른 요소가 동일할 경우 문화적으로 친근하고 공감하기 쉬운 영상물을 선호한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일본드라마의 문화적인 친근감을 인정하되, 한국드라마와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를 해석하고자 한다. 언어의 이질성에서 비롯된 가치관, 국민정서, 사회규칙의 차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은 엄연히 다른 국가로 구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일본드라마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그것이 주는 참신함, 일탈감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즉, 한국의 기성문화시스템에서는 충족할 수 없었던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바람에 부응할 수 있는 일본 서브 컬처가 국경을 넘어서 서로 공유된 것이 ‘일류’ 이원범,「대항문화로서의 ‘한류’와 ‘일류’」, 2009, p.48
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를 통해 수용자들이 일본드라마를 시청함으로써 충족할 수 있는 문화적인 욕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에는 소재의 다양성이 가져오는 신선함, 만화적 구조의 차용, 리얼리티의 묘미, 우정과 교훈이 담겨있는 청춘담이 포함되어 있다.
3.2.1. 소재의 다양성이 전달하는 신선함
일드팬들이 꼽는 가장 큰 매력이라 하면 역시 \'소재의 다양성과 참신성\'을 들을 수가 있을 것이다.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문화가 오래전부터 정착되어 있는 일본의 특성에 맞게 드라마에서도 개성넘치는 작품들을 많이 찾아 볼 수가 있는데 삼각 관계, 혈연의 비밀, 재벌집 아들 등에 지칠대로 지쳐있는 국내 팬들에게는 신선한 재미로 다가올 수 있었으리라 본다.
- 한길 : 느리게 걷기, 남, 30대
일본드라마와 관련된 논의를 할 때 빠지지 않고 항상 등장하는 것이 바로 \'장르의 폭이 넓다\'는 내용이다. 그만큼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보고 싶은 종류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러브스토리를 담은 로맨스, 사회적 특정계층들의 삶을 다룬 이야기, 권선징악에 따른 주인공과 악역의 갈등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꿈을 향해 달려가는 성장담, 각계각층의 직업군과 관련된 전문화 된 이야기, 초능력/인간로봇 등과 같은 공상과학까지 이색적이고 참신한 소재가 많다는 의미이다.
일본드라마의 참신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꼭 이와 비교하여 제시되는 내용은 한국드라마의 뻔하고 천편일륜적인 구조이다. 한국 드라마에서 러브스토리는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어떤 소재를 중심축으로 잡았으며, 남녀 주인공이 어떤 관계든, 그것이 도덕적으로 옳든 그르든, 둘 사이에는 사랑이 싹트기 시작한다. 더불어 최근에는 혈연관계가 얽히고
추천자료
드라마와 영화 속 간접광고의 분석 및 비판
드라마의 발달과 사회적 영향
인플루언서 마케팅 - 웹2.0,입소문광고,블로그를 이용한 마케팅인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한 ...
SNS 비교분석(싸이월드, 네이버 블로그, facebook)
[마케팅원론]블로그마케팅의 정의와 성공사례 조사
국내 블로그 마케팅의 현황과 향후 방향
[문학][6월항쟁][TV드라마][뷔히너문학상][판타지소설][최수철문학]문학의 정의, 문학의 사회...
드라마 스토리텔링
한류드라마 열풍이 쇠퇴하는 원인분석
80,90년대 특정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시대별 시대상을 반영한 드라마 연관성 조사분
뻔한 스토리로 전개되는 드라마보다는 따뜻한 정서가 담긴 드라마를 선호한다.
드라마와 한류열풍 - TV 드라마 연대기
하리하라의 과학블로그 [서평] _ 이은희 저
[드라마 사랑비 vs 영화 클래식] 드라마방영금지 및 저작물처분금지 등 가처분 신청 -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