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자연과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근경색 [자연과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태를 확인하며 관상동맥압과 동맥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혈관분리와 혈관폐쇄 및 관상동맥 경련시 응급수술을 시행하며 재협착될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를 삽입한다.
PTCA와 함께 레이저로 박리술을 시행하기도 하며, 죽종을 제거하여 관상동맥의 협착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시술 후에는 저칼륨혈증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서 관찰하고 필요시 보충해준다. 스텐트를 삽입한 경우 스텐트 위의 혈소판응집을 예방하기 위해 Clopidogrel을 6~9개월간 투여하며 약물의 복용 방법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2) 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에 요골동맥, 복재정맥, 내유선동맥이나 합성재료를 이식해 심근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수술이며 급성 심근경색이나 판막질환, 심인성 쇼크, 심부전을 동반한 허혈상태등일 때 적용된다.
관상동맥에 이식하는 혈관은 요골동맥, 복재정맥, 내유선동맥이 있으며, 최근에는 요골동맥을 흔히 사용한다. 복재정맥을 이식하는 방법은 환자의 다리에 복재정맥을 절제하여 복재정맥 원위부는 대동맥에 이식하고 근위부는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에 이식한다. 이와 같이 복재정맥의 상하를 바꾸어 이식을 하여야만 복재정맥 내에 있는 판막이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합병증으로 심부정맥, 심장압전, 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
3) 내시경적 관상동맥측관술 Endoscopic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개흉술을 통한 수술 보다는 덜 침습적이며 상처나 반흔이 적고 감염의 위험도 적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방법은 대수술을 견디기 힘든 노인 및 허약한 환자에게 도움이 되나 최근에는 이 방법이 PTCA보다 선호된다.
4) 최소 침투성 관상동맥 우회술 minimally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 MIDCAB
좌전하방행 관상동맥에 병변이 있을 때 사용된다.
시술방법은 좌측 흉곽을 5cm절개해 네 번째 늑골을 제거한 다음 내유선동맥을 븐리해 좌전방하행 관상동맥 중 막힌 부위 아래에 이식한다. 수술 중 심장박동을 멈추지 않으므로 심폐순환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갑자기 혈관된 이식이 폐쇄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수술 후 흉통의 유무와 심전도상의 변화를 유의해서 관찰한다.
5) 심근침투성 레이져 혈관재형성술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지 못하는 매우 허약한 환자에게만 적용하는 수술 방법이다. 한쪽 폐에만 기관 내 삽관을 한 후 좌측 전방 흉곽을 조금 절개해 심장을 노출시키며 심실이 혈액에 채워지는 동안 강력한 힘을 가진 레이져 광선을 발사하여 좌측 심근을 통해 좌심실 후방 3/2부분 안으로 1mm 정도 가는 통로를 20~24개 정도 만들어주고 이 채널들을 통해 이완기 동안 좌심실에서 심근으로 산화된 혈액이 공급된다.
6) 로봇 심장 수술 Robotics
8~10mm 흉부를 절개해 내시경으로 수술한다. 로봇을 사용하면 의사가 수술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 닿을 수도 있고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