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와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르고뉴와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부르고뉴 지방의 역사, 소개, 특성
ⅱ)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 생산지역
ⅴ) 부르고뉴 와인의 통체적인 가격 이해
ⅵ) 부르고뉴 지방의 AOC와 등급 분류
ⅶ) 부르고뉴 지방 안의 지역의 특성 및 와인 테이스팅

본문내용

등급와인은 대개 한해에 만병 정도씩 생산이 되지만 페블레(Faiveley)에서 생산하는 뮤지니(Musigny)는 불과 200병에서 300병 정도에 불과하다. 이상황, “이상황의 뉴스 되짚기”, Winies, 2006년 5-6월, p.40.
좀 더 귀한 샤또 페르튀스(ch.Petyus)가 6만병 정도를 생산해낸다면 로마네 콩티(Romanee-Conti)는 6천병 정도에 불과하다. 작은 밭에서는 아무래도 단위면적 당 경작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피노 누아 품종은 까다롭고 손이 많이 가는 품종으로 유명하다. 밭도 작은데 단위면적에서 얻어내는 생산량도 작다. 그랑 크뤼 밭의 경우 대개 헥타르당 35헥토리터가 기준이고 해에 따라서 훨씬 적은 양을 수확하기도 한다.
ⅳ) 부르고뉴 지방의 AOC와 등급 분류
부르고뉴는 보르도보다 포도밭 면적은 적지만 AOC 숫자는 10배나 많다. 작은 포도밭 단위에도 AOC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보르도 지방에서 1855년 메독 지역을 중심으로 등급 분류가 이루어진 이후, 부르고뉴 지방에서도 1861년 미비하나마 초기 형태의 등급 분류가 이루어져 통용되다가 1935년 전국적으로 시행된 AOC(원산지명칭통제) 제도와 연계해 재정비되어 ‘Grand Cru(그랑 크뤼)’ 표기 제를 도입하였는데, 보르도 지방처럼 샤또 단위가 아닌, 우수한 포도를 생산하는 최고의 포도밭에 ‘Grand Cru’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또, 보르도는 AOC 제도와 와인의 등급제도가 별개인데 비해, 부르고뉴는 AOC 표시 제도와 등급 분류가 합쳐진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전상헌, 한권으로 끝내는 와인 특강, 예문, 2008, p.280.
이 중 1등급인 Grand Cru(그랑 크뤼) AOC는 Cote d`Or(꼬뜨 도르 : 32개)와 Chablis(샤블리 : 1개) 지역에만 있다. 보르도 지방에서는 ‘Grand Cru(그랑 크뤼)’는 고급 와인의 총칭이다. 특히 메독 지역을 중심으로 한 1855년 등급분류에 있어서는 1~5등급에 해당되는 61개 샤또 전체에 대한 총칭이다. 협의의 뜻으로는 그중 2~5등급 샤또들을 이르는 말이며, 1등급(5개)은 ‘Premier Cru(프리미에 크뤼)’라고 구분한다. 이에 반해 부르고뉴 지방에서는 반대로 가장 윗 등급(1등급)을 ‘Grand Cru(그랑 크뤼)’ 라고 하며 다음을 ‘Premier Cru(프리미에 크뤼)’ 라고 한다. 케빈 즈랠리, 와인 바이블, 정미나 옮김, 한스 미디어, p.52.
1등급과 2등급의 명칭이 서로 반대인 셈이다. 서로 눈치를 보며 경쟁하려는 셈이 아닌가 싶다.
ⅴ) 부르고뉴 지방 안의 지역의 특성 및 테이스팅
⑴ 샤블리
샤블리는 부르고뉴의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화이트 와인만 생산한다. 100% 샤르도네로 만들며 품질등급에는 프티 샤블리 → 샤블리 → 샤블리 프리미에 크뤼 → 샤블리 그랑 크뤼가 있다. http://www.winetime.co.kr/
이름
Jean Moreau Chablis
(장모로 샤블리)
품종
샤도네 100%
빈티지
2005
가격
50,000원
특징
섬세한 미감이 잘 살아 있음

달콤한 무화과
신선한 향신료 등의 향이 깨끗하게 올라옴

고소한 견과류, 부드러운 버터 등의 유연한 미감이 풍성하게 펼쳐짐
이름
Jean Moreau Chablis Grand Cru
(장 모로 샤블리 그랑 크뤼)
품종
샤르도네 100%
빈티지
2005
가격
90,000원
특징
무게감 있는 미감확보

레몬, 귤 등의 상큼한 과일 향

무게감 있는 미감 형성
이름
Jean Moreau Chablis Premier Cru
(장 모로 샤블리 프리미어 크뤼)
품종
샤르도네 100%
빈티지
2000
가격
140,000원
특징
무게감 있는 미감확보

강렬한 아로마 형성

매끈하고 육중함 편안한 느낌의 와인
이름
쁘띠 샤블리
품종
샤도네 100%
빈티지
2005
가격
43,000원
특징
섬세한 미감이 잘 살아 있음
맛, 향
아름다운 녹색빛의 뉘앙스를 지닌 밝은 황금빛의 와인으로 섬세한 방향과 아몬드, 개암 등의 견과류 향이 우아하다.
샤블리는 강하고 귀족적인 화이트 와인의 대명사이다. 그 명성이 너무 높아 프랑스 이외의 지역에서도 무감이 백포도주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는데 신선하면서도 우아한 맛과 향은 최고의 화이트 와인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름
JD샤블리 프리미에르 크뤼 바이용(Premiere Cru)
품종
샤도네 100%
빈티지
2005
가격
129,000원
맛, 향
샤블리 프르미에 크뤼 바이용 포도원은 Montmains지역과 나란히 서있는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햇빛에 적당히 노출된 지리적 이점과, 쥬라기의 이회토 및 킴메르지(Kimmeridge)라고 불리는 석회질 성분이 높은 토양으로 인해 양질의 포도를 재배하고 있다. 포도들은 모두 손으로 수확되며, 오크통에서 8~9개월가량 숙성된다. 고사리가 레몬 향과 어우러지는 아로마는 위와 같은 토양의 성질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Montmains 지방과는 다소 대조적인 풍미를 지니고 있다. 몇 년 정도는 잘 보관하여 숙성시켜 드셔도 좋다.
http://www.kaja2002.co.kr/ 와인천국
⑵ 꼬뜨 드 본
꼬뜨 드 본 은 코뜨 도르의 주요지역 두 곳 중 한 곳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와인은 샤르도네로 만드는 전 세계의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 중 최상의 표본으로 꼽히고 있다.
꼬뜨 드 본의 와인 생산지 중 가장 중요한 마을 세 곳은 뫼르소, 퓔리니 몽라셰이다. 100% 샤르도네로 만든다.
이름
부샤 뻬레 피스 빈 드 랑팡 제쥐
품종
피노 누아 100%
생산국
프랑스
와이너리
부샤 뻬레 피스
특징
본을 상징하는 와인
타입
레드
용량
750ml
이름
부샤 뻬레 피스 볼네 1등급 까이에레
품종
피노 누아 100%
생산국
프랑스
와이너리
부샤 뻬레 피스
특징
강건하며 화려한 느낌을 줌
타입
레드
용량
750ml
이름
부샤 뻬레 피스 뽀마르 1er Cru 루지앙
품종
피노 누아 100%
생산국
프랑스
와이너리
부샤 뻬레 피스
특징
강렬한 미감이 긴 여운으로 남은 와인, 소금구이 어울림
타입
레드
용량
750ml
[꼬뜨 드본]미셀 피카르 샤샤뉴 몽라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3.04.15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