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동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동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원문과 현대역
 2.2 동동 분석
  2.2.1. 동동의 유래
  2.2.2. 작자에 대한 고찰
  2.2.3. 동동과 장생포의 관계
  2.2.4. 동동무
 2.3. 동동 내용 연구
  2.3.1. 제목에 대하여
  2.3.2. 구조와 형식
  2.3.3. 어석
  2.3.4. 주제

3. 결론

4. 동동이 나에게 갖는 의미

본문내용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원문과 현대역
2.2 동동 분석
2.2.1. 동동의 유래
2.2.2. 작자에 대한 고찰
2.2.3. 동동과 장생포의 관계
2.2.4. 동동무
2.3. 동동 내용 연구
2.3.1. 제목에 대하여
2.3.2. 구조와 형식
2.3.3. 어석
2.3.4. 주제
3. 결론
4. 동동이 나에게 갖는 의미
1. 서론
동동은 『악학궤범』 제 3권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에 노래하는 절차가 있고, 제 5권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에 <아박>이란 <동동>노래 연주에 따른 노래말이 춤과 함께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두 손에 상아(象牙)로 만든 소형의 박(拍)을 치면서 춤춘데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원래의 이름은 가사에서 지은 것이고, 아박(牙拍)의 이름은 그 무구(舞具)에서 붙여진 것이다. 그리고 『대악후보』에 노래말은 없고 “動動 (餘音井邑餘音界面調)”란 제목으로 여음의 가락이 4행강이 있으며, “動動指入舞童牙拍呈才女妓呈才同”이란 제목으로 40행강의 가락이 나타나 있다.
동동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 첫머리의 서장(序章)을 제외하고는 달거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이제까지 동동에 대한 연구는 그 유래와 작자, 내용과 어석, 동동무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방면에 걸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이 분분할 뿐 어떤 결론도 명확하게 내려지지 않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그간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동동에 대한 논의와 동동 내용연구로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동동에 대한 논의에서는 동동의 유래, 작자층에 대한 고찰, 동동과 장생포의 관계, 동동무 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본다. 이어 동동 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에서는 동동의 제목, 구조와 형식, 어석, 주제를 다양한 견해를 아우르며 살펴보기로 한다.
2. 본론
2.1. 원문과 현대역
動動
德으란 곰예 받고
福으란 림예 받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샷다
아으 動動다리
현대어 해석 (박병채)
덕일랑 신령님께 바치옵고
복일랑 임에게 바칩니다
덕이며 복이며 하는 것을
바치러 오십시오
정월의 냇물은
아아 얼고 녹고 하는데
세상 가운데 미 몸은
홀로 살아가네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켠
등불 같구나
만 사람 비추실 모습이시네
三月 나며 開
아으 滿春 욋고지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다리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니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