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우회술(CABG)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상동맥우회술(CAB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Heart anatomy
1. 심장의 위치
2. 심장벽
3. 심방과 심실
4. 혈액순환
1) 폐순환(Pulmonary circulation)
2) 전신순환(Systemic circulation)
3) 관상동맥순환(Coronary circulation)

Ⅱ. 관상동맥 질환
1.정의
2. 원인
3. 위험인자
4. 임상양상
1) 협심증(angina pectoris)
(1)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2) 불안정성 협심증(unstable angina)
(3) 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4) 기타 협심증후군(anginal syndrome)
2) 심근경색증(myocadial infarction)
(1) 발생기전
(2) 심내막하 경색증과 전층 경색증
(3) 급사(sudden death)
5. 진단
6. 치료
1) 생활습관
2) 약물치료
3) 중재적시술
(1)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2) 관상동맥 금속 스텐트 적용술(Coronary artery stenting)
(3) 레이저치료(Laser therapy)
4) 수술치료
1)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2) 관상 동맥 내막 절제술 ( coronary endarterectomy )


Ⅲ.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1. 수술개요
2. 수술의 효과
3. 수술적응증
4. 수술의 금기
5. 우회도관의 선택
6.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7. OP procedure(수술절차)
1) Incision
(1) SVG 준비 (2) Sternotomy (3) IMA 준비
2) Pericadiotomy
(1) Purse string suture for cannulation
(2) CBP(cardio pulmonary bypass)
(3) Aorta cannulation
(4) Venous cannulation
(5) Pump on
(6) Root cannulation for cardioplegic solution perfusion & cooling
(7) Aorta cross clamp
(8) Anastomosis
(9) Pump weaning
(10) Drain
(11) Closure
8. 수술 전. 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1) 심맥관 상태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2) 호흡증진을 위한 간호
(3)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간호
(4) 신장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
(5) 통증간호
(6) 신경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
(7) 대상자의 안위를 위한 간호
(8) 조기이상
(9) 합병증 간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rt와 xiphoid process를 mayo scissors로 잘라 분리한 후 finger dissection하고 sternum을 분리한다.
③ Sternum을 drill로 절개하고 pericardium이 보이기 시작하면 맞은편 sternum을 상대편이 army로 당겨주면 bone wax를 발라 sternum bone bleeding을 잡아준다.
(3) IMA 준비
① IMA retractor를 걸고 IMA가 잘 보이도록 한다.
② Bovie power를 20-7정도로 낮추고 medium fine debakey forceps으로 IMA를 박리 하기 시작한다.
③ IMA의 intercostal & sternal branch는 small horizon clip으로 박리한다.
④ IMA가 다 준비되었으면 distal을 medium clip으로 잡고 sharp metzenbaum으로 자른다.
⑤ 필요시 Papaverin solution을 준비하여 artery에 injection하여 vasodilation시 킨다.
⑥ 그리고 다음 절차를 위해 보관할 때 distal IMA는 buldog clamp으로 잡아놓고 거즈에 papaverin을 적셔서 덮어 놓는다.
⑦ Papaverin solution으로 artery에 뿌리고 IMA harvest시는 항상 warm saline과 papaverine을 뿌려 dry되지 않게 한다.
2) Pericadiotomy
pericardium을 forcep으로 잡고 bovie로 incision한다.
(1) Purse string suture for cannulation
① Aorta에 ethibond 2개로 Purse string suture해서 nelaton으로 tourniquet한다.
② SVC appendage를 satinsky clamp로 잡고 ethibond purse string해서 길게 tourniquet한다.
(2) CBP(cardio pulmonary bypass)
① 심폐기에서 수술 1시간 전부터 line을 준비해서 A-V line을 무균적으로 op field 위로 올려준다.
② Heparinization한다.
③ A-line에 air가 있는지 확인하고 sucker line을 3개 모두 심폐기에 연결한다.
(3) Aorta cannulation
① Sharp mezendaum으로 ascending aorta를 박리한 후 11변 mess로 aorta puncture 한다.
② Aorta cannula를 aorta에 넣고 tube clamp로 잡아 놓는다.
③ Cannula의 tourniquet을 조인 후 nelaton 하나와 A-cannula를 mersilk로 tie하 고 소방 2개로 받치고 2-0 mersilk로 skin suture하고 towel clip으로 고정한 다.
④ Line에 남아 있는 air를 올리고 준비된 A-line에 air가 없는지 확인하면서 연결 후 완전히 declamp한다.
(4) Venous cannulation
① RA appendage를 forcep으로 잡고 metzenbaum으로 auricle을 잘라내고 venous cannula를 넣는다. toniquet을 조이고 mersilk로 tie하고 cannula를 tube clamp 로 잡아 놓는다.
② Venous cannula connector로 연결하여 준비한다. cannulation 시 나오는 피나 open heart후에는 cardiotomy sucker로 피를 모아 artery로 보낸다.
(5) Pump on
심폐기의 venous line의 clamp를 푼다.
(6) Root cannulation for cardioplegic solution perfusion & cooling
① Aorta root자리에 prolene 3-0으로 purse string하고 tourniquet한다.
② Root cannula를 넣고 stylet을 뺀 후 CPS는 initial 700~800cc를 넣고 20~30분 간격으로 300~400cc정도 넣는다.
③ CPS perfusion 할 때 얼음과 함께 LV 쪽에 넣어 arrest시키고 hypothermia myocardium protection시킨다. 얼음은 soft하게 준비하여 chest wall 사이에 넣는다.
(7) Aorta cross clamp
arrest or fibrillation이 오면 aorta cross clamp 시킨다. aorta cannula와 root cannula 사이에 잡고 clamp한다. aorta size를 확인하여 미리 준비한다.
(8) Anastomosis
① 주로 쓰이는 경우
* LIMA(Left internal mammary artery) to LAD(left anterior desending)
* RIMA(right internal mammary artery) to RCA(right coronary artery)
* SVG(saphenous vein great) to diagonal to obtuse marginal
* GEA(gastric epiphloic artery) to PDA(posterior desending artery)
② Distal anastomosis
a. Beaver knife로 fat, artery 주변을 박리한다.
b. Epicardial retractor로 시야를 확보하고 micro forceps와 sharp beaver knife 로 artery를 뚫고 pott\'s scissors로 anastomosis할 부위를 준비한다.
c. Coronary dilator로 distal artery를 dilation하고 size를 잰다.
d. SVG는 anastomosis 후 aorta 까지의 길이를 디자인 해서 자르고 거기에 vein needle을 연결하여 cardioplegic solution을 perfusion한다.
e. IMA artery를 anastomosis suture한다.
③ Proximal anastomosis
a. SVG의 distal anastomosis가 proximal은 체온을 올리면서 anastosis한다.
b. Anastomosis가
  • 가격3,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3.04.24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