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작품 분석
1.원문
2.성격
3.어구 및 내용분석
4.구조분석
5.생성시기
6.장생포와의 관계
Ⅲ.맺음말
Ⅳ.참고문헌
Ⅱ. 작품 분석
1.원문
2.성격
3.어구 및 내용분석
4.구조분석
5.생성시기
6.장생포와의 관계
Ⅲ.맺음말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Ⅱ. 작품 분석
1.원문
2.성격
3.어구 및 내용분석
4.구조분석
5.생성시기
6.장생포와의 관계
Ⅲ.맺음말
Ⅳ.참고문헌
Ⅰ. 머리말
<동동>은 13연으로 이루어진 고려 속요 작품으로서 『악학궤범』 권 5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 중에 구연방식과 노랫말이 실려 있으며, 『대악후보』 권 7에도 악보가 전하고 있다. 그밖에도 『고려사』 권 71 악지 2와 『성호사설』 권 4 속악, 『용재총화』 권 1, 『증보문헌비고』 권 106, 『해동죽지』 중편 속악유희, 『성종실록』 권 132, 12년 8월, 『중종실록』 권 32, 13년 4월 등에 관련기록이 남아있다.
가명인 ‘동동’은 작품의 후렴구에 보이는 ‘아으 동동다리’에서 온 것이다. ‘동동’은 <사모곡>의 ‘위덩더둥셩’이나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등의 후렴구처럼 악기의 구음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성호사설』의 기록도 ‘동동’을 악기의 의성으로 보고 있다.
Ⅱ. 작품 분석
1. 원문
德으란 곰예 받잡고 福으란 림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샷다
아으 動動다리
三月나며 開한 아으 滿春욋고지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다리
四月아니 니저 아으 오실서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니
Ⅱ. 작품 분석
1.원문
2.성격
3.어구 및 내용분석
4.구조분석
5.생성시기
6.장생포와의 관계
Ⅲ.맺음말
Ⅳ.참고문헌
Ⅰ. 머리말
<동동>은 13연으로 이루어진 고려 속요 작품으로서 『악학궤범』 권 5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 중에 구연방식과 노랫말이 실려 있으며, 『대악후보』 권 7에도 악보가 전하고 있다. 그밖에도 『고려사』 권 71 악지 2와 『성호사설』 권 4 속악, 『용재총화』 권 1, 『증보문헌비고』 권 106, 『해동죽지』 중편 속악유희, 『성종실록』 권 132, 12년 8월, 『중종실록』 권 32, 13년 4월 등에 관련기록이 남아있다.
가명인 ‘동동’은 작품의 후렴구에 보이는 ‘아으 동동다리’에서 온 것이다. ‘동동’은 <사모곡>의 ‘위덩더둥셩’이나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등의 후렴구처럼 악기의 구음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성호사설』의 기록도 ‘동동’을 악기의 의성으로 보고 있다.
Ⅱ. 작품 분석
1. 원문
德으란 곰예 받잡고 福으란 림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샷다
아으 動動다리
三月나며 開한 아으 滿春욋고지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다리
四月아니 니저 아으 오실서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니
소개글