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학교현장에서 학급의 담임선생님은 학급내의 미묘한 권력관계를 잘 파악하고, ‘실력자’로 판단되는 학생에게 학교폭력에서의 ‘방어자’역할을 할 것을 당부해야 할 것이다.
3)‘일진’ 단어의 변경 누리꾼의 사례를 바탕으로
오늘날 미디어나 학교현장에서 일진의 개념은 멋있거나 잘나가는 등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방송매체에서 일진학생이 정의감을 가지거나, 잘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진이라는 이름 자체가 그들을 문제아로 규정하기 보다는 특별하거나 멋있는 이미지를 양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진’이라는 이름 자체를 좀 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로 고칠 필요성이 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일진이라는 단어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한 ‘은어’에서 출발한 것이니만큼, 그것을 고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사실 상, 청소년들 사이에서의 은어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바뀌는 빈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교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정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매스미디어에서 사용하는 단어이다. 방송매체, 인터넷기사 등에서 등장하는 ‘일진’이라는 단어를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단어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또한 ‘일진’이라는 단어가 이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힘든 일일 것이지만, 과거 ‘네티즌’이라는 단어가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음에도, 국립국어연구원과 매스미디어에서의 지속적인 ‘누리꾼’으로의 대체가 효과를 거둔 점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단어 교체를 통해 ‘일진’의 이미지 자체를 단어를 들을 때의 부정적인 느낌으로 규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의 동경의 대상에서 벗어나게 하고, 이에 대해 문제적인 인식을 심을 수 있을 것이다.
4) 학교에서의 가치 다양화
일진문제가 중·고등학교에서만 발생하는 이유, 즉 대학교에서는 일진이 없는 이유는 대학교에는 다양한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내에서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가치가 ‘성적’으로 획일화 되어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아효능감을 찾기 힘들고, 때문에 다른 방향으로 자아효능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일진문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중·고등학교 내에서 학생들을 다양한 가치로 판단하려는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로 동아리활동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도 동아리 제도는 실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학업에 밀려있거나, “독서”라는 이름이 붙어 역시 학습쪽으로 방향이 전환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이 자신의 효능감을 나타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동아리 개설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공부 외의 기타 경진대회의 실시이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는 경진대회는 수학경시대회나 과학경시대회와 같이 역시 학습에 편중된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학생의 다양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경진대회를 실시한다면, 예를 들어 컴퓨터 사용능력 경진대회, 댄스경진대회, 노래대회 등을 실시한다면 학생들이 자아효능감을 발견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Ⅵ 결론
청소년들의 비행이 강력 범죄에까지 이르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나 가정의 교육을 받아야 할 대상인 학생들이다. 오히려 정서적으로 불안하기 쉽고 혼란스러운 청소년기이기 때문에 주변의 영향에 의해 변화하기 쉽고 유연한 존재이다. 따라서 이런 광범위한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단순히 학교 혹은 가정에 모두 돌릴게 아니라 청소년 비행의 종류와 원인을 자세히 분류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해결책을 같이 고민해 만들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미디어의 영향, 불안정한 가정환경,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과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특히 교육 심리적 접근을 통해 청소년 비행의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하였다. 먼저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생각해보고 가정의 차원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들을 생각해보았다. 특히 일진 학생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가정과 학교에서의 무관심이라고 보고 학생의 노력 뿐 만 아니라 가정 또는 학교에서의 노력 또한 강조하면서 서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진 학생들을 나름대로 정의해보고 유형을 파악하고 실태와 원인을 찾아본 후 교육 심리를 이용한 해결방안을 생각해보았다. 이를 통해서 후에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 한 부분을 구성하는 시민이 될 학생들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하면 한 학기동안 배운 이론들을 적용시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았다. 물론 학교와 가정, 사회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원인들을 가진 청소년 비행 문제를 몇 달 동안 배운 교육 심리의 이론들을 통해 변화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어떤 제도적인 문제의 해결보다도 해당 학생들과 가정, 학교의 심리적인 치료와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 또한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생각을 기반으로 진지한 고민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해결방안들을 만들어 보았다.
참고문헌
Jeanne e. ormrod, 『제 7판 교육심리학』, Academy press. 2011
최이정, 『미디어 폭력』한국 학술정보, 2006
서울특별시 자녀 안심운동 서울 협의회, 『청소년 문제행동의 이해』,2000
이순래, 『학교폭력의 원인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2002
한국 청소년 교육 연구소, 『학교 폭력 : 현실과 대책』, 1996
엄명용, 송민경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참여유형 분석』 2009
정명선 『학교폭력 청소년의 공감훈련 집단미술치료 효과』 2010
참고 웹사이트 및 관련 자료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10&dirId=10&docId=586041&qb=7LKt7IaM64WE67KU7KOE7J2YIOynkeuLqO2Zl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9WE2U5Y7ulssbStKOKssc--352894&sid=T9sLb1X62k8AACTFDig
3)‘일진’ 단어의 변경 누리꾼의 사례를 바탕으로
오늘날 미디어나 학교현장에서 일진의 개념은 멋있거나 잘나가는 등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방송매체에서 일진학생이 정의감을 가지거나, 잘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진이라는 이름 자체가 그들을 문제아로 규정하기 보다는 특별하거나 멋있는 이미지를 양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진’이라는 이름 자체를 좀 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로 고칠 필요성이 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일진이라는 단어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한 ‘은어’에서 출발한 것이니만큼, 그것을 고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사실 상, 청소년들 사이에서의 은어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바뀌는 빈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교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정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매스미디어에서 사용하는 단어이다. 방송매체, 인터넷기사 등에서 등장하는 ‘일진’이라는 단어를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단어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또한 ‘일진’이라는 단어가 이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힘든 일일 것이지만, 과거 ‘네티즌’이라는 단어가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음에도, 국립국어연구원과 매스미디어에서의 지속적인 ‘누리꾼’으로의 대체가 효과를 거둔 점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단어 교체를 통해 ‘일진’의 이미지 자체를 단어를 들을 때의 부정적인 느낌으로 규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의 동경의 대상에서 벗어나게 하고, 이에 대해 문제적인 인식을 심을 수 있을 것이다.
4) 학교에서의 가치 다양화
일진문제가 중·고등학교에서만 발생하는 이유, 즉 대학교에서는 일진이 없는 이유는 대학교에는 다양한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내에서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가치가 ‘성적’으로 획일화 되어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아효능감을 찾기 힘들고, 때문에 다른 방향으로 자아효능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일진문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중·고등학교 내에서 학생들을 다양한 가치로 판단하려는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로 동아리활동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도 동아리 제도는 실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학업에 밀려있거나, “독서”라는 이름이 붙어 역시 학습쪽으로 방향이 전환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이 자신의 효능감을 나타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동아리 개설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공부 외의 기타 경진대회의 실시이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는 경진대회는 수학경시대회나 과학경시대회와 같이 역시 학습에 편중된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학생의 다양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새로운 경진대회를 실시한다면, 예를 들어 컴퓨터 사용능력 경진대회, 댄스경진대회, 노래대회 등을 실시한다면 학생들이 자아효능감을 발견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Ⅵ 결론
청소년들의 비행이 강력 범죄에까지 이르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나 가정의 교육을 받아야 할 대상인 학생들이다. 오히려 정서적으로 불안하기 쉽고 혼란스러운 청소년기이기 때문에 주변의 영향에 의해 변화하기 쉽고 유연한 존재이다. 따라서 이런 광범위한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단순히 학교 혹은 가정에 모두 돌릴게 아니라 청소년 비행의 종류와 원인을 자세히 분류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해결책을 같이 고민해 만들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미디어의 영향, 불안정한 가정환경,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과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특히 교육 심리적 접근을 통해 청소년 비행의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하였다. 먼저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생각해보고 가정의 차원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들을 생각해보았다. 특히 일진 학생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가정과 학교에서의 무관심이라고 보고 학생의 노력 뿐 만 아니라 가정 또는 학교에서의 노력 또한 강조하면서 서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진 학생들을 나름대로 정의해보고 유형을 파악하고 실태와 원인을 찾아본 후 교육 심리를 이용한 해결방안을 생각해보았다. 이를 통해서 후에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 한 부분을 구성하는 시민이 될 학생들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하면 한 학기동안 배운 이론들을 적용시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았다. 물론 학교와 가정, 사회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원인들을 가진 청소년 비행 문제를 몇 달 동안 배운 교육 심리의 이론들을 통해 변화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어떤 제도적인 문제의 해결보다도 해당 학생들과 가정, 학교의 심리적인 치료와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 또한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생각을 기반으로 진지한 고민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해결방안들을 만들어 보았다.
참고문헌
Jeanne e. ormrod, 『제 7판 교육심리학』, Academy press. 2011
최이정, 『미디어 폭력』한국 학술정보, 2006
서울특별시 자녀 안심운동 서울 협의회, 『청소년 문제행동의 이해』,2000
이순래, 『학교폭력의 원인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2002
한국 청소년 교육 연구소, 『학교 폭력 : 현실과 대책』, 1996
엄명용, 송민경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참여유형 분석』 2009
정명선 『학교폭력 청소년의 공감훈련 집단미술치료 효과』 2010
참고 웹사이트 및 관련 자료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10&dirId=10&docId=586041&qb=7LKt7IaM64WE67KU7KOE7J2YIOynkeuLqO2Zl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9WE2U5Y7ulssbStKOKssc--352894&sid=T9sLb1X62k8AACTFDig
추천자료
청소년범죄 예방을 위한 지역중심의 종합적 다기관 연계전략
비행청소년범죄의 원인과 예방
청소년범죄의 현황과 대응방안
[가출]청소년의 성장 환경, 청소년범죄의 실태와 원인, 청소년가출의 정의, 상담 사례를 통해...
[왕따][집단따돌림][집단따돌림][청소년문제]왕따(집단따돌림)의 정의, 왕따(집단따돌림)의 ...
[범죄][스포츠범죄][컴퓨터범죄][조세범죄][청소년범죄][캠퍼스범죄][하위문화론][사회환경론...
청소년성범죄에 대한 고찰
청소년대상성범죄방지 ‘계도’를 위한 ‘부분적’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헌법
성의개념,성문화,청소년성문화,청소년성매매,청소년성범죄,미혼모,성교육,성교육의현재,올바...
사이버문화와 청소년범죄(현피,인터넷범죄,청소년범죄사례)
상대적 빈곤(relative poverty)의 개념과 이것으로 인해 예상되는 청소년문제를 제시하고 해...
현대 사회와 청소년문제의 관계
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청소년문제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